메시아: 두 판 사이의 차이

Rachel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Gn (토론 | 기여)
7번째 줄: 7번째 줄:
==기름 부음 받은 자==
==기름 부음 받은 자==
[[파일:Bénouville, Samuel sacrant David.jpg |섬네일 | 250픽셀 |사무엘이 다윗에게 기름 부음을 행하는 장면. 프랑수아 레옹 베누빌(François-Léon Benouville, 1821–1859) 作.]]
[[파일:Bénouville, Samuel sacrant David.jpg |섬네일 | 250픽셀 |사무엘이 다윗에게 기름 부음을 행하는 장면. 프랑수아 레옹 베누빌(François-Léon Benouville, 1821–1859) 作.]]
기름 부음을 받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일을 수행할 자로 성별(聖別)된다는 뜻이다. 메시아는 구약시대에 하나님께서 기름을 부어 임명하신 왕이나 [[제사장]], [[선지자]]를 가리키는 보편적인 표현이었다. 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기간 동안 기름 부음 받은 자(메시아)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기름 부음을 받는다는 것은 하나님의 특별한 일을 수행할 자로 성별(聖別)된다는 뜻이다. 메시아는 구약시대에 하나님께서 기름을 부어 임명하신 왕이나 [[제사장]], 선지자를 가리키는 보편적인 표현이었다. 그들은 자신에게 주어진 기간 동안 기름 부음 받은 자(메시아)로서 역할을 수행했다.
*'''왕'''
*'''왕'''
:기름 부음은 왕위를 받을 때 행해진다. 선지자 [[사무엘]]은 하나님의 명을 받들어 이스라엘 왕을 세울 때 [[사울]]에게 기름을 부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10장 |제목=사무엘상 10:1 |저널= |인용문=이에 사무엘이 기름병을 취하여 사울의 머리에 붓고 입 맞추어 가로되 여호와께서 네게 기름을 부으사 그 기업의 지도자를 삼지 아니하셨느냐}}</ref> 이스라엘의 두 번째 왕인 [[다윗]]도 기름 부음을 받았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 |제목=사무엘하 5:3 |저널= |인용문=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라}}</ref> [[솔로몬]]도 왕이 될 때에 기름 부음을 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장 |제목=열왕기상 1:39 |저널= |인용문= 제사장 사독이 성막 가운데서 기름 뿔을 가져다가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으니 이에 양각을 불고 모든 백성이 솔로몬 왕 만세를 부르니라}}</ref>
:기름 부음은 왕위를 받을 때 행해진다. 선지자 [[사무엘]]은 하나님의 명을 받들어 이스라엘 왕을 세울 때 [[사울]]에게 기름을 부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10장 |제목=사무엘상 10:1 |저널= |인용문=이에 사무엘이 기름병을 취하여 사울의 머리에 붓고 입 맞추어 가로되 여호와께서 네게 기름을 부으사 그 기업의 지도자를 삼지 아니하셨느냐}}</ref> 이스라엘의 두 번째 왕인 [[다윗]]도 기름 부음을 받았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5장 |제목=사무엘하 5:3 |저널= |인용문=저희가 다윗에게 기름을 부어 이스라엘 왕을 삼으니라}}</ref> [[솔로몬]]도 왕이 될 때에 기름 부음을 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장 |제목=열왕기상 1:39 |저널= |인용문= 제사장 사독이 성막 가운데서 기름 뿔을 가져다가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으니 이에 양각을 불고 모든 백성이 솔로몬 왕 만세를 부르니라}}</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