유월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유월절의 유래와 의미== | ==유월절의 유래와 의미== | ||
===유래와 의미=== | ===유래와 의미=== | ||
유월절은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유월절을 지켜 재앙에서 보호받고 해방된 역사에서 유래했다. '재앙이 넘어가는 | 유월절은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유월절을 지켜 재앙에서 보호받고 해방된 역사에서 유래했다. '재앙이 넘어가는 절기'라는 뜻의 유월절 명칭도 이러한 역사에서 유래했다. '유월(넘을 유 逾, 건널 월 越)'은 '넘어간다'라는 뜻이다. 유월절을 히브리어로 페사흐(פֶּסַח)라고 하는데 '지나가다', '뛰어넘다'라는 의미의 동사 파사흐(פָּסַח)에서 파생됐다. 헬라어로는 파스카(πασχα), 영어로는 패스오버(Passover)라고 한다. 모두 '(재앙이) 넘어간다'는 뜻이다. | ||
===언어별 유월절 표기=== | ===언어별 유월절 표기=== | ||
| 164번째 줄: | 164번째 줄: | ||
===첫째 계명 완수=== | ===첫째 계명 완수=== | ||
[[십계명]] 중 [[첫째 계명]]인 '나 외에 다른 신을 네게 있게 | [[십계명]] 중 [[첫째 계명]]인 '나 외에 다른 신을 네게 있게 말라'는 말씀에는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는 명령과 하나님만 섬기라는 명령이 포함되어 있다. 다른 신을 멸하고 오직 하나님만을 섬길 수 있는 특별한 진리가 유월절이다. 출애굽 당시부터 유월절은 다른 신을 벌하는 날로 제정되었기 때문이다.<ref name=”애굽 유월절” /> 유월절에 다른 모든 신들을 심판하면 하나님만 남기 때문에, 유월절을 깨닫고 지키게 되면 다른 신을 섬기지 않고 오직 하나님만 섬길 수 있다. 모세 시대 유월절 밤에 애굽의 신들을 멸했던 역사와 히스기야와 요시야 시대 유월절을 지킨 후 우상을 없애고 하나님만 섬길 수 있었던 역사가 그 예다. 신약시대에도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키면 첫째 계명을 온전하게 지킬 수 있다.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