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로힘: 두 판 사이의 차이
| 40번째 줄: | 40번째 줄: | ||
{{인용문5 |내용=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이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B%A1%9C%EB%A7%88%EC%84%9C#5%EC%9E%A5 로마서 5:14]}} | {{인용문5 |내용=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이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B%A1%9C%EB%A7%88%EC%84%9C#5%EC%9E%A5 로마서 5:14]}} | ||
{{인용문5 |내용= 첫 사람 아담은 산 영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주는 영이 되었나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A%B3%A0%EB%A6%B0%EB%8F%84%EC%A0%84%EC%84%9C#15%EC%9E%A5 고린도전서 15:44-45]}} | {{인용문5 |내용= 첫 사람 아담은 산 영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주는 영이 되었나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A%B3%A0%EB%A6%B0%EB%8F%84%EC%A0%84%EC%84%9C#15%EC%9E%A5 고린도전서 15:44-45]}} | ||
아담이 그리스도 즉,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듯 그의 아내인 [[하와 (이브)|하와]]( | 아담이 그리스도 즉,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듯 그의 아내인 [[하와 (이브)|하와]](Hawwāh, Eve)는 어머니 하나님을 표상한다. 하와라는 이름의 뜻은 '생명'으로, 하와는 단지 세 아들, 가인, 아벨, 셋의 어머니가 아닌 '모든 산 자의 어머니'라 칭함 받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20 |저널= |인용문=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ref> 이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마지막 하와로 비유된 어머니 하나님으로부터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될 예언이다. <br> | ||
성경은 하나님을 한 분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2장 |제목=디모데전서 2:5 |저널= |인용문=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6장 |제목=디모데전서 6:15 |저널= |인용문= 하나님은 복되시고 홀로 한 분이신 능하신 자이며}}</ref> 그 이유도 아담과 하와를 통해 알 수 있다. 뱀의 유혹에 넘어가 선악과를 먼저 먹은 사람은 하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6 |저널= |인용문= 여자가 그 실과를 따 먹고 자기와 함께한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ref> 그러나 성경은 '아담의 범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4 |저널= |인용문=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 위에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ref> 또는 '한 사람의 범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5 |저널= |인용문=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ref>라 기록한다. 아담과 하와를 한 몸으로 여긴다는 뜻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제목=창세기 2:22-24 |저널= |인용문=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ref> 두 사람을 한 사람으로 여기는 이유는 하와가 아담의 일부(갈빗대)로 창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담과 하와는 개체이나 아담 한 사람으로도 표현되고, 아담과 하와 두 사람이 한 일을 아담 한 사람이 한 것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하나님의 모양대로 창조된 복사본과 같다. 복사본인 아담, 하와가 이러하다면 원본이신 하나님도 마찬가지다. 엘로힘 하나님 역시 아버지 하나님, 어머니 하나님으로 각각 존재하시지만 한 분 하나님으로 표현할 수 있고, 두 분 하나님께서 함께하신 일도 얼마든지 아버지 하나님 홀로 하셨다고 말할 수 있다. | 성경은 하나님을 한 분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2장 |제목=디모데전서 2:5 |저널= |인용문=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6장 |제목=디모데전서 6:15 |저널= |인용문= 하나님은 복되시고 홀로 한 분이신 능하신 자이며}}</ref> 그 이유도 아담과 하와를 통해 알 수 있다. 뱀의 유혹에 넘어가 선악과를 먼저 먹은 사람은 하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6 |저널= |인용문= 여자가 그 실과를 따 먹고 자기와 함께한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ref> 그러나 성경은 '아담의 범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4 |저널= |인용문=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 위에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ref> 또는 '한 사람의 범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5 |저널= |인용문=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ref>라 기록한다. 아담과 하와를 한 몸으로 여긴다는 뜻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제목=창세기 2:22-24 |저널= |인용문=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ref> 두 사람을 한 사람으로 여기는 이유는 하와가 아담의 일부(갈빗대)로 창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담과 하와는 개체이나 아담 한 사람으로도 표현되고, 아담과 하와 두 사람이 한 일을 아담 한 사람이 한 것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하나님의 모양대로 창조된 복사본과 같다. 복사본인 아담, 하와가 이러하다면 원본이신 하나님도 마찬가지다. 엘로힘 하나님 역시 아버지 하나님, 어머니 하나님으로 각각 존재하시지만 한 분 하나님으로 표현할 수 있고, 두 분 하나님께서 함께하신 일도 얼마든지 아버지 하나님 홀로 하셨다고 말할 수 있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