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로힘: 두 판 사이의 차이

Violet (토론 | 기여)
Violet (토론 | 기여)
22번째 줄: 22번째 줄: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6]}}{{인용문5 |내용=Then God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in '''our''' likeness" |출처=[http://www.holybible.or.kr/B_NIV/cgi/bibleftxt.php?VR=NIV&VL=1&CN=1&CV=99 Genesis 1:26]}}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6]}}{{인용문5 |내용=Then God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in '''our''' likeness" |출처=[http://www.holybible.or.kr/B_NIV/cgi/bibleftxt.php?VR=NIV&VL=1&CN=1&CV=99 Genesis 1:26]}}
하나님이 한 분으로 존재한다면 '우리'가 아닌 '나'라고 해야 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나의 형상을 따라 나의 모양대로 내가 사람을 만들고"라고 하지 않으시고 반복해서 '우리'라고 표현했다. 하나님의 복수형 표현은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며 오직 한 분이라고 믿어온 기독교인들에게 의문을 던진다.  
하나님이 한 분으로 존재한다면 '우리'가 아닌 '나'라고 해야 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나의 형상을 따라 나의 모양대로 내가 사람을 만들고"라고 하지 않으시고 반복해서 '우리'라고 표현했다. 하나님의 복수형 표현은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며 오직 한 분이라고 믿어온 기독교인들에게 의문을 던진다.  
{{인용문 |"창세기 1장의 절정과 그 신비의 핵심은 히브리어로 인간 혹은 인류를 뜻하는 '아담'의 창조에 관한 묘사에 있다 ... 하나님은 "인간이 있으라" 하고 말하지 않는다. 그 대신 하나님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창세기 1:26)"고 말한다 ... 이 대목은 오랫동안 성서를 해석하는 사람들에게 수수께끼가 되어왔다." |성서 속의 불가사의: 풀리지 않는 의문들, Reader's Digest Association, 동아출판사, P. 21, ISBN 8900000691}}
{{인용문 |"창세기 1장의 절정과 그 신비의 핵심은 히브리어로 인간 혹은 인류를 뜻하는 '아담'의 창조에 관한 묘사에 있다 ... 하나님은 "인간이 있으라" 하고 말하지는 않는다. 그 대신 하나님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창세기 1:26)"고 말한다 ... 이 대목은 오랫동안 성서를 해석하는 사람들에게 수수께끼가 되어왔다." |성서 속의 불가사의: 풀리지 않는 의문들, Reader's Digest Association, 동아출판사, P. 21, ISBN 8900000691}}
이에 대한 신학자들의 의견은 분분하다. '우리'라는 표현이 하나님 자신과 천사들을 의미한다는 주장, 삼위일체를 의미한다는 주장, 혹은 하나님의 위엄을 나타내기 위해 복수형을 사용한다는 주장도 있고, 성경을 기록할 당시 주변 다신교 민족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br/> 만일 '우리'가 하나님과 천사들을 의미한다면 천사의 피조물인 사람은 천사들을 창조주로 섬겨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성경은 천사들을 가리켜 구원받을 성도들을 섬기는 영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장 |제목=히브리서 1:14 |저널= |인용문= 모든 천사들은 부리는 영으로서 구원 얻을 후사들을 위하여 섬기라고 보내심이 아니뇨}}</ref> 성도들의 판단을 받을 대상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6장 |제목=고린도전서 6:3 |저널= |인용문= 우리가 천사를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ref>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성삼위일체]]는 성부, 성자, 성령이 한 분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뜻으로, 본질적으로 복수(複數)가 될 수 없다. 십계명의 첫 번째 계명이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인 것을 감안할 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3 |저널= |인용문=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찌니라}}</ref> 다신교 민족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을 복수형으로 표기했다는 주장도 비논리적이다.
이에 대한 신학자들의 의견은 분분하다. '우리'라는 표현이 하나님 자신과 천사들을 의미한다는 주장, 삼위일체를 의미한다는 주장, 혹은 하나님의 위엄을 나타내기 위해 복수형을 사용한다는 주장도 있고, 성경을 기록할 당시 주변 다신교 민족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br/> 만일 '우리'가 하나님과 천사들을 의미한다면 천사의 피조물인 사람은 천사들을 창조주로 섬겨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성경은 천사들을 가리켜 구원받을 성도들을 섬기는 영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장 |제목=히브리서 1:14 |저널= |인용문= 모든 천사들은 부리는 영으로서 구원 얻을 후사들을 위하여 섬기라고 보내심이 아니뇨}}</ref> 성도들의 판단을 받을 대상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6장 |제목=고린도전서 6:3 |저널= |인용문= 우리가 천사를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ref>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성삼위일체]]는 성부, 성자, 성령이 한 분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뜻으로, 본질적으로 복수(複數)가 될 수 없다. 십계명의 첫 번째 계명이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인 것을 감안할 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3 |저널= |인용문=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ref> 다신교 민족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을 복수형으로 표기했다는 주장도 비논리적이다.


== 엘로힘은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 ==
== 엘로힘은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