천국 가족: 두 판 사이의 차이

Behappy7942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Behappy7942 (토론 | 기여)
4번째 줄: 4번째 줄:
== 사랑의 결정체, 가족 ==
== 사랑의 결정체, 가족 ==
[[파일:2007 Snow-Hill-Island Luyten-De-Hauwere-Emperor-Penguin-109.jpg |섬네일 | 250px | 황제펭귄 가족]]
[[파일:2007 Snow-Hill-Island Luyten-De-Hauwere-Emperor-Penguin-109.jpg |섬네일 | 250px | 황제펭귄 가족]]
가족은 사랑의 결정체다. 사랑으로 백년가약을 맺은 부부가 자녀를 낳아 사랑으로 기르는 곳이 가정이다. 부부애(夫婦愛), 부성애(父性愛), 모성애(母性愛), 형제애(兄弟愛), 효성(孝誠) 등 가족 간의 사랑은 행복한 삶의 주요 덕목이다.<ref>{{웹 인용 |url=https://www.kihasa.re.kr |제목=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 연구 |웹사이트=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널= |출판사= |날짜=2019년 12월 |연도= |저자=정해식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사람들은 행복하기 위한 조건을 ... 우선 1순위를 기준으로 전체 집단에서 '좋은 배우자와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것'의 응답률이 31%로 가장 높다. }}</ref> 특히 자녀를 향한 부모의 사랑은 무조건적으로서, 동물들에게도 흔히 나타난다.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4610 가시고기]와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20127001301604 황제펭귄]은 부성애가 강하다. 보름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 알들에 신선한 산소를 공급하며 침입자들과 사투를 벌이는 가시고기는, 알들이 부화하면 기력이 소진해 죽는다. 죽은 아비는 부화한 새끼들의 먹이가 된다. 황제펭귄은 약 두 달간 꼼짝없이 알을 품는다. 먹이활동을 중단하고 영하 60도에 이르는 혹독한 추위와 포식자들로부터 알을 지켜낸다. 모성애는 조류와 포유류에서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br />
가족은 사랑의 결정체다. 사랑으로 백년가약을 맺은 부부가 자녀를 낳아 사랑으로 기르는 곳이 가정이다. 부부애(夫婦愛), 부성애(父性愛), 모성애(母性愛), 형제애(兄弟愛), 효성(孝誠) 등 가족 간의 사랑은 행복한 삶의 주요 덕목이다.<ref>{{웹 인용 |url=https://www.kihasa.re.kr/news/press/view?seq=2223 |제목=한국인의 행복과 삶의 질에 관한 종합 연구 |웹사이트=한국보건사회연구원 |저널= |출판사= |날짜=2019년 12월 |연도= |저자=정해식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사람들은 행복하기 위한 조건을 ... 우선 1순위를 기준으로 전체 집단에서 '좋은 배우자와 행복한 가정을 이루는 것'의 응답률이 31%로 가장 높다. }}</ref> 특히 자녀를 향한 부모의 사랑은 무조건적으로서, 동물들에게도 흔히 나타난다.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24610 가시고기]와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20127001301604 황제펭귄]은 부성애가 강하다. 보름 동안 아무것도 먹지 않고 알들에 신선한 산소를 공급하며 침입자들과 사투를 벌이는 가시고기는, 알들이 부화하면 기력이 소진해 죽는다. 죽은 아비는 부화한 새끼들의 먹이가 된다. 황제펭귄은 약 두 달간 꼼짝없이 알을 품는다. 먹이활동을 중단하고 영하 60도에 이르는 혹독한 추위와 포식자들로부터 알을 지켜낸다. 모성애는 조류와 포유류에서 보편적으로 관찰되는 현상이다. <br />
미물은 물론 이성을 가진 사람도 자녀의 위험 앞에서는 본능이 앞선다. 태아를 위해 항암 치료를 거부하고 세상을 떠난 어머니, 추락하는 케이블카에서 아들을 품에 안아 살린 아버지, 달려오는 트럭 앞에서 자녀를 밀어내고 희생된 어머니 등 자녀를 위해 헌신하고 자신의 생명까지 포기하는 아버지 혹은 어머니 이야기는 언론을 통해 종종 보도된다.<ref>{{웹 인용 |url=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11101948338 |제목=임산부 태아위해 항암치료 거부하고 숨져 |웹사이트= |저널=한경닷컴 |출판사= |날짜=2011.10.1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05/25/GLWGJJLVXVE7NJC4ZZJSHAZJDU/ |제목=‘케이블카 참사’ 유일한 생존 5살 아이, 아빠가 꼭 안고 있었다 |웹사이트= |저널=조선일보 |출판사= |날짜=2021.05.25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30508000181 |제목=
미물은 물론 이성을 가진 사람도 자녀의 위험 앞에서는 본능이 앞선다. 태아를 위해 항암 치료를 거부하고 세상을 떠난 어머니, 추락하는 케이블카에서 아들을 품에 안아 살린 아버지, 달려오는 트럭 앞에서 자녀를 밀어내고 희생된 어머니 등 자녀를 위해 헌신하고 자신의 생명까지 포기하는 아버지 혹은 어머니 이야기는 언론을 통해 종종 보도된다.<ref>{{웹 인용 |url=https://www.hankyung.com/international/article/2011101948338 |제목=임산부 태아위해 항암치료 거부하고 숨져 |웹사이트= |저널=한경닷컴 |출판사= |날짜=2011.10.1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www.chosun.com/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2021/05/25/GLWGJJLVXVE7NJC4ZZJSHAZJDU/ |제목=‘케이블카 참사’ 유일한 생존 5살 아이, 아빠가 꼭 안고 있었다 |웹사이트= |저널=조선일보 |출판사= |날짜=2021.05.25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www.busan.com/view/busan/view.php?code=20130508000181 |제목=
2013년 안타까운 母情, 지적장애 딸 구하고 트럭에 치여 숨져 |웹사이트= |저널=부산일보 |출판사= |날짜=2013.05.0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정은 생명의 보금자리이자, 사랑이 근간인 조직이다.
2013년 안타까운 母情, 지적장애 딸 구하고 트럭에 치여 숨져 |웹사이트= |저널=부산일보 |출판사= |날짜=2013.05.0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동서고금을 막론하고 가정은 생명의 보금자리이자, 사랑이 근간인 조직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