마리아 (예수님의 모친): 두 판 사이의 차이
| 13번째 줄: | 13번째 줄: | ||
[[파일:나사렛과 베들레헴.png|섬네일|나사렛과 베들레헴 위치(이미지소스:NASA)]] | [[파일:나사렛과 베들레헴.png|섬네일|나사렛과 베들레헴 위치(이미지소스:NASA)]] | ||
마리아가 예수님을 해산한 곳은 살던 곳 나사렛이 아니라 베들레헴이다. 마리아가 만삭일 때, [[가이사|로마 황제]]가 로마 전역에 호적령을 내렸다. 마리아는 남편 요셉을 따라 [[다윗]]의 동네 베들레헴으로 갔고, 호적령으로 이동한 사람이 많아 사관<ref>{{웹 인용 |url=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160409&searchKeywordTo=3 |제목=사관 |웹사이트=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일정한 방세와 식비를 내고 남의 집에 머물면서 숙식함. 또는 그런 집}}</ref>에 머물 곳이 없어 그곳의 한 마구간에서 해산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제목=누가복음 2:1–7 |저널= |인용문=이때에 가이사 아구스도가 영을 내려 천하로 다 호적하라 하였으니 이 호적은 구레뇨가 수리아 총독 되었을 때에 첫 번 한 것이라 모든 사람이 호적하러 각각 고향으로 돌아가매 요셉도 다윗의 집 족속인 고로 갈릴리 나사렛 동네에서 유대를 향하여 베들레헴이라 하는 다윗의 동네로 그 정혼한 마리아와 함께 호적하러 올라가니 마리아가 이미 잉태되었더라 거기 있을 그 때에 해산할 날이 차서 맏아들[예수]을 낳아 강보로 싸서 구유에 뉘었으니 이는 사관에 있을 곳이 없음이러라}}</ref> 베들레헴에서 하나님이 나실 것이라는 예언과 700여 년 전 선지자 [[이사야]]가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을 [[임마누엘]]<ref>'임마누엘'은 '하나님이 우리와 같이 계신다'는 뜻으로 '육체로 오신 하나님', 즉 예수님을 가리키는 예언적 칭호다.</ref>이라 하리라" 한 예언이 모두 성취된 것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미가#5장 |제목=미가 5:2|저널= |인용문=베들레헴 에브라다야 너는 유다 족속 중에 작을지라도 이스라엘을 다스릴 자가 네게서 내게로 나올 것이라 그의 근본은 상고에, 태초에니라}}</ref><ref name="이사야 7장">{{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7장 |제목=이사야 7:14|저널= |인용문=그러므로 주께서 친히 징조로 너희에게 주실 것이라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ref> 밤중에 양떼를 지키던 목자들이 [[그리스도]]가 태어났다는 천사의 기별을 듣고 와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제목=누가복음 2:8–20 |저널= |인용문=그 지경에 목자들이 밖에서 밤에 자기 양떼를 지키더니 ... 천사가 이르되 무서워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오늘날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 너희가 가서 강보에 싸여 구유에 누인 아기를 보리니 이것이 너희에게 표적이니라 하더니 홀연히 허다한 천군이 그 천사와 함께 있어 하나님을 찬송하여 ... 목자가 서로 말하되 이제 베들레헴까지 가서 주께서 우리에게 알리신바 이 이루어진 일을 보자 하고 빨리 가서 마리아와 요셉과 구유에 누인 아기를 찾아서 보고 천사가 자기들에게 이 아기에 대하여 말한 것을 고하니 듣는 자가 다 목자의 말하는 일을 기이히 여기되 마리아는 이 모든 말을 마음에 지키어 생각하니라 목자가 자기들에게 이르던 바와 같이 듣고 본 그 모든 것을 인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찬송하며 돌아가니라}}</ref><br> | 마리아가 예수님을 해산한 곳은 살던 곳 나사렛이 아니라 베들레헴이다. 마리아가 만삭일 때, [[가이사|로마 황제]]가 로마 전역에 호적령을 내렸다. 마리아는 남편 요셉을 따라 [[다윗]]의 동네 베들레헴으로 갔고, 호적령으로 이동한 사람이 많아 사관<ref>{{웹 인용 |url=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160409&searchKeywordTo=3 |제목=사관 |웹사이트=국립국어원 표준국어대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일정한 방세와 식비를 내고 남의 집에 머물면서 숙식함. 또는 그런 집}}</ref>에 머물 곳이 없어 그곳의 한 마구간에서 해산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제목=누가복음 2:1–7 |저널= |인용문=이때에 가이사 아구스도가 영을 내려 천하로 다 호적하라 하였으니 이 호적은 구레뇨가 수리아 총독 되었을 때에 첫 번 한 것이라 모든 사람이 호적하러 각각 고향으로 돌아가매 요셉도 다윗의 집 족속인 고로 갈릴리 나사렛 동네에서 유대를 향하여 베들레헴이라 하는 다윗의 동네로 그 정혼한 마리아와 함께 호적하러 올라가니 마리아가 이미 잉태되었더라 거기 있을 그 때에 해산할 날이 차서 맏아들[예수]을 낳아 강보로 싸서 구유에 뉘었으니 이는 사관에 있을 곳이 없음이러라}}</ref> 베들레헴에서 하나님이 나실 것이라는 예언과 700여 년 전 선지자 [[이사야]]가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을 [[임마누엘]]<ref>'임마누엘'은 '하나님이 우리와 같이 계신다'는 뜻으로 '육체로 오신 하나님', 즉 예수님을 가리키는 예언적 칭호다.</ref>이라 하리라" 한 예언이 모두 성취된 것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미가#5장 |제목=미가 5:2|저널= |인용문=베들레헴 에브라다야 너는 유다 족속 중에 작을지라도 이스라엘을 다스릴 자가 네게서 내게로 나올 것이라 그의 근본은 상고에, 태초에니라}}</ref><ref name="이사야 7장">{{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7장 |제목=이사야 7:14|저널= |인용문=그러므로 주께서 친히 징조로 너희에게 주실 것이라 보라 처녀가 잉태하여 아들을 낳을 것이요 그 이름을 임마누엘이라 하리라}}</ref> 밤중에 양떼를 지키던 목자들이 [[그리스도]]가 태어났다는 천사의 기별을 듣고 와서 하나님께 영광을 돌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제목=누가복음 2:8–20 |저널= |인용문=그 지경에 목자들이 밖에서 밤에 자기 양떼를 지키더니 ... 천사가 이르되 무서워 말라 보라 내가 온 백성에게 미칠 큰 기쁨의 좋은 소식을 너희에게 전하노라 오늘날 다윗의 동네에 너희를 위하여 구주가 나셨으니 곧 그리스도 주시니라 너희가 가서 강보에 싸여 구유에 누인 아기를 보리니 이것이 너희에게 표적이니라 하더니 홀연히 허다한 천군이 그 천사와 함께 있어 하나님을 찬송하여 ... 목자가 서로 말하되 이제 베들레헴까지 가서 주께서 우리에게 알리신바 이 이루어진 일을 보자 하고 빨리 가서 마리아와 요셉과 구유에 누인 아기를 찾아서 보고 천사가 자기들에게 이 아기에 대하여 말한 것을 고하니 듣는 자가 다 목자의 말하는 일을 기이히 여기되 마리아는 이 모든 말을 마음에 지키어 생각하니라 목자가 자기들에게 이르던 바와 같이 듣고 본 그 모든 것을 인하여 하나님께 영광을 돌리고 찬송하며 돌아가니라}}</ref><br> | ||
성경에는 마리아가 예수를 해산한 이 날짜가 언제인지 특정할 수 있는 기록이 전혀 없다. 다만 "그 지경에 목자들이 밖에서 밤에 자기 양떼를 지키더니"<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제목=누가복음 2:8 |저널= |인용문= 그 지경에 목자들이 밖에서 밤에 자기 양떼를 지키더니}}</ref>라는 내용을 단서로 밤중에 가축을 방목할 수 있는 시기, 즉 겨울이 아닌 때로 추정한다. [https://ko.weatherspark.com/s/9332/3/미국-텍사스-주-팔레스타인-에서-평균-겨울-날씨 팔레스타인의 겨울]은 춥고 우기(雨氣)여서 밤에 목자들이 밖에서 양을 돌볼 수 없다.<ref>{{웹 인용 |url=https://cm.asiae.co.kr/article/2017122114043481285 |제목= | 성경에는 마리아가 예수를 해산한 이 날짜가 언제인지 특정할 수 있는 기록이 전혀 없다. 다만 "그 지경에 목자들이 밖에서 밤에 자기 양떼를 지키더니"<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제목=누가복음 2:8 |저널= |인용문= 그 지경에 목자들이 밖에서 밤에 자기 양떼를 지키더니}}</ref>라는 내용을 단서로 밤중에 가축을 방목할 수 있는 시기, 즉 겨울이 아닌 때로 추정한다. [https://ko.weatherspark.com/s/9332/3/미국-텍사스-주-팔레스타인-에서-평균-겨울-날씨 팔레스타인의 겨울]은 춥고 우기(雨氣)여서 밤에 목자들이 밖에서 양을 돌볼 수 없다.<ref>{{웹 인용 |url=https://cm.asiae.co.kr/article/2017122114043481285 |제목=크리스마스는 원래 봄?...겨울로 옮겨진 성탄절의 사연은? |웹사이트=아시아경제 |저널= |출판사= |날짜=2017. 12. 21.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예수의 탄생일을 놓고 크리스트교 내에서도 2000년 가까이 논쟁이 지속됐지만, 정확한 탄생 기록이 남아있지 않다보니 진짜 크리스마스가 언제인지는 아무도 알지 못하는 상황이다. ... 12월 25일은 원래 로마의 동짓날 축제로 로마의 전통신인 사투르날리아(Saturnalia)의 축제가 열리는 주간이었다. 여기에 동방 페르시아에서 올라온 인기종교였던 미트라교(Mithraism)에서도 동짓날이 태양이 힘을 얻기 시작하는 날로 축제가 열렸다. 프랑스나 영국 지역에 살던 켈트족들도 동짓날 축제를 따로 열었다. 이렇게 다양한 민족들이 벌이던 공통 축제일을 아예 크리스마스로 못박은 것이다. 이것은 ... 당장 수많은 독실한 신도들의 반발을 몰고오기도 했다. 이교도 축제를 성탄절로 바꿔버린 것도 문제였지만, 성경에 묘사되는 예수 탄생의 배경과 겨울이 아예 맞지 않기 때문이었다.</ref><ref>필립 샤프, 《교회사》제1권, 크리스천다이제스트, 2004, 125쪽, "팔레스타인에는 계절이 건기와 우기, 즉 여름과 겨울밖에 없는데, 목축의 시기는 탈무드 저자에 따르면 3월에 시작하여 11월까지 지속되고, 11월쯤 되면 가축들을 들판에서 철수시켜 이듬해 2월말까지 우리에서 키운다고 한다."</ref><ref>《가톨릭신문》, 2003. 12. 21., 15면, "사실 복음서에는 아기 예수가 어느 달에 태어났는지에 대한 아무런 언급이 없다. 루가 복음서를 살펴보면 '그 근방 들에는 목자들이 밤을 새워가며 양떼를 지키고 있었다'(루가 2, 8)고 적혀있으나, 12월의 이스라엘 땅은 너무 추워 목동들이 양떼를 데리고 들에서 밤을 지샐 수 없다고 한다. 루가는 아기 예수가 12월에 태어나지 않았다는 정보를 제공해 주고 있는 것이다."</ref><ref>《성경문화배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18, 1644-1646, 1676쪽, "가나안 땅은 1년에 여름과 겨울 두 계절이 뚜렷하며, 그 외의 계절은 일종의 간절기라 할 수 있다. 1년 중 비가 전혀 오지 않는 5, 6월부터 9월까지를 여름 건기라 하고, 11월부터 다음해 3월 초순까지를 겨울 우기라 부른다. 가나안 땅의 비는 대부분 12월에서 다음 해 2월까지 집중된다. ... 겨울철에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기 때문에(1년 강우량의 70% 이상이 12-2월 사이에 집중된다) 이때를 우기라 부른다. ... 팔레스타인에서 비가 집중적으로 내리는 때 곧 우기를 가리킨다. 이때는 대체로 날씨가 쌀쌀해지는 11월에서 다음해 3월 초순까지에 해당한다. 특히 우기 중에도 '큰 비'는 12월 말경에서 2월 중순에 집중되는 것을 볼 수 있다. 1년 강우량의 70% 이상이 이 기간중에 집중된다(일주일에 2, 3일간 계속 비가 내리는 경우가 많다). 이때 기온은 섭씨 10도 이하로서(예루살렘은 기온이 4-8도까지 내려간다고 함) 그곳 주민들에게는 매우 추운 날씨가 된다."</ref> | ||
* '''베들레헴 목동들의 양떼 방목 모습''' | * '''베들레헴 목동들의 양떼 방목 모습'''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