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절: 두 판 사이의 차이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신약시대=== | ===신약시대=== | ||
가을에 맞이하는 3차 절기는 나팔절을 시작으로 대속죄일(성력 7월 10일), [[초막절]](성력 7월 15-22일) 순으로 이어진다. 초막절은 3차 절기를 대표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 |제목=신명기 16:16 |저널= |인용문=너의 중 모든 남자는 일 년 삼차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의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께 보이되 공수로 여호와께 보이지 말고 }}</ref> 신약시대 구원자로 오신 예수님은 초막절 지키는 본을 보이셨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2, 37-39 |저널= |인용문=유대인의 명절인 '''초막절'''이 가까운지라 ... 명절 끝 날 곧 큰 날에 예수께서 서서 외쳐 가라사대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하시니 이는 그를 믿는 자의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ref> 이는 예수님이 나팔절 역시 지키셨음을 의미한다.<br> | 가을에 맞이하는 3차 절기는 나팔절을 시작으로 대속죄일(성력 7월 10일), [[초막절]](성력 7월 15-22일) 순으로 이어진다. 초막절은 3차 절기를 대표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 |제목=신명기 16:16 |저널= |인용문=너의 중 모든 남자는 일 년 삼차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의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께 보이되 공수로 여호와께 보이지 말고 }}</ref> 신약시대 구원자로 오신 예수님은 초막절 지키는 본을 보이셨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2, 37-39 |저널= |인용문=유대인의 명절인 '''초막절'''이 가까운지라 ... 명절 끝 날 곧 큰 날에 예수께서 서서 외쳐 가라사대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하시니 이는 그를 믿는 자의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ref> 이는 예수님이 나팔절 역시 지키셨음을 의미한다.<br> | ||
예수님의 본을 따라 신약시대 성도들도 나팔절을 지켜야 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15 |저널= |인용문=내가 너희에게 행한 | 예수님의 본을 따라 신약시대 성도들도 나팔절을 지켜야 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15 |저널= |인용문=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ref> 짐승을 잡아 제사를 드렸던 구약시대와 달리, 신약시대에는 성력 7월 1일부터 열흘간 1년 동안 지은 죄를 하나님께 고백하고 회개 기도를 올려 대속죄일을 준비하는 예배를 드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4장 |제목=요한복음 4:23-24 |저널= |인용문=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 }}</ref>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