안상홍: 두 판 사이의 차이

127번째 줄: 127번째 줄:
==== 수건 규례 ====
==== 수건 규례 ====
[[파일: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새예루살렘 판교성전 예배.jpg |섬네일|400px|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새예루살렘 판교성전]] 예배]]
[[파일: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새예루살렘 판교성전 예배.jpg |섬네일|400px|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새예루살렘 판교성전]] 예배]]
[[고린도전서]] 11장에 [[수건 규례]]에 관한 하나님의 뜻이 나온다. 초대교회는 기도나 [[예배]] 때 남자는 머리에 아무것도 쓰지 않고 여자는 머리에 수건을 썼다.<ref name="고전 11:3–5">{{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제목=고린도전서 11:3–5|인용문=무릇 남자로서 머리에 무엇을 쓰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요 무릇 여자로서 머리에 쓴 것을 벗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니 이는 머리 민 것과 다름이 없음이니라}}</ref> 수건 규례는 그리스도를 본받은 것으로<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제목=고린도전서 11:1|인용문=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 된 것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 되라}}</ref> 하나님의 창조 섭리가 담겨 있으며 교회 질서를 위해 제정됐다. 사도 [[바울]]은 수건 규례가 고린도 지역뿐 아니라 모든 하나님의 교회의 일치된 규례라고 밝혔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제목=고린도전서 11:16|인용문=변론하려는 태도를 가진 자가 있을지라도 우리에게나 하나님의 모든 교회에는 이런 규례가 없느니라}}</ref>
[[고린도전서]] 11장에 [[수건 문제]]에 관한 하나님의 뜻이 나온다. 초대교회는 기도나 [[예배]] 때 남자는 머리에 아무것도 쓰지 않고 여자는 머리에 수건을 썼다.<ref name="고전 11:3–5">{{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제목=고린도전서 11:3–5|인용문=무릇 남자로서 머리에 무엇을 쓰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요 무릇 여자로서 머리에 쓴 것을 벗고 기도나 예언을 하는 자는 그 머리를 욕되게 하는 것이니 이는 머리 민 것과 다름이 없음이니라}}</ref> 수건 규례는 그리스도를 본받은 것으로<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제목=고린도전서 11:1|인용문=내가 그리스도를 본받는 자 된 것같이 너희는 나를 본받는 자 되라}}</ref> 하나님의 창조 섭리가 담겨 있으며 교회 질서를 위해 제정됐다. 사도 [[바울]]은 수건 규례가 고린도 지역뿐 아니라 모든 하나님의 교회의 일치된 규례라고 밝혔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1장|제목=고린도전서 11:16|인용문=변론하려는 태도를 가진 자가 있을지라도 우리에게나 하나님의 모든 교회에는 이런 규례가 없느니라}}</ref>
<br>오늘날 대부분의 개신교회에서는 예배를 드릴 때 여신도들이 남신도들과 마찬가지로 머리에 수건을 쓰지 않는다. 천주교의 경우, 남성 고위 성직자들이 미사 때 머리에 관이나 모자를 쓴다. 이는 성경의 기준과 맞지 않으며 하나님을 욕보이는 행위라고 사도 바울은 정의했다.<ref name="고전 11:3–5" />
<br>오늘날 대부분의 개신교회에서는 예배를 드릴 때 여신도들이 남신도들과 마찬가지로 머리에 수건을 쓰지 않는다. 천주교의 경우, 남성 고위 성직자들이 미사 때 머리에 관이나 모자를 쓴다. 이는 성경의 기준과 맞지 않으며 하나님을 욕보이는 행위라고 사도 바울은 정의했다.<ref name="고전 11:3–5"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