요나: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틀:성경 |그림=섬네일|가운데 |제목=요나 |영어제목=Jonah |약자=욘, Jnh |구분=구약 |분류=예언서 |기록자=요나 |기록 연대(...
 
Etorp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1번째 줄: 11번째 줄:
|장수=4장
|장수=4장
}}
}}
'''요나(Jonah)'''는 본서의 저자이자 중심 인물인 [[요나 선지자 | 선지자 요나]]의 이름에서 따온 명칭이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1300&cid=40942&categoryId=33431 앗수르(아시리아)]의 수도인 [[니느웨]](니네베) 사람들이 요나의 전도를 듣고 회개한 역사를 기록한 글이다. 요나는 여로보암 2세가 북 이스라엘을 통치하던 시대(B.C. 8세기)에 활동했던 선지자로<ref name="열왕기하1"></ref> 우상숭배와 악행이 극심했던 니느웨성에서 하나님의 명을 받들어 재앙을 선포했다.  
'''요나(Jonah)'''는 본서의 저자이자 중심 인물인 선지자 '요나'의 이름에서 따온 명칭이다.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21300&cid=40942&categoryId=33431 앗수르(아시리아)]의 수도인 [[니느웨]](니네베) 사람들이 요나의 전도를 듣고 회개한 역사를 기록한 글이다. 요나는 여로보암 2세가 북 이스라엘을 통치하던 기원전 8세기에 활동했던 선지자로<ref name="열왕기하1"></ref> 우상숭배와 악행이 극심했던 니느웨성에서 하나님의 명을 받들어 재앙을 선포했다.  


==기록자==
==기록자==
본서를 기록한 요나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89848&cid=50762&categoryId=51387 가드헤벨]에 사는 아밋대의 아들로 북 이스라엘의 여로보암 2세(B.C. 8세기) 때 활동했던 선지자다. 북 이스라엘은 요나의 예언대로 과거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속했던 영토를 일부 회복함으로 경제적 부흥과 번영을 누렸다.<ref name="요나1"/><ref name="열왕기하1"/>
본서를 기록한 요나는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89848&cid=50762&categoryId=51387 가드헤벨]에 사는 아밋대의 아들로 북 이스라엘의 여로보암 2세(기원전 8세기) 때 활동했던 선지자다. 북 이스라엘은 요나의 예언대로 과거 [[다윗]]과 [[솔로몬]] 시대에 속했던 영토를 일부 회복함으로 경제적 부흥과 번영을 누렸다.<ref name="요나1"/><ref name="열왕기하1"/>


==특징==
==특징==
요나서에서 특기할 만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br>
요나서에서 특기할 만한 내용은 다음과 같다.
*요나는 물고기 배 속에 들어가 사흘을 지냈다. 이런 이유로 학자에 따라 구약성경 요나서를 교훈을 담은 우화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표적을 요구하는 유대인들에게 요나의 행적을 들어 설명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2장 |제목=마태복음 12:39-40 |인용문=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악하고 음란한 세대가 표적을 구하나 선지자 요나의 표적밖에는 보일 표적이 없느니라 요나가 밤낮 사흘을 큰 물고기 뱃속에 있었던 것같이 인자도 밤낮 사흘을 땅속에 있으리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1장 |제목=누가복음 11:29-32 |인용문= 무리가 모였을 때에 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이 세대는 악한 세대라 표적을 구하되 요나의 표적밖에는 보일 표적이 없나니 요나가 니느웨 사람들에게 표적이 됨과 같이 인자도 이 세대에 그러하리라}}</ref> <br> 이를 통해 요나서가 단순히 우화가 아닌, 예수님께서 인용하신 다른 구약성경들과 마찬가지의 지위를 가졌다고 이해해 볼 수 있다.  
*요나는 물고기 배 속에 들어가 사흘을 지냈다. 이런 이유로 학자에 따라 구약성경 요나서를 교훈을 담은 우화로 보기도 한다. 하지만 예수님께서 표적을 요구하는 유대인들에게 요나의 행적을 들어 설명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2장 |제목=마태복음 12:39-40 |인용문=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악하고 음란한 세대가 표적을 구하나 선지자 요나의 표적밖에는 보일 표적이 없느니라 요나가 밤낮 사흘을 큰 물고기 배 속에 있었던 것같이 인자도 밤낮 사흘을 땅속에 있으리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1장 |제목=누가복음 11:29-32 |인용문= 무리가 모였을 때에 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이 세대는 악한 세대라 표적을 구하되 요나의 표적밖에는 보일 표적이 없나니 요나가 니느웨 사람들에게 표적이 됨과 같이 인자도 이 세대에 그러하리라}}</ref><br>이를 통해 요나서가 단순히 우화가 아닌, 예수님께서 인용하신 다른 구약성경들과 마찬가지의 지위를 가졌다고 이해해 볼 수 있다.  
*구약성경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는데 독특하게도 요나서는 회개한 이방 나라 앗수르에 하나님께서 구원을 베푸신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구약성경은 이스라엘 민족의 역사를 중심으로 기술되었는데 독특하게도 요나서는 회개한 이방 나라 앗수르에 하나님께서 구원을 베푸신 역사가 기록되어 있다.


원본 주소 "https://watv.kr/요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