어린양의 아내 (신부):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태그: 되돌려진 기여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파일:신부는 예루살렘.jpg |섬네일 | 280px |신부 곧 어린양의 아내는 하늘 예루살렘으로, 그 실체는 '어머니 하나님'이다 | [[파일:신부는 예루살렘.jpg |섬네일 | 280px |신부 곧 어린양의 아내는 하늘 예루살렘으로, 그 실체는 '어머니 하나님'이다]] | ||
'''어린양의 아내(신부)'''는 요한계시록에 등장하는 마지막 시대의 구원자로, 어린양과 함께 성도들을 [[천국 혼인 잔치]]에 초청한다. 신부(新婦, bride)가 등장하는 목적은 영원한 생명을 주기 위함이다.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어 신랑과 신부에게 나아가는 자들이 천국에 들어가 영생을 누린다. | '''어린양의 아내(신부)'''는 요한계시록에 등장하는 마지막 시대의 구원자로, 어린양과 함께 성도들을 [[천국 혼인 잔치]]에 초청한다. 신부(新婦, bride)가 등장하는 목적은 영원한 생명을 주기 위함이다.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어 신랑과 신부에게 나아가는 자들이 천국에 들어가 영생을 누린다. |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예수님은 승천하신 뒤, 장차 이루어질 일들을 요한에게 계시로 보여주셨다. 기원후 96년경 [[사도 요한]]이 성령의 감동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1장 |제목=베드로후서 1:20-21 |저널= |인용문= 먼저 알 것은 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아니니 예언은 언제든지 사람의 뜻으로 낸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의 감동하심을 입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임이니라 }}</ref> 계시를 받아 쓴 성경이 [[요한계시록]]이다. 요한계시록에는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대한 예언이 있다. | 예수님은 승천하신 뒤, 장차 이루어질 일들을 요한에게 계시로 보여주셨다. 기원후 96년경 [[사도 요한]]이 성령의 감동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1장 |제목=베드로후서 1:20-21 |저널= |인용문= 먼저 알 것은 경의 모든 예언은 사사로이 풀 것이 아니니 예언은 언제든지 사람의 뜻으로 낸 것이 아니요 오직 성령의 감동하심을 입은 사람들이 하나님께 받아 말한 것임이니라 }}</ref> 계시를 받아 쓴 성경이 [[요한계시록]]이다. 요한계시록에는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대한 예언이 있다. | ||
{{인용문5 |내용= 우리가 즐거워하고 크게 기뻐하여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어린양'''의 혼인 기약이 이르렀고 '''그 아내가 예비'''하였으니 그에게 허락하사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를 입게 하셨은즉 이 세마포는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로다 하더라 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기록하라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자들'''이 복이 있도다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9장 요한계시록 19:7-9]}} | {{인용문5 |내용= 우리가 즐거워하고 크게 기뻐하여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어린양'''의 혼인 기약이 이르렀고 '''그 아내가 예비'''하였으니 그에게 허락하사 빛나고 깨끗한 세마포를 입게 하셨은즉 이 세마포는 성도들의 옳은 행실이로다 하더라 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기록하라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자들'''이 복이 있도다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9장 요한계시록 19:7-9]}} | ||
[[파일: | [[파일:내양을먹이라 5단계-106.jpg |섬네일 | 280px |예수님과 어린양 그림 ]] | ||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복 있는 자가 되려면 신랑과 신부를 알아야 한다. 신랑은 어린양이며 신부는 어린양의 아내이다. 같은 단어라도 문맥에 따라 전혀 다른 뜻을 지니는 경우가 있는데, 성경에서 ‘어린양’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뜻을 지닌다. <br> |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복 있는 자가 되려면 신랑과 신부를 알아야 한다. 신랑은 어린양이며 신부는 어린양의 아내이다. 같은 단어라도 문맥에 따라 전혀 다른 뜻을 지니는 경우가 있는데, 성경에서 ‘어린양’은 다음과 같이 세 가지 뜻을 지닌다. <br> | ||
첫째는, 아직 성체가 되지 않은 양(羊)으로서 [[ | 첫째는, 아직 성체가 되지 않은 양(羊)으로서 [[번제]]를 드릴 때 제물로 바치던 '''짐승'''을 뜻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1 |저널= |인용문= 모세가 이스라엘 모든 장로를 불러서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나가서 너희 가족대로 어린양을 택하여 유월절 양으로 잡고 }}</ref><br> | ||
둘째는, '''성도'''를 뜻한다. 예수님은 당신을 목자로, 성도들을 양으로 비유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제목=요한복음 10:16 |저널= |인용문= 또 이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내게 있어 내가 인도하여야 할 터이니 저희도 내 음성을 듣고 한 무리가 되어 한 목자에게 있으리라 }}</ref> 승천하시기 전에는 베드로에게 성도들을 부탁한다는 뜻으로 “내 어린양을 먹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 |제목=요한복음 21:15 |저널= |인용문= 저희가 조반 먹은 후에 예수께서 시몬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하시니 가로되 주여 그러하외다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 주께서 아시나이다 가라사대 내 어린양을 먹이라 하시고 }}</ref> 아직 영적으로 장성하지 못해 보살핌이 필요한 성도들을 어린양으로 표현하신 것이다.<br> | 둘째는, '''성도'''를 뜻한다. 예수님은 당신을 목자로, 성도들을 양으로 비유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제목=요한복음 10:16 |저널= |인용문= 또 이 우리에 들지 아니한 다른 양들이 내게 있어 내가 인도하여야 할 터이니 저희도 내 음성을 듣고 한 무리가 되어 한 목자에게 있으리라 }}</ref> 승천하시기 전에는 베드로에게 성도들을 부탁한다는 뜻으로 “내 어린양을 먹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21장 |제목=요한복음 21:15 |저널= |인용문= 저희가 조반 먹은 후에 예수께서 시몬 베드로에게 이르시되 요한의 아들 시몬아 네가 이 사람들보다 나를 더 사랑하느냐 하시니 가로되 주여 그러하외다 내가 주를 사랑하는 줄 주께서 아시나이다 가라사대 내 어린양을 먹이라 하시고 }}</ref> 아직 영적으로 장성하지 못해 보살핌이 필요한 성도들을 어린양으로 표현하신 것이다.<br> | ||
셋째는, '''그리스도'''를 뜻한다. 구약시대에 희생 제물로 드려지던 양의 실체가 예수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제목=고린도전서 5:7 |저널= |인용문=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ref> 침례 요한은 예수님을 보고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라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29 |저널= |인용문= 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가로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 셋째는, '''그리스도'''를 뜻한다. 구약시대에 희생 제물로 드려지던 양의 실체가 예수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제목=고린도전서 5:7 |저널= |인용문= 너희는 누룩 없는 자인데 새 덩어리가 되기 위하여 묵은 누룩을 내어버리라 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ref> 침례 요한은 예수님을 보고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양”이라고 말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장 |제목=요한복음 1:29 |저널= |인용문= 이튿날 요한이 예수께서 자기에게 나아오심을 보고 가로되 보라 세상 죄를 지고 가는 하나님의 어린 양이로다 }}</ref> 사도 요한은 예수님을 가리켜 ‘일찍 죽임을 당한 어린양’이라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5장 |제목=요한계시록 5:6 |저널= |인용문= 내가 또 보니 보좌와 네 생물과 장로들 사이에 어린양이 섰는데 일찍 죽임을 당한 것 같더라 }}</ref><br> | ||
이 세 가지 뜻 중에서 천국 혼인 잔치의 어린양은 예수님을 가리킨다. 성도를 어린양으로 비유한 구절을 근거로 혼인 잔치의 어린양 역시 성도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 사도 요한이 계시로 본 어린양은 아내가 있으므로 2000년 전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이 아닌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재림 예수님]]이다. [[성삼위일체]]로 볼 때, 신부와 함께 성도들을 천국 혼인 잔치로 초청하는 어린양은 아버지 하나님을 의미한다. | 이 세 가지 뜻 중에서 천국 혼인 잔치의 어린양은 예수님을 가리킨다. 성도를 어린양으로 비유한 구절을 근거로 혼인 잔치의 어린양 역시 성도라고 주장할 수는 없다. 사도 요한이 계시로 본 어린양은 아내가 있으므로 2000년 전 이 땅에 오신 예수님이 아닌 [[재림 예수님 (재림 그리스도)|재림 예수님]]이다. [[성삼위일체]]로 볼 때, 신부와 함께 성도들을 천국 혼인 잔치로 초청하는 어린양은 아버지 하나님을 의미한다. |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목적=== | ===목적=== | ||
천국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는 것은, 하객으로 비유된 성도들이 영원한 생명을 얻어 천국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일은 어린양과 그 아내가 등장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린양의 아내가 예비함으로 혼인 잔치가 성사될 예언은, 어린양의 아내로 표상된 어머니 하나님이 등장하여 영원한 생명을 주실 것을 나타낸다. <br> | 천국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는 것은, 하객으로 비유된 성도들이 영원한 생명을 얻어 천국에 들어가는 것을 의미한다. 그 일은 어린양과 그 아내가 등장함으로 이루어진다. 따라서 어린양의 아내가 예비함으로 혼인 잔치가 성사될 예언은, 어린양의 아내로 표상된 어머니 하나님이 등장하여 영원한 생명을 주실 것을 나타낸다. <br> | ||
그러한 뜻을 에덴동산의 [[아담]]과 [[ | 그러한 뜻을 에덴동산의 [[아담]]과 [[하와]]를 통해서도 알 수 있다.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4 |저널= |인용문= 그러나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 위에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이라}}</ref> 아담과 하와는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을 표상한다. 하와가 ‘생명’이라는 뜻의 이름을 갖고 ‘모든 산 자의 어머니’라 불리게 된 이유도, 하와로 비유된 어머니 하나님으로부터 영생이 주어지기 때문이다. | ||
{{인용문5 |내용=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난하주-'''‘생명’'''이라는 뜻]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창세기 3:20]}} | {{인용문5 |내용=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난하주-'''‘생명’'''이라는 뜻]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창세기 3:20]}} | ||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의 등장으로 성도들이 천국 혼인 잔치에 나아가 영생 얻게 될 예언을, 요한은 [[성령과 신부]]가 생명수를 주시는 모습으로도 기록했다. |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의 등장으로 성도들이 천국 혼인 잔치에 나아가 영생 얻게 될 예언을, 요한은 [[성령과 신부]]가 생명수를 주시는 모습으로도 기록했다. | ||
{{인용문5 |내용=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7]}} | {{인용문5 |내용=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7]}} | ||
[[생명수]]를 줄 수 있는 권한은 오직 구원자이신 하나님께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장 |제목=예레미야 2:13 |저널= |인용문= 내 백성이 두 가지 악을 행하였나니 곧 생수의 근원 되는 나를 버린 것과 스스로 웅덩이를 판 것인데 그것은 물을 저축지 못할 터진 웅덩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4장 |제목=요한복음 4:13-14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이 물을 먹는 자마다 다시 목마르려니와 내가 주는 물을 먹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나의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ref> [[성령]]은 [[ | [[생명수]]를 줄 수 있는 권한은 오직 구원자이신 하나님께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장 |제목=예레미야 2:13 |저널= |인용문= 내 백성이 두 가지 악을 행하였나니 곧 생수의 근원 되는 나를 버린 것과 스스로 웅덩이를 판 것인데 그것은 물을 저축지 못할 터진 웅덩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4장 |제목=요한복음 4:13-14 |저널= |인용문= 예수께서 대답하여 가라사대 이 물을 먹는 자마다 다시 목마르려니와 내가 주는 물을 먹는 자는 영원히 목마르지 아니하리니 나의 주는 물은 그 속에서 영생하도록 솟아나는 샘물이 되리라}}</ref> [[성령]]은 [[성자]], [[성부]]와 일체이신 구원자로서 아버지 하나님이시다. 마찬가지로 생명수 주시는 신부도 구원자 하나님이다. 생명수를 주는 신부는 성도가 될 수 없는 이유다. 때가 되면 성령이신 아버지 하나님과 신부이신 어머니 하나님이 등장해, 영적으로 목말라 죽어가는 자들을 생명수로 살리신다. | ||
===시기=== | ===시기=== | ||
모든 예언은 이루어질 때가 있듯이, 태초부터 아버지 하나님과 함께 역사하셨던 어머니 하나님은 기약이 이르러 나타나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9장 |제목=요한계시록 19:7 |저널= |인용문= 우리가 즐거워하고 크게 기뻐하여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 모든 예언은 이루어질 때가 있듯이, 태초부터 아버지 하나님과 함께 역사하셨던 어머니 하나님은 기약이 이르러 나타나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9장 |제목=요한계시록 19:7 |저널= |인용문= 우리가 즐거워하고 크게 기뻐하여 그에게 영광을 돌리세 어린 양의 혼인 기약이 이르렀고 그 아내가 예비하였으니}}</ref> 예언상 어린양의 아내는 [[예수님의 재림 시기 |그리스도가 다시 오시는 시기]]인 구속사업의 마지막 때 등장한다. <br> | ||
천지 창조의 역사에도 어린양의 아내가 등장하는 시기가 나타나 있다. 하나님은 여섯째 날 육축과 모든 짐승을 창조하시고 마지막으로 아담과 하와를 만드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제목=창세기 1:24-31 |저널= |인용문= 하나님이 땅의 짐승을 그 종류대로, 육축을 그 종류대로, 땅에 기는 모든 것을 그 종류대로 만드시니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 천지 창조의 역사에도 어린양의 아내가 등장하는 시기가 나타나 있다. 하나님은 여섯째 날 육축과 모든 짐승을 창조하시고 마지막으로 아담과 하와를 만드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제목=창세기 1:24-31 |저널= |인용문= 하나님이 땅의 짐승을 그 종류대로, 육축을 그 종류대로, 땅에 기는 모든 것을 그 종류대로 만드시니 하나님의 보시기에 좋았더라 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 이는 여섯째 날이니라}}</ref> 7일 제도의 [[안식일]]이나 7년 제도의 안식년에 비추어 볼 때 6일 창조 후의 제7일 안식은 하나님의 구속사업 후의 영원한 안식을 나타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4장 |제목=히브리서 4:4-6 |저널= |인용문= 제 칠일에 관하여는 어디 이렇게 일렀으되 하나님은 제 칠일에 그의 모든 일을 쉬셨다 하였으며 또 다시 거기 저희가 내 안식에 들어오지 못하리라 하였으니 그러면 거기 들어갈 자들이 남아 있거니와 복음 전함을 먼저 받은 자들은 순종치 아니함을 인하여 들어가지 못하였으므로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후서#3장 |제목=베드로후서 3:8 |저널= |인용문= 사랑하는 자들아 주께는 하루가 천년 같고 천년이 하루 같은 이 한 가지를 잊지 말라}}</ref><ref>{{인용 |url= |제목=완성품과 미완성품 |웹사이트= |저널=하나님의 비밀과 생명수의 샘 |출판사=멜기세덱출판사 |날짜=2016. 4. 25. |연도= |저자=안상홍 |쪽=155 |시리즈= |isbn=9788961860611 |인용문=하나님이 완성품을 만드시는 창조의 과정을 연구해 보면 6일 창조는 예언으로 보여주셨고, 6일의 예언이 6천 년 만에 창조사업을 마치실 것을 보여주신 것이다.}}</ref> 하와가 안식 직전 마지막 시점에 창조된 것은 하와로 표상된 하늘 어머니가 천국의 영원한 안식이 도래하기 직전의 마지막 시대에 등장하실 것을 의미한다. | ||
===증거=== | ===증거=== | ||
아버지 하나님은 2000년 전과 마찬가지로 재림 때도 성경의 예언을 따라 이 땅에 임하신다. 그리고 어머니 하나님은 아버지 하나님에 의해 증거된다. 재림 그리스도의 출현이 말세의 [[엘리야]]로 예언된 것은<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4장 |제목=말라기 4:5 |저널= |인용문=보라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내가 선지 엘리야를 너희에게 보내리니 }}</ref> 아버지 하나님이 어머니 하나님을 증거하는 사명을 가지고 나타나시기 때문이다. | 아버지 하나님은 2000년 전과 마찬가지로 재림 때도 성경의 예언을 따라 이 땅에 임하신다. 그리고 어머니 하나님은 아버지 하나님에 의해 증거된다. 재림 그리스도의 출현이 말세의 [[엘리야]]로 예언된 것은<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말라기#4장 |제목=말라기 4:5 |저널= |인용문=보라 여호와의 크고 두려운 날이 이르기 전에 내가 선지 엘리야를 너희에게 보내리니 }}</ref> 아버지 하나님이 어머니 하나님을 증거하는 사명을 가지고 나타나시기 때문이다. | ||
{{인용문5 |내용= 예루살렘이여 내가 너의 성벽 위에 파수꾼을 세우고 그들로 종일종야에 잠잠치 않게 하였느니라 너희 여호와로 기억하시게 하는 자들아 너희는 쉬지 말며 또 '''여호와께서 예루살렘을 세워''' 세상에서 찬송을 받게 하시기까지 그로 쉬지 못하시게 하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62장 이사야 62:6-7]}} | {{인용문5 |내용= 예루살렘이여 내가 너의 성벽 위에 파수꾼을 세우고 그들로 종일종야에 잠잠치 않게 하였느니라 너희 여호와로 기억하시게 하는 자들아 너희는 쉬지 말며 또 '''여호와께서 예루살렘을 세워''' 세상에서 찬송을 받게 하시기까지 그로 쉬지 못하시게 하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62장 이사야 62:6-7]}} | ||
세상에서 찬송받을 | 세상에서 찬송받을 [[예루살렘]]은 하늘 어머니를 상징한다. 여호와께서 예루살렘을 세운다는 뜻은 아버지 하나님께서 어머니 하나님을 증거하신다는 뜻이다. 어린양인 재림 그리스도의 증거를 받는 분이 어린양의 아내 곧 신부인 것이다. 옛적 아담 역시 그 아내 하와를 직접 증거했다. | ||
{{인용문5 |내용=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아담이 | {{인용문5 |내용= 여호와 하나님이 아담에게서 취하신 그 갈빗대로 여자를 만드시고 그를 아담에게로 이끌어 오시니 '''아담이 이르되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창세기 2:22-23]}} | ||
아담은 아내를 가리켜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하며 하와(생명)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20 |저널= |인용문=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난하주-생명]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ref> 아담이 자기 아내를 생명이라 명명한 것은 재림 그리스도가 생명의 실체이신 어머니 하나님을 선포하실 일의 그림자다. 재림 그리스도 [[안상홍|안상홍님]]은 성경에 예언된 대로, 기약이 이르러 어린양의 아내(신부)이신 [[하늘 어머니]]를 친히 알려주셨다. 마지막 때 등장하시는 하늘 아버지와 어머니를 믿고 따르는 자들이,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어 영원한 천국에 나아갈 복된 자들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9장 |제목=요한계시록 19:9 |저널= |인용문= 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기록하라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자들이 복이 있도다 }}</ref> | 아담은 아내를 가리켜 “이는 내 뼈 중의 뼈요 살 중의 살이라” 하며 하와(생명)라는 이름을 붙여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20 |저널= |인용문=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난하주-생명]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ref> 아담이 자기 아내를 생명이라 명명한 것은 재림 그리스도가 생명의 실체이신 어머니 하나님을 선포하실 일의 그림자다. 재림 그리스도 [[안상홍|안상홍님]]은 성경에 예언된 대로, 기약이 이르러 어린양의 아내(신부)이신 [[하늘 어머니]]를 친히 알려주셨다. 마지막 때 등장하시는 하늘 아버지와 어머니를 믿고 따르는 자들이,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어 영원한 천국에 나아갈 복된 자들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9장 |제목=요한계시록 19:9 |저널= |인용문= 천사가 내게 말하기를 기록하라 어린양의 혼인 잔치에 청함을 입은 자들이 복이 있도다 }}</ref> | ||
==관련 영상== | |||
* 어린양의 아내는 예루살렘 우리 어머니다 | |||
<youtube>2SNU_HAJhhE</youtube> | |||
==참조== | ==참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