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양의 아내 (신부): 두 판 사이의 차이

Gn (토론 | 기여)
Gn (토론 | 기여)
25번째 줄: 25번째 줄:
===목적===
===목적===
천국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는 것은, 하객으로 비유된 성도들이 영원한 생명을 얻어 천국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일은 어린양과 그 아내가 등장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린양의 아내가 예비함으로 혼인 잔치가 성사될 예언은, 어린양의 아내로 표상된 어머니 하나님이 등장하여 영원한 생명을 주실 것을 나타낸다. <br>
천국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는 것은, 하객으로 비유된 성도들이 영원한 생명을 얻어 천국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일은 어린양과 그 아내가 등장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린양의 아내가 예비함으로 혼인 잔치가 성사될 예언은, 어린양의 아내로 표상된 어머니 하나님이 등장하여 영원한 생명을 주실 것을 나타낸다. <br>
그러한 뜻을 에덴동산의 [[아담]]과 [[하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4 |저널= |인용문= 그러나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 위에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이라}}</ref> 아담과 하와는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을 표상한다. 하와가 ‘생명’이라는 뜻의 이름을 갖고 ‘모든 산 자의 어머니’라 불리게 된 이유도, 하와로 비유된 어머니 하나님으로부터 영생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그러한 뜻을 에덴동산의 [[아담]]과 [[하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4 |저널= |인용문= 그러나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 위에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이라}}</ref> 아담과 하와는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을 표상한다. 하와가 ‘생명’이라는 뜻의 이름을 갖고 ‘모든 산 자의 어머니’라 불리게 된 이유도, 하와로 비유된 어머니 하나님으로부터 영생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인용문5 |내용=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난하주-'''‘생명’'''이라는 뜻]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창세기 3:20]}}
{{인용문5 |내용=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난하주-'''‘생명’'''이라는 뜻]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창세기 3:20]}}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의 등장으로 성도들이 천국 혼인 잔치에 나아가 영생 얻게 될 예언을, 요한은 [[성령과 신부]]가 생명수를 주시는 모습으로도 기록했다.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의 등장으로 성도들이 천국 혼인 잔치에 나아가 영생 얻게 될 예언을, 요한은 [[성령과 신부]]가 생명수를 주시는 모습으로도 기록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