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속죄일: 두 판 사이의 차이

Gn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Gn (토론 | 기여)
14번째 줄: 14번째 줄:


==대속죄일의 유래==
==대속죄일의 유래==
[[모세]]가 첫 번째 [[십계명]]을 받기 위해 [[시내산]]에 올라가 40일을 머무르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가 죽었을 것이라 여기고 자신들을 가나안 땅까지 인도할 신(神)으로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섬겼다. 십계명을 받아 내려오다 이 모습을 목격한 모세는 진노하여 십계명 돌판을 깨뜨려버렸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7-19, 27-28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내려가라 네가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네 백성이 부패하였도다 그들이 내가 그들에게 명한 길을 속히 떠나 자기를 위하여 송아지를 부어 만들고 그것을 숭배하며 그것에게 희생을 드리며 말하기를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라 하였도다 ...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 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십계명]'''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 ... 이 날에 백성 중에 삼천 명가량이 죽인 바 된지라 }}</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신들의 죄를 회개했다. <br>
[[모세]]가 첫 번째 [[십계명]]을 받기 위해 [[시내산]]에 올라가 40일을 머무르는 동안, 이스라엘 백성들은 그가 죽었을 것이라 여기고 자신들을 가나안 땅까지 인도할 신(神)으로 금송아지 우상을 만들어 섬겼다. 십계명을 받아 내려오다 이 모습을 목격한 모세는 진노하여 십계명 돌판을 깨뜨려버렸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7-19, 27-28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내려가라 네가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네 백성이 부패하였도다 그들이 내가 그들에게 명한 길을 속히 떠나 자기를 위하여 송아지를 부어 만들고 그것을 숭배하며 그것에게 희생을 드리며 말하기를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라 하였도다 ...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 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십계명]'''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 ... 이날에 백성 중에 삼천 명가량이 죽인 바 된지라 }}</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자신들의 죄를 회개했다. <br>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용서하시고 다시 십계명을 주시기 위해 모세를 시내산으로 부르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4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 ... 모세가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고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그 두 돌판을 손에 들고 여호와의 명대로 시내 산에 올라가니 }}</ref> 모세는 시내산에서 40일 동안 금식하며 하나님께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내려왔다. 그날이 성력 7월 10일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28-29 |인용문=모세가 여호와와 함께 사십일 사십야를 거기 있으면서 떡도 먹지 아니하였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으며 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 모세가 그 증거의 두 판을 자기 손에 들고 시내산에서 내려오니}}</ref> 이스라엘이 깨뜨려진 십계명을 다시 허락받은 데는 그들의 죄를 용서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자비로운 뜻이 담겨 있다. 하나님은 모세가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가지고 내려오던 날을 대속죄일로 정해 대대로 지키라고 명하셨다.
하나님은 이스라엘 백성들을 용서하시고 다시 십계명을 주시기 위해 모세를 시내산으로 부르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4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 ... 모세가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고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그 두 돌판을 손에 들고 여호와의 명대로 시내 산에 올라가니 }}</ref> 모세는 시내산에서 40일 동안 금식하며 하나님께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내려왔다. 그날이 성력 7월 10일이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28-29 |인용문=모세가 여호와와 함께 사십일 사십야를 거기 있으면서 떡도 먹지 아니하였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으며 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 모세가 그 증거의 두 판을 자기 손에 들고 시내산에서 내려오니}}</ref> 이스라엘이 깨뜨려진 십계명을 다시 허락받은 데는 그들의 죄를 용서하시겠다는 하나님의 자비로운 뜻이 담겨 있다. 하나님은 모세가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가지고 내려오던 날을 대속죄일로 정해 대대로 지키라고 명하셨다.
{{인용문5 |내용=칠월 십일은 속죄일이니 너희에게 성회라 너희는 스스로 괴롭게 하며 여호와께 화제를 드리고 이 날에는 아무 일도 하지 말 것은 너희를 위하여 너희 하나님 여호와 앞에 속죄할 속죄일이 됨이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레위기 23:26-31] }}
{{인용문5 |내용=칠월 십일은 속죄일이니 너희에게 성회라 너희는 스스로 괴롭게 하며 여호와께 화제를 드리고 이날에는 아무 일도 하지 말 것은 너희를 위하여 너희 하나님 여호와 앞에 속죄할 속죄일이 됨이니라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레위기 23:26-31] }}


==대속죄일의 의식==
==대속죄일의 의식==