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식일: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어원== | ==어원== | ||
안식일(편안할 안 安, 쉴 식 息, 날 일 日)은 '편안히 쉬는 | 안식일(편안할 안 安, 쉴 식 息, 날 일 日)은 '편안히 쉬는 날'이라는 뜻이다. 히브리어로는 샵바트(שַׁבָּת)로, '일을 중지하다', '휴식하다'라는 의미의 샤바트(שָׁבַת)에서 파생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제목=창세기 2:2|인용문=하나님의 지으시던 일이 일곱째 날이 이를 때에 마치니 그 지으시던 일이 다하므로 일곱째 날에 안식하시니라}}</ref> 헬라어로는 히브리어를 음역해 삽바톤(σαββάτων)이라고 한다. | ||
==안식일의 유래== | ==안식일의 유래== | ||
| 47번째 줄: | 47번째 줄: | ||
===영원한 안식의 예표=== | ===영원한 안식의 예표=== | ||
안식일은 장차 천국에서 누릴 영원한 안식의 예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제목=히브리서 4:4-6|인용문=제 칠일에 관하여는 어디 이렇게 일렀으되 하나님은 제 칠일에 그의 모든 일을 쉬셨다 하였으며 또 다시 거기 저희가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였으니 그러면 거기 들어갈 자들이 남아 있거니와 복음 전함을 먼저 받은 자들은 순종치 아니함을 인하여 들어가지 못하였으므로}}</ref> [[창세기]]에 기록된 6일 창조의 역사는 하나님이 약 6000년 동안 영적인 창조사업을 하실 것을 알려주는 예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3장|제목=베드로후서 3:8|인용문=사랑하는 자들아 주께는 하루가 천 년 같고 천 년이 하루 같은 이 한 가지를 잊지 말라}}</ref> 6일 창조 후에 일곱째 날 안식하신 역사는 하나님의 구속사업이 마친 후에 있을 안식천년에 대한 예언이다. [[사도 요한]]은 구속사업이 끝나고 안식천년이 올 것을 '천 년 동안 왕 노릇 | 안식일은 장차 천국에서 누릴 영원한 안식의 예표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제목=히브리서 4:4-6|인용문=제 칠일에 관하여는 어디 이렇게 일렀으되 하나님은 제 칠일에 그의 모든 일을 쉬셨다 하였으며 또 다시 거기 저희가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였으니 그러면 거기 들어갈 자들이 남아 있거니와 복음 전함을 먼저 받은 자들은 순종치 아니함을 인하여 들어가지 못하였으므로}}</ref> [[창세기]]에 기록된 6일 창조의 역사는 하나님이 약 6000년 동안 영적인 창조사업을 하실 것을 알려주는 예언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3장|제목=베드로후서 3:8|인용문=사랑하는 자들아 주께는 하루가 천 년 같고 천 년이 하루 같은 이 한 가지를 잊지 말라}}</ref> 6일 창조 후에 일곱째 날 안식하신 역사는 하나님의 구속사업이 마친 후에 있을 안식천년에 대한 예언이다. [[사도 요한]]은 구속사업이 끝나고 안식천년이 올 것을 '천 년 동안 왕 노릇 한다'고 표현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0장|제목=요한계시록 20:4|인용문=또 내가 보니 예수의 증거와 하나님의 말씀을 인하여 목 베임을 받은 자의 영혼들과 또 짐승과 그의 우상에게 경배하지도 아니하고 이마와 손에 그의 표를 받지도 아니한 자들이 살아서 그리스도로 더불어 천 년 동안 왕 노릇 하니}}</ref> 구원받은 성도들은 세세토록 왕 노릇을 하게 되지만<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제목=요한계시록 22:5|인용문=다시 밤이 없겠고 등불과 햇빛이 쓸데없으니 이는 주 하나님이 저희에게 비취심이라 저희가 세세토록 왕 노릇 하리로다}}</ref> 1000년이라는 기간을 한정해 표현한 것은 안식천년 이전에 약 6000년 동안의 구속사업이 있다는 것을 알려주기 위함이다. 이는 안식일 전에 6일 동안 일하고, 안식년 이전에 6년 동안 농사를 짓는 것과 같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5장|제목=레위기 25:3-5|인용문=너는 육 년 동안 그 밭에 파종하며 육 년 동안 그 포도원을 다스려 그 열매를 거둘 것이나 제 칠년에는 땅으로 쉬어 안식하게 할지니 여호와께 대한 안식이라 너는 그 밭에 파종하거나 포도원을 다스리지 말며 너의 곡물의 스스로 난 것을 거두지 말고 다스리지 아니한 포도나무의 맺은 열매를 거두지 말라 이는 땅의 안식년임이니라}}</ref><br> | ||
안식천년은 영원한 안식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창세기를 보면 6일 창조 후의 일곱째 날은 그 끝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처음 6일 동안은 모두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몇째 | 안식천년은 영원한 안식으로 이어진다. 그래서 창세기를 보면 6일 창조 후의 일곱째 날은 그 끝이 언급되어 있지 않다. 처음 6일 동안은 모두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몇째 날이니라'는 설명이 있지만<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제목=창세기 1:5|인용문=빛을 낮이라 칭하시고 어두움을 밤이라 칭하시니라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첫째 날이니라}}</ref> 일곱째 날에는 '저녁이 되며 아침이 되니 이는 일곱째 날이니라'는 기록이 없는 것이다. 이는 일곱째 날 안식이 영원한 안식을 표상함을 의미한다. 영원한 안식의 예표인 안식일을 매주 거룩하게 지키는 성도들이 영원한 안식을 누리는 [[천국]]에 들어갈 수 있다. | ||
==성경의 안식일은 토요일== | ==성경의 안식일은 토요일== | ||
| 57번째 줄: | 57번째 줄: | ||
일곱째 날 안식일은 오늘날 요일 제도로 볼 때 토요일이다. 성경 속 [[예수님의 부활]] 장면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 일곱째 날 안식일은 오늘날 요일 제도로 볼 때 토요일이다. 성경 속 [[예수님의 부활]] 장면을 통해 이를 알 수 있다. | ||
{{인용문5|내용=안식일이 지나매 ... 예수께서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 전에 일곱 귀신을 쫓아내어 주신 막달라 마리아에게 먼저 보이시니|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마가복음 16:1-9]}} | {{인용문5|내용=안식일이 지나매 ... 예수께서 '''안식 후 첫날 이른 아침에 살아나신 후''' 전에 일곱 귀신을 쫓아내어 주신 막달라 마리아에게 먼저 보이시니|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6장 마가복음 16:1-9]}} | ||
성경은 예수님이 안식 후 첫날, 즉 '''안식일 다음 날에 부활하셨다'''고 기록했는데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은 일요일'''이다. 그래서 ' | 성경은 예수님이 안식 후 첫날, 즉 '''안식일 다음 날에 부활하셨다'''고 기록했는데 예수님이 '''부활하신 날은 일요일'''이다. 그래서 '공동번역' 성경은 마가복음 16장 9절에서 “일요일 이른 아침 예수께서는 부활하신 뒤”라고 기록했다. '현대인의 성경'은 명확하게 “'''안식일 다음 날인 일요일'''”이라고 기록했다. 안식일 다음 날이 일요일이면 그 전날인 '''안식일은 토요일'''이다. 그러므로 성경의 안식일은 토요일이다. | ||
*'''근거2. 가톨릭 교리서''' | *'''근거2. 가톨릭 교리서''' | ||
| 68번째 줄: | 68번째 줄: | ||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정복한 일에 대해 기록한 두 가지 역사서를 비교해 보면 성경의 안식일이 토요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br> | 기원전 63년 로마 장군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정복한 일에 대해 기록한 두 가지 역사서를 비교해 보면 성경의 안식일이 토요일이라는 사실을 알 수 있다. <br> | ||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폼페이우스가 유대인들이 일곱째 날 안식일에 일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예루살렘을 정복했다고 기록했다.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 성전을 포위한 폼페이우스는 유대인들이 일곱째 날 안식일에는 공격을 하지 않고 방어만 한다는 것을 눈치챘다. 로마군은 안식일마다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은 채 성전을 둘러싼 참호와 골짜기를 메우는 공사를 진행하고 공성기를 운반했다. 결국 예루살렘 성전은 3개월 만에 함락됐다.<ref>{{인용|제목=유대고대사|저널=유대고대사 제14권 4장 |출판사= |날짜= |연도=|저자=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인용문= And had it not been our practice, from the days of our forefathers, '''to rest on the seventh day''', this bank could never have been perfected, by reason of the opposition the Jews would have made; for though our law gives us leave then to defend ourselves against those that begin to fight with us and assault us, yet does it not permit us to meddle with our enemies while they do any thing else. Which thing when the Romans understood, '''on those days which we call Sabbaths''' they threw nothing at the Jews, nor came to any pitched battle with them; but raised up their earthen banks, and brought their engines into such forwardness, that they might do execution the next day. }}</ref><br> | 1세기 유대인 역사가 요세푸스는 폼페이우스가 유대인들이 일곱째 날 안식일에 일하지 않는 점을 이용하여 예루살렘을 정복했다고 기록했다. 군대를 이끌고 예루살렘 성전을 포위한 폼페이우스는 유대인들이 일곱째 날 안식일에는 공격을 하지 않고 방어만 한다는 것을 눈치챘다. 로마군은 안식일마다 아무런 방해도 받지 않은 채 성전을 둘러싼 참호와 골짜기를 메우는 공사를 진행하고 공성기를 운반했다. 결국 예루살렘 성전은 3개월 만에 함락됐다.<ref>{{인용|제목=유대고대사|저널=유대고대사 제14권 4장 |출판사= |날짜= |연도=|저자=플라비우스 요세푸스 |인용문= And had it not been our practice, from the days of our forefathers, '''to rest on the seventh day''', this bank could never have been perfected, by reason of the opposition the Jews would have made; for though our law gives us leave then to defend ourselves against those that begin to fight with us and assault us, yet does it not permit us to meddle with our enemies while they do any thing else. Which thing when the Romans understood, '''on those days which we call Sabbaths''' they threw nothing at the Jews, nor came to any pitched battle with them; but raised up their earthen banks, and brought their engines into such forwardness, that they might do execution the next day. }}</ref><br> | ||
3세기 초 로마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는 같은 사건을 두고 유대인들이 '토성의 | 3세기 초 로마 역사가 디오 카시우스는 같은 사건을 두고 유대인들이 '토성의 날'에 일하지 않아 로마인들이 성벽을 무너뜨릴 기회를 얻었다고 기록했다.<ref>{{인용|제목=로마사|저널=로마사 제37권 16장 |출판사= |날짜= |연도=|저자=디오 카시우스|인용문= if they had continued defending it on all days alike, he could not have got possession of it. As it was, they made an excavation of '''what are called the days of Saturn''', and '''by doing no work at all on those days''' afforded the Romans an opportunity in this interval to batter down the wall. The latter, on learning of this superstitious awe of theirs, made no serious attempts the rest of the time, but on those days, when they came round in succession, assaulted most vigorously. Thus the defenders were captured '''on the day of Saturn''', without making any defence, and all the wealth was plundered.}}</ref><br> | ||
이는 유대인들이 지켰던 일곱째 날 안식일이 로마인들에게는 토성의 날, 즉 토요일이었다는 의미다.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정복했던 기원전 63년부터 디오 카시우스가 로마사를 기록했던 3세기 초까지 유대인들은 토요일에 안식일을 지켰다. 그러므로 예수님과 사도들이 지켰던 안식일 역시 토요일이 분명하다. | 이는 유대인들이 지켰던 일곱째 날 안식일이 로마인들에게는 토성의 날, 즉 토요일이었다는 의미다. 폼페이우스가 예루살렘을 정복했던 기원전 63년부터 디오 카시우스가 로마사를 기록했던 3세기 초까지 유대인들은 토요일에 안식일을 지켰다. 그러므로 예수님과 사도들이 지켰던 안식일 역시 토요일이 분명하다. | ||
| 104번째 줄: | 104번째 줄: | ||
==안식일에 대한 교파별 입장== | ==안식일에 대한 교파별 입장== | ||
===유대교=== | ===유대교=== | ||
유대교의 안식일은 금요일 해 지는 시각에 시작해 토요일 해 지는 시각에 끝난다. 안식일에 일을 하지 않는 구약 율법에 따라 이스라엘에서는 안식일에 관공서와 식당, 상점 등이 문을 닫고 버스·전철 같은 대중교통이 운행을 중단한다.<ref>{{웹 인용 |url=https://www.mk.co.kr/news/home/view/2007/01/31079/ |제목=토요일엔 상점 문닫는 이스라엘 |웹사이트=매일경제|저널= |출판사= |날짜=2007.01.1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ref> 가정에서는 금요일 해가 지기 전 두 개의 초를 켜놓고 안식일이 시작되면 ' | 유대교의 안식일은 금요일 해 지는 시각에 시작해 토요일 해 지는 시각에 끝난다. 안식일에 일을 하지 않는 구약 율법에 따라 이스라엘에서는 안식일에 관공서와 식당, 상점 등이 문을 닫고 버스·전철 같은 대중교통이 운행을 중단한다.<ref>{{웹 인용 |url=https://www.mk.co.kr/news/home/view/2007/01/31079/ |제목=토요일엔 상점 문닫는 이스라엘 |웹사이트=매일경제|저널= |출판사= |날짜=2007.01.1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ref> 가정에서는 금요일 해가 지기 전 두 개의 초를 켜놓고 안식일이 시작되면 '할라'라고 하는 안식일용 빵과 포도주로 만찬을 갖는다. 안식일을 철저하게 지키는 정통파 유대인들은 전기 스위치를 켜거나 끄는 것도 금지하기 때문에 전등불이 자동으로 꺼지도록 장치를 해놓은 집이 많다. 호텔이나 고층 아파트는 안식일에 탑승자가 버튼을 누르지 않아도 매 층마다 자동으로 서는 승강기를 설치해 놓았다.<ref>{{웹 인용 |url=https://www.gndaily.kr/news/articleView.html?idxno=25204 |제목=안식일에 안식하지 못하는 사람들 |웹사이트=굿뉴스데일리|저널= |출판사= |날짜=2017.02.20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ref><br> | ||
이스라엘 국적항공사인 엘알항공은 안식일에 비행기 운행을 하지 않는다. 공항도 비행기 이착륙을 중단하기 때문에 항공사들은 이스라엘로 향하는 비행기 시간표를 안식일 이전이나 이후로 조정해야 한다. 정통파 유대인들이 사는 지역에는 안식일에 외국인들이나 타지방 사람들이 차를 몰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입구마다 철제 바리케이트를 설치한다. 차를 몰고 들어갈 경우 그곳의 유대인들이 돌을 던져 차를 부수기도 하기 때문이다.<ref>{{웹 인용 |url=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18033 |제목=유대인 삶의 중심, 안식일 |웹사이트=크리스천투데이|저널= |출판사= |날짜=2018.11.2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ref> | 이스라엘 국적항공사인 엘알항공은 안식일에 비행기 운행을 하지 않는다. 공항도 비행기 이착륙을 중단하기 때문에 항공사들은 이스라엘로 향하는 비행기 시간표를 안식일 이전이나 이후로 조정해야 한다. 정통파 유대인들이 사는 지역에는 안식일에 외국인들이나 타지방 사람들이 차를 몰고 들어가는 것을 방지하기 위해 도로의 입구마다 철제 바리케이트를 설치한다. 차를 몰고 들어갈 경우 그곳의 유대인들이 돌을 던져 차를 부수기도 하기 때문이다.<ref>{{웹 인용 |url=https://www.christiantoday.co.kr/news/318033 |제목=유대인 삶의 중심, 안식일 |웹사이트=크리스천투데이|저널= |출판사= |날짜=2018.11.2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ref> | ||
===천주교=== | ===천주교=== | ||
| 110번째 줄: | 110번째 줄: | ||
{{인용문|성서에 일요일이 아니라 토요일로 명시되어 있으니 성교회로가 아니라 성서에서부터 직접 종교를 끌어왔다고 우기는 가톨릭이 아닌 이들도 토요일 대신 일요일을 지키는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 정말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러나 실은 개신교가 태어나기 15세기 전에 이렇게 변경된 것으로 개신교가 탄생된 당시에는 이것이 보편적인 관습이 되어 있었다. 이것은 비록 '''성서에 명시된 글에 따른 것이 아니고 가톨릭교회의 권위에 바탕을 둔 것'''이지만 그들은 이 관습을 그대로 계속해오고 있다.|존 오브라이언, 《억만인의 신앙》, 가톨릭출판사, 600쪽}} | {{인용문|성서에 일요일이 아니라 토요일로 명시되어 있으니 성교회로가 아니라 성서에서부터 직접 종교를 끌어왔다고 우기는 가톨릭이 아닌 이들도 토요일 대신 일요일을 지키는 것이 이상하지 않은가? 정말 이치에 맞지 않는다. 그러나 실은 개신교가 태어나기 15세기 전에 이렇게 변경된 것으로 개신교가 탄생된 당시에는 이것이 보편적인 관습이 되어 있었다. 이것은 비록 '''성서에 명시된 글에 따른 것이 아니고 가톨릭교회의 권위에 바탕을 둔 것'''이지만 그들은 이 관습을 그대로 계속해오고 있다.|존 오브라이언, 《억만인의 신앙》, 가톨릭출판사, 600쪽}} | ||
일요일은 태양을 숭배하는 날이었으나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전례적 목적으로 일요일을 주님의 날이라 하며 그리스도의 부활과 성령 강림을 기념했다고 주장한다.<ref>{{웹 인용 |url=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3281&keyword=%EC%A3%BC%EC%9D%BC&gubun=01 |제목=주일 |웹사이트=가톨릭 길라잡이-가톨릭 사전 |저널= |출판사=천주교 서울대교구|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ref><br> | 일요일은 태양을 숭배하는 날이었으나 초기 그리스도인들이 전례적 목적으로 일요일을 주님의 날이라 하며 그리스도의 부활과 성령 강림을 기념했다고 주장한다.<ref>{{웹 인용 |url=https://maria.catholic.or.kr/dictionary/term/term_view.asp?ctxtIdNum=3281&keyword=%EC%A3%BC%EC%9D%BC&gubun=01 |제목=주일 |웹사이트=가톨릭 길라잡이-가톨릭 사전 |저널= |출판사=천주교 서울대교구|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ref><br> | ||
십계명 중 안식일에 관한 계명도 성경과 다르게 변경했다. 가톨릭교는 5세기경 아우구스티누스 주교와 몇몇 교부들이 분류한 십계명을 사용하는데 이 분류는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 십계명 중 안식일에 관한 계명도 성경과 다르게 변경했다. 가톨릭교는 5세기경 아우구스티누스 주교와 몇몇 교부들이 분류한 십계명을 사용하는데 이 분류는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는 계명 대신 '주일을 지키라'는 계명을 넣었다.<ref>{{웹 인용 |url=https://pasteve.com/christianity-comparison/catholic/the-ten-commandments-and-catholic/ |제목=십계명도 고친 천주교|웹사이트=패스티브 |저널= |출판사= |저자= |인용문=}}</ref> | ||
===개신교=== | ===개신교=== | ||
칼뱅주의 신앙을 담고 있는 교리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한글로 번역한 《신도게요서》 제21장에 따르면, 개신교는 '안식일은 창세부터 그리스도의 부활까지는 일주일의 마지막 날(토요일)이었으나 그리스도의 부활 이후 일주일의 첫날(일요일)로 | 칼뱅주의 신앙을 담고 있는 교리서 《웨스트민스터 신앙고백》을 한글로 번역한 《신도게요서》 제21장에 따르면, 개신교는 '안식일은 창세부터 그리스도의 부활까지는 일주일의 마지막 날(토요일)이었으나 그리스도의 부활 이후 일주일의 첫날(일요일)로 바뀌었다'고 주장한다.<ref>{{웹 인용 |url= http://www.gapck.org/sub_06/sub09_21.asp|제목=신도게요서|웹사이트=총회헌법|저널=|출판사=대한예수교장로회총회|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ref> 이들은 사도행전 20장 7절<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제목=사도행전 20:7|인용문=안식 후 첫날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ref>과 고린도전서 16장 2절<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6장|제목=고린도전서 16:2|인용문=매주일 첫날에 너희 각 사람이 이를 얻은 대로 저축하여 두어서 내가 갈 때에 연보를 하지 않게 하라}}</ref> 등이 초대교회가 매주 첫날인 일요일에 [[주일예배 (일요일 예배)|주일예배]]를 드린 기록이라고 주장한다.<ref>{{인용 |url= |제목=주일예배 |웹사이트= |저널= 새신자 가이드|출판사=한국문서선교회|날짜= |연도=1998|저자=박원섭 |쪽=80|시리즈= |isbn=9788983560285|인용문=2.왜 이레 중 첫날을 주일로 지키는가? ... 4)성경에 보면 신약 교회 설립 시초부터 주일을 지켜왔기 때문입니다(행20:7, 고전16:2, 계1:10)}}</ref> 그러나 사도행전 20장은 부활절을 기념하는 장면이고, 고린도전서 16장은 예루살렘을 돕기 위한 특별헌금 방법에 대한 권면일 뿐 매주 일요일 예배 기록이 아니다. | ||
{{참고|주일예배 (일요일 예배) #성경적 견해|설명=더 자세한 내용은}} | {{참고|주일예배 (일요일 예배) #성경적 견해|설명=더 자세한 내용은}} | ||
===안식교=== | ===안식교=== |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안식교)는 유대인들의 관습을 따라 하루의 시작을 해 질 때로 보고 금요일 해 질 때부터 토요일 해 질 때까지를 안식일로 여겨 금요일 저녁과 토요일 오전·오후에 예배를 드린다. 안식교는 안식일이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표징이라는 구절을 들어 안식일이 '하나님의 | 제칠일안식일예수재림교회(안식교)는 유대인들의 관습을 따라 하루의 시작을 해 질 때로 보고 금요일 해 질 때부터 토요일 해 질 때까지를 안식일로 여겨 금요일 저녁과 토요일 오전·오후에 예배를 드린다. 안식교는 안식일이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표징이라는 구절을 들어 안식일이 '하나님의 인'이라고 주장한다.<ref>{{웹 인용 |url=https://pasteve.com/christianity-comparison/sda/seventh-day-adventist-church-sabbath/|제목=안식일이 '하나님의 인'인가?|웹사이트=패스티브 |저널= |출판사= |저자=|isbn= |인용문=}}</ref> | ||
==안식일을 지키는 하나님의 교회== | ==안식일을 지키는 하나님의 교회== | ||
[[파일: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새예루살렘 판교성전 예배.jpg |섬네일|400px|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새예루살렘 판교성전 예배.]] | [[파일: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새예루살렘 판교성전 예배.jpg |섬네일|400px|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새예루살렘 판교성전 예배.]] |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예수님과 사도들이 지켰던 새 언약의 안식일을 지킨다.<ref>{{웹 인용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umb=202003100052 |제목=[종교탐방/인터뷰]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총회장 김주철 목사 “누구도 외롭지 않은 세상, 하나님 사랑을 근본으로 만들어 갑니다” |웹사이트= |저널=월간조선 |출판사=조선뉴스프레스 |날짜=2020. 2. 17. |연도= |저자= |저자링크= |저자2= |저자링크2= |쪽=535 |시리즈= |언어= |번역제목= |issn=1228-2197 |인용문=― 교회에 십자가가 없고, 토요일에 예배한다는 점이 일견 두드러집니다. 그것도 초대교회 모습인가요. “세월이 흐르면서 많은 진리가 사람들의 뇌리에서 사라지고 변질됐지만, 우리는 하나님의 가르침을 따라, 초대교회에서 예수님과 제자들이 지키던 안식일, 유월절을 비롯해 하나님의 절기와 계명을 소중히 지키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는 전 세계에서 유일하게 예수님과 사도들이 지켰던 새 언약의 안식일을 지킨다.<ref>{{웹 인용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E&nNewsNumb=202003100052 |제목=[종교탐방/인터뷰]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총회장 김주철 목사 “누구도 외롭지 않은 세상, 하나님 사랑을 근본으로 만들어 갑니다” |웹사이트= |저널=월간조선 |출판사=조선뉴스프레스 |날짜=2020. 2. 17. |연도= |저자= |저자링크= |저자2= |저자링크2= |쪽=535 |시리즈= |언어= |번역제목= |issn=1228-2197 |인용문=― 교회에 십자가가 없고, 토요일에 예배한다는 점이 일견 두드러집니다. 그것도 초대교회 모습인가요. “세월이 흐르면서 많은 진리가 사람들의 뇌리에서 사라지고 변질됐지만, 우리는 하나님의 가르침을 따라, 초대교회에서 예수님과 제자들이 지키던 안식일, 유월절을 비롯해 하나님의 절기와 계명을 소중히 지키고 있습니다. 하나님께서는 '안식일을 기억하여 거룩히 지키라' 명하셨는데 성경의 안식일은 일곱째 날, 토요일입니다. 그래서 안식일 예배를 지키는 것이고요.” }}</ref> 성경의 시간법에 따르면 하루의 시작은 해 뜰 때이므로 토요일에 안식일 오전·오후·저녁 예배를 드린다. 안식일에는 창조주이신 [[엘로힘]] 하나님의 권능을 기념하며, 안식일을 하나님과 백성 사이의 표징, 영원한 안식의 예표로 믿는다.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