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성: 두 판 사이의 차이

Gn (토론 | 기여)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Gn (토론 | 기여)
태그: 모바일 편집 모바일 웹 편집
27번째 줄: 27번째 줄:
===바벨론 포로 이후의 다윗성===
===바벨론 포로 이후의 다윗성===
[[파일: 예루살렘 성전 지도.jpg|섬네일 | 다윗성과 예루살렘 성전 지도]]
[[파일: 예루살렘 성전 지도.jpg|섬네일 | 다윗성과 예루살렘 성전 지도]]
바벨론 포로 귀환 이후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예루살렘 성전과 성벽을 재건했으나, 그 규모는 훨씬 축소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6장 |제목=에스라 6:14-16 |저널= |인용문= 유다 사람의 장로들이 선지자 학개와 잇도의 손자 스가랴의 권면함으로 인하여 전 건축할 일이 형통한지라 이스라엘 하나님의 명령과 바사 왕 고레스와 다리오와 아닥사스다의 조서를 좇아 전을 건축하며 필역하되 다리오왕 육년 아달월 삼일에 전을 필역하니라 이스라엘 자손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기타 사로잡혔던 자의 자손이 즐거이 하나님의 전 봉헌식을 행하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3장 |제목=느헤미야 3:15 |저널= |인용문= 샘문은 미스바 지방을 다스리는 골호세의 아들 살룬이 중수하여 문을 세우고 덮으며 문짝을 달며 자물쇠와 빗장을 갖추고 또 왕의 동산 근처 셀라 못가의 성벽을 중수하여 다윗성에서 내려오는 층계까지 이르렀고}}</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12장 |제목=느헤미야 12:37 |저널= |인용문= 샘문으로 말미암아 전진하여 성으로 올라가는 곳에 이르러 다윗성의 층계로 올라가서 다윗의 궁 윗 길에서 동향하여 수문에 이르렀고}}</ref> 로마 시대에 이르러 헤롯왕이 성전을 개축했으나 A.D. 70년 로마 군대가 성전과 성벽을 다시 한번 파괴했다. 이후 오늘날까지 성전은 재건되지 못하고 있다.
바벨론 포로 귀환 이후에 이스라엘 백성들은 예루살렘 성전과 성벽을 재건했으나, 그 규모는 훨씬 축소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6장 |제목=에스라 6:14-16 |저널= |인용문= 유다 사람의 장로들이 선지자 학개와 잇도의 손자 스가랴의 권면함으로 인하여 전 건축할 일이 형통한지라 이스라엘 하나님의 명령과 바사 왕 고레스와 다리오와 아닥사스다의 조서를 좇아 전을 건축하며 필역하되 다리오왕 육년 아달월 삼일에 전을 필역하니라 이스라엘 자손과 제사장들과 레위 사람들과 기타 사로잡혔던 자의 자손이 즐거이 하나님의 전 봉헌식을 행하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3장 |제목=느헤미야 3:15 |저널= |인용문= 샘문은 미스바 지방을 다스리는 골호세의 아들 살룬이 중수하여 문을 세우고 덮으며 문짝을 달며 자물쇠와 빗장을 갖추고 또 왕의 동산 근처 셀라 못가의 성벽을 중수하여 다윗성에서 내려오는 층계까지 이르렀고}}</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12장 |제목=느헤미야 12:37 |저널= |인용문= 샘문으로 말미암아 전진하여 성으로 올라가는 곳에 이르러 다윗성의 층계로 올라가서 다윗의 궁 윗 길에서 동향하여 수문에 이르렀고}}</ref> 로마 시대에 이르러 헤롯왕이 성전을 개축했으나 기원후 70년 로마 군대가 성전과 성벽을 다시 한번 파괴했다. 이후 오늘날까지 성전은 재건되지 못하고 있다.


==예언 속 다윗과 시온==
==예언 속 다윗과 시온==