멜기세덱: 두 판 사이의 차이

Rache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Gn (토론 | 기여)
21번째 줄: 21번째 줄:
===이름===
===이름===
멜기세덱이라는 이름은 히브리어 '멜레크(מֶלֶךְ, 왕)'와 '체데크(צֶדֶק, 정의)'의 조합으로 '의(義)의 왕'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멜기세덱이 다스리던 '살렘(שָׁלֵם)'은 '평화'를 뜻한다.<br>
멜기세덱이라는 이름은 히브리어 '멜레크(מֶלֶךְ, 왕)'와 '체데크(צֶדֶק, 정의)'의 조합으로 '의(義)의 왕'이라는 뜻을 지니고 있다. 멜기세덱이 다스리던 '살렘(שָׁלֵם)'은 '평화'를 뜻한다.<br>
[[구약성경]]에서 의의 왕, 평강의 왕은 장차 등장할 [[그리스도]]를 상징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제목=이사야 9:6 |인용문=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3장 |제목=예레미야 23:5 |인용문=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때가 이르리니 내가 다윗에게 한 의로운 가지를 일으킬 것이라 그가 왕이 되어 지혜롭게 행사하며 세상에서 공평과 정의를 행할 것이며}}</ref> 이에 [[신약성경]] 히브리서 기자는 멜기세덱을 참된 의와 평화의 왕인 그리스도의 그림자로 해석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 |제목=히브리서 7:2 |인용문=그 이름(멜기세덱)을 번역한즉 첫째 의의 왕이요 또 살렘 왕이니 곧 평강의 왕이요}}</ref>
[[구약성경]]에서 의의 왕, 평강의 왕은 장차 등장할 [[그리스도]]를 상징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제목=이사야 9:6 |인용문=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3장 |제목=예레미야 23:5 |인용문=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때가 이르리니 내가 다윗에게 한 의로운 가지를 일으킬 것이라 그가 왕이 되어 지혜롭게 행사하며 세상에서 공평과 정의를 행할 것이며}}</ref> 이에 [[신약성경]] [[히브리서]] 기자는 멜기세덱을 참된 의와 평화의 왕인 그리스도의 그림자로 해석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 |제목=히브리서 7:2 |인용문=그 이름(멜기세덱)을 번역한즉 첫째 의의 왕이요 또 살렘 왕이니 곧 평강의 왕이요}}</ref>


===떡과 포도주로 축복한 제사장===
===떡과 포도주로 축복한 제사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