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두 판 사이의 차이

Sally (토론 | 기여)
Sally (토론 | 기여)
26번째 줄: 26번째 줄:
대다수 교회는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428 춘분] 후에 오는 만월(滿月) 후 첫 일요일'을 부활절로 기념한다.<ref>"부활절", 《표준국어대사전》, "부활-절(復活節)「명사」 예수의 부활을 기념하는 축일. 춘분(春分) 뒤의 첫 만월(滿月) 다음에 오는 일요일이다."</ref> 이는 2-4세기, 유월절 성찬식 날짜를 두고 동·서방 교회 간에 촉발된 파스카 논쟁에서 서방 교회의 주장이 받아들여진 결과다.
대다수 교회는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1428 춘분] 후에 오는 만월(滿月) 후 첫 일요일'을 부활절로 기념한다.<ref>"부활절", 《표준국어대사전》, "부활-절(復活節)「명사」 예수의 부활을 기념하는 축일. 춘분(春分) 뒤의 첫 만월(滿月) 다음에 오는 일요일이다."</ref> 이는 2-4세기, 유월절 성찬식 날짜를 두고 동·서방 교회 간에 촉발된 파스카 논쟁에서 서방 교회의 주장이 받아들여진 결과다.


당시 서방 교회는 유월절 성찬식을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성력 정월 14일 저녁에 행하지 않고 부활절에 행할 것을 주장했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서방 교회의 의견을 따르기로 결정하면서 본래 성찬식을 행하던 절기인 [[새 언약 유월절]]은 교회력에서 사라지고, 부활절 날짜는 '춘분 후 첫 번째 보름달이 뜬 다음의 일요일'로 정해졌다.<ref>[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30184 부활절 달걀 (Easter eggs)]《울산제일일보》2019. 4. 21. "기독교인들에게 부활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장사 지낸 지 사흘 만에 무덤에서 다시 살아나신’ 가장 기적적이고 역사적인 사건이다. ... 이를 기념하기 위한 ‘부활절’은 초대교회(=初代敎會=AD 33~150년 무렵에 성립된 원시기독교시대의 교회들) 당시로 거슬러 오른다. 오늘날 지켜지고 있는 부활절은 모두 ‘제1회 니케아 공의회’(=AD 325년, 로마황제 콘스탄티누스가 기독교 교리 논란에 마침표를 찍었던 회의) 때의 결정을 따른 것이다. 시기는 춘분(3월 21일경) 후 최초의 만월(滿月) 다음에 오는 첫째 주일이 보통이다."</ref>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5076 그레고리력]으로는 대개 3월 22일에서 4월 25일 사이인데,<ref>신학교재편찬위원회, 《간추린 교회사》, 도서출판 세종문화사, 64-67쪽</ref><ref>제임스 C. 기본스, 《교부들의 신앙》, 가톨릭출판사, 139쪽</ref><ref>베탄 패트릭, 존 톰슨, 《1%를 위한 상식백과》, 도서출판 써네스트</ref> 이는 당시 유럽에서 널리 숭배하던 여신 '에오스트레(이스터)'의 축제일과 비슷한 시기다.<ref>{{웹 인용 |url=http://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857 |제목=[2019년 부활절]부활절이란?, 달걀의 의미와 달걀 나눠주는 이유는? |웹사이트= |저널=인사이트코리아 |출판사= |날짜=2019. 4. 21.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부활절을 뜻하는 영어 'Easter'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며, 앵글로 색슨 족의 오랜 봄철 축제인 'Old English ēaster'나 'ēastre'에 유래하고 있다. 이들은 게르만족 신화에 나오는 봄의 여신 '에오스트레'(Eostre)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ref><ref>[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406 잘못된 부활절 토끼와 계란 풍습]《경북매일》2017. 4. 17. "바벨론의 신이었던 이쉬타르(Ishtar· 아세라의 변형)를 숭배하는 축제의 전통이 영국에 소개되어 부활절에 끼어들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고대 종교에서는 하늘의 신 아스타르테(Astarte)를 기념하는 축제일이 있었는데 아스타르테를 숭배하던 방식과 시기가 부활절과 비슷했다고 한다. 아스타르테는 이쉬타르 혹은 이스터(Easter)라고 발음 된다. ... 또한 기독교 풍습이 유럽에 전파될 무렵, 북부 유럽에서는 봄에 '이스트르(Eastre)' 축제를 계속하고 있었다. 그리스도인들은 바로 이 이스트르 축제가 열리는 비슷한 시기에 부활절 파스카를 경축하였던 것이다."</ref> 오늘날 부활절을 영어로 '이스터(Easte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은 이스터 여신의 축제와 관련이 있다.<ref>{{인용 |url= |제목=부활절 |웹사이트= |저널=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출판사=한국 브리태니커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영어명 'Easter'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8세기 앵글로색슨족의 사제인 가경자(可敬者) 비드는 이 말이 앵글로색슨족이 숭배하는 봄의 여신 '에오스터' (Eostre)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했다. }}</ref>
당시 서방 교회는 유월절 성찬식을 예수님의 가르침대로 성력 정월 14일 저녁에 행하지 않고 부활절에 행할 것을 주장했다. 325년 니케아 공의회에서 서방 교회의 의견을 따르기로 결정하면서 본래 성찬식을 행하던 절기인 [[새 언약 유월절]]은 교회력에서 사라지고, 부활절 날짜는 '춘분 후 첫 번째 보름달이 뜬 다음의 일요일'로 정해졌다.<ref>[http://www.uj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230184 부활절 달걀 (Easter eggs)]《울산제일일보》2019. 4. 21. "기독교인들에게 부활은 ‘예수님이 십자가에 못 박혀 죽으시고 장사 지낸 지 사흘 만에 무덤에서 다시 살아나신’ 가장 기적적이고 역사적인 사건이다. ... 이를 기념하기 위한 ‘부활절’은 초대교회(=初代敎會=AD 33~150년 무렵에 성립된 원시기독교시대의 교회들) 당시로 거슬러 오른다. 오늘날 지켜지고 있는 부활절은 모두 ‘제1회 니케아 공의회’(=AD 325년, 로마황제 콘스탄티누스가 기독교 교리 논란에 마침표를 찍었던 회의) 때의 결정을 따른 것이다. 시기는 춘분(3월 21일경) 후 최초의 만월(滿月) 다음에 오는 첫째 주일이 보통이다."</ref>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5076 그레고리력]으로는 대개 3월 22일에서 4월 25일 사이인데,<ref>신학교재편찬위원회, 《간추린 교회사》, 도서출판 세종문화사, 64-67쪽</ref><ref>제임스 C. 기본스, 《교부들의 신앙》, 가톨릭출판사, 139쪽</ref><ref>베탄 패트릭, 존 톰슨, 《1%를 위한 상식백과》, 도서출판 써네스트</ref> 이는 당시 유럽에서 널리 숭배하던 여신 '에오스트레(이스터)'의 축제일과 비슷한 시기다.<ref>{{웹 인용 |url=http://www.insightkorea.co.kr//news/articleView.html?idxno=35857 |제목=[2019년 부활절]부활절이란?, 달걀의 의미와 달걀 나눠주는 이유는? |웹사이트= |저널=인사이트코리아 |출판사= |날짜=2019. 4. 21.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부활절을 뜻하는 영어 'Easter'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과 직접적인 관계는 없으며, 앵글로 색슨 족의 오랜 봄철 축제인 'Old English ēaster'나 'ēastre'에 유래하고 있다. 이들은 게르만족 신화에 나오는 봄의 여신 '에오스트레'(Eostre)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알려져 있다. }}</ref><ref>[http://www.kbmaeil.com/news/articleView.html?idxno=412406 잘못된 부활절 토끼와 계란 풍습]《경북매일》2017. 4. 17. "바벨론의 신이었던 이쉬타르(Ishtar· 아세라의 변형)를 숭배하는 축제의 전통이 영국에 소개되어 부활절에 끼어들었다는 설이 있다. 또한 고대 종교에서는 하늘의 신 아스타르테(Astarte)를 기념하는 축제일이 있었는데 아스타르테를 숭배하던 방식과 시기가 부활절과 비슷했다고 한다. 아스타르테는 이쉬타르 혹은 이스터(Easter)라고 발음 된다. ... 또한 기독교 풍습이 유럽에 전파될 무렵, 북부 유럽에서는 봄에 '이스트르(Eastre)' 축제를 계속하고 있었다. 그리스도인들은 바로 이 이스트르 축제가 열리는 비슷한 시기에 부활절 파스카를 경축하였던 것이다."</ref> 오늘날 부활절을 영어로 '이스터(Easter)'라는 이름으로 부르게 된 것은 이스터 여신의 축제와 관련이 있다.<ref>{{인용 |url= |제목=부활절 |웹사이트= |저널=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출판사=한국 브리태니커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영어명 'Easter'의 기원은 정확히 알 수 없으나, 8세기 앵글로색슨족의 사제인 가경자(可敬者) 비드는 이 말이 앵글로색슨족이 숭배하는 봄의 여신 '에오스터' (Eostre)에서 파생된 것이라고 했다. }}</ref>


==부활절의 의식==
==부활절의 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