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기관: 두 판 사이의 차이
| 16번째 줄: | 16번째 줄: | ||
[[바벨론]] 포로기 이후 고향으로 돌아온 유대인들은 모세 율법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에 따라 유대 사회에서 율법 연구와 율법 필사, 율법 교육 등을 맡은 서기관의 영향력이 점차 증가했다.<ref>"서기관", 《베스트 성경사전》, 성서원, 2000, 318쪽, "포로기 이후(B.C. 586-400년) 서기관이 종교적 의미를 가진 율법학자로서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ref><br> | [[바벨론]] 포로기 이후 고향으로 돌아온 유대인들은 모세 율법을 지키기 위해 노력했다. 이에 따라 유대 사회에서 율법 연구와 율법 필사, 율법 교육 등을 맡은 서기관의 영향력이 점차 증가했다.<ref>"서기관", 《베스트 성경사전》, 성서원, 2000, 318쪽, "포로기 이후(B.C. 586-400년) 서기관이 종교적 의미를 가진 율법학자로서의 역할을 하기 시작했다."</ref><br> | ||
바벨론 포로기 직후의 대표적인 서기관은 [[에스라]]이다.<ref name="스 7:6-25">{{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7장 |제목=에스라 7:6–25 |저널= |인용문=이 에스라가 바벨론에서 올라왔으니 저는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께서 주신바 모세의 율법에 익숙한 학사로서 그 하나님 여호와의 도우심을 입으므로 왕에게 구하는 것은 다 받는 자더니 ... 에스라가 여호와의 율법을 연구하여 준행하며 율례와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가르치기로 결심하였었더라 여호와의 계명의 말씀과 이스라엘에게 주신 율례의 학사인 학사 겸 제사장 에스라에게 아닥사스다왕이 내린 조서 초본은 아래와 같으니라 ... 에스라여 너는 네 손에 있는 네 하나님의 지혜를 따라 네 하나님의 율법을 아는 자로 유사와 재판관을 삼아 강 서편 모든 백성을 재판하게 하고 그 알지 못하는 자는 너희가 가르치라}}</ref> 한글개역 성경은 에스라를 학사 겸 제사장이라고 하는 동시에 제사장 겸 서기관이라고 했는데, '학사'나 '서기관'은 모두 '쏘페르'에 대한 번역이다(느 8:4).<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12장 |제목=느헤미야 12:26 |저널= |인용문=이상 모든 사람은 요사닥의 손자 예수아의 아들 요야김과 방백 느헤미야와 제사장 겸 서기관[쏘페르] 에스라 때에 있었느니라 }}</ref> 에스라는 백성에게 율법을 가르쳤으며,<ref name="스 7:6-25" /> [[에스라|에스라서]]를 비롯해 [[느헤미야 (성경)|느헤미야서]], [[역대상]]·[[역대하|하]]권의 기록자로도 추정된다.<ref>"에스라",《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 2013, 956쪽, "유대의 전승에 의하면 에스라는 에스라서와 역대상·하의 저자이다. 많은 현대 학자들은 느헤미야서까지도 그의 저작이라고 주장한다. </ref> 이는 제사장 에스라가 학사와 서기관의 역할을 겸했다는 성경의 기록을 뒷받침한다.<br> | 바벨론 포로기 직후의 대표적인 서기관은 [[에스라]]이다.<ref name="스 7:6-25">{{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7장 |제목=에스라 7:6–25 |저널= |인용문=이 에스라가 바벨론에서 올라왔으니 저는 이스라엘 하나님 여호와께서 주신바 모세의 율법에 익숙한 학사로서 그 하나님 여호와의 도우심을 입으므로 왕에게 구하는 것은 다 받는 자더니 ... 에스라가 여호와의 율법을 연구하여 준행하며 율례와 규례를 이스라엘에게 가르치기로 결심하였었더라 여호와의 계명의 말씀과 이스라엘에게 주신 율례의 학사인 학사 겸 제사장 에스라에게 아닥사스다왕이 내린 조서 초본은 아래와 같으니라 ... 에스라여 너는 네 손에 있는 네 하나님의 지혜를 따라 네 하나님의 율법을 아는 자로 유사와 재판관을 삼아 강 서편 모든 백성을 재판하게 하고 그 알지 못하는 자는 너희가 가르치라}}</ref> 한글개역 성경은 에스라를 학사 겸 제사장이라고 하는 동시에 제사장 겸 서기관이라고 했는데, '학사'나 '서기관'은 모두 '쏘페르'에 대한 번역이다(느 8:4).<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느헤미야#12장 |제목=느헤미야 12:26 |저널= |인용문=이상 모든 사람은 요사닥의 손자 예수아의 아들 요야김과 방백 느헤미야와 제사장 겸 서기관[쏘페르] 에스라 때에 있었느니라 }}</ref> 에스라는 백성에게 율법을 가르쳤으며,<ref name="스 7:6-25" /> [[에스라|에스라서]]를 비롯해 [[느헤미야 (성경)|느헤미야서]], [[역대상]]·[[역대하|하]]권의 기록자로도 추정된다.<ref>"에스라",《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 2013, 956쪽, "유대의 전승에 의하면 에스라는 에스라서와 역대상·하의 저자이다. 많은 현대 학자들은 느헤미야서까지도 그의 저작이라고 주장한다. </ref> 이는 제사장 에스라가 학사와 서기관의 역할을 겸했다는 성경의 기록을 뒷받침한다.<br> | ||
신구약 중간기에 이르러 [[회당]]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율법의 계승과 교육을 담당한 | 신구약 중간기에 이르러 [[회당]]의 중요성이 커지면서 율법의 계승과 교육을 담당한 유대교 학자들이 많이 등장했다. 헬라제국의 지배와 여러 압박 속에서 율법을 수호하며 생활에 적용시키려 노력한 서기관들은 ‘율법에 정통한 종교생활의 지도자’로 백성들의 존경을 받았다. | ||
=== 신약시대 === | === 신약시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