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eart to Heart (사랑의 응원) 프로젝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5번째 줄: | 5번째 줄: | ||
{{ASEZ WAO}} | {{ASEZ WAO}} | ||
2020년부터 코로나19(COVID-19)의 전 지구적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대응 최일선에 있는 의료계 종사자들의 고충이 심각하다. 세계보건기구(WHO)가 [https://www.britannica.com/science/pandemic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한 지<ref>{{웹 인용 |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28084#home |제목=WHO, 결국 사상 세번째 '팬데믹' 선언…"코로나 통제가능" |웹사이트= |저널=중앙일보 |출판사= |날짜=2020. 3. 1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6개월 만에 사망자 100만 명(확진자 3330만 명)이 발생했고,<ref>{{ 웹 인용 |url=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009281615001 |제목=팬데믹 선언 6개월만에 코로나19 사망자 100만명, WHO "방역 안지키면 200만명 된다" |웹사이트= |저널=경향신문 |날짜=2020. 9. 28. |인용문= }}</ref>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방역 활동에도 바이러스 변이와 감염 확산은 2년 넘게 계속되고 있다.<br> | 2020년부터 코로나19(COVID-19)의 전 지구적 확산세가 지속되면서, 대응 최일선에 있는 의료계 종사자들의 고충이 심각하다. 세계보건기구(WHO)가 [https://www.britannica.com/science/pandemic 팬데믹(세계적 대유행)]을 선언한 지<ref>{{웹 인용 |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3728084#home |제목=WHO, 결국 사상 세번째 '팬데믹' 선언…"코로나 통제가능" |웹사이트= |저널=중앙일보 |출판사= |날짜=2020. 3. 1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6개월 만에 사망자 100만 명(확진자 3330만 명)이 발생했고,<ref>{{ 웹 인용 |url=https://www.khan.co.kr/world/world-general/article/202009281615001 |제목=팬데믹 선언 6개월만에 코로나19 사망자 100만명, WHO "방역 안지키면 200만명 된다" |웹사이트= |저널=경향신문 |날짜=2020. 9. 28. |인용문= }}</ref> 각국 정부의 적극적인 방역 활동에도 바이러스 변이와 감염 확산은 2년 넘게 계속되고 있다.<br> | ||
의료진은 사시사철 보호복과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인력난과 휴식 부족 등을 견디면서 밤낮없이 검사와 치료에 힘쓰고 있다. 2021년 2월, 보름 동안 3천여 명의 환자가 발생한 대구에서는 의료진이 하루 12시간 이상 휴식 없이 진료했고, 간호사는 1인당 환자 20여 명을 맡아 평소의 2배 강도로 일했다. 미국도 인력과 물자 부족에 시달려 쿠오모주에서는 은퇴했던 의료진 수천 명이 복직했으며, 의대 졸업반 일부를 일찍 졸업시켜 현장에 투입했다. | 의료진은 사시사철 보호복과 보호장구를 착용하고 인력난과 휴식 부족 등을 견디면서 밤낮없이 검사와 치료에 힘쓰고 있다. 2021년 2월, 보름 동안 3천여 명의 환자가 발생한 대구에서는 의료진이 하루 12시간 이상 휴식 없이 진료했고, 간호사는 1인당 환자 20여 명을 맡아 평소의 2배 강도로 일했다. 미국도 인력과 물자 부족에 시달려 쿠오모주에서는 은퇴했던 의료진 수천 명이 복직했으며, 의대 졸업반 일부를 일찍 졸업시켜 현장에 투입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200327009100091 |제목=코로나19 환자 폭증하는 미국…병상·물자·인력 확보 '전쟁'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날짜=2020. 3. 27. |인용문= }}</ref> 또 현장 근로자들은 환자를 돌보거나 검체를 체취하는 동안 바이러스가 전염되지 않도록 보호 장구를 착용하는데, 한국의 경우 한여름에도 머리부터 발끝까지 감싸는 레벨D 방호복<ref>{{웹 인용 |url=https://nih.go.kr/gallery.es?mid=a20503020000&bid=0003&b_list=9&act=view&list_no=136764&nPage=27&vlist_no_npage=48&keyField=&keyWord=&orderby= |제목=개인보호구(Level D) 착탈의법 |웹사이트=질병관리청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또는 보호복·마스크·장갑·페이스실드 4종을 하루 6시간 착용하고 더위를 견뎌야 한다.<ref>{{웹 인용 |url=https://www.news1.kr/articles/?4389745 |제목='하루 6시간 땀 샤워'…코로나19 의료진 폭염 속 사투 |웹사이트= |저널=뉴스원 |날짜=2021. 8. 1. |인용문= }}</ref><br>의료진의 정서적 탈진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08176 번아웃]'이 우려되는 가운데,<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200313180800017 |제목="코로나19 장기전으로 가는데…의료진 번아웃될까 우려"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날짜=2020. 3. 14.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www.joongang.co.kr/article/23859443#home |제목=코로나 의료진 '번아웃 증후군' 호소…"폭언·피로에 밤새 울었다" |웹사이트= |저널=중앙일보 |날짜=2020. 8. 28. |인용문= }}</ref> '''길어지는 팬데믹 속에 희생하는 이들에게 위로와 격려를 전하기 위해 ASEZ WAO가 Heart to Heart 프로젝트를 시작했다. 전 세계 회원들이 마음을 모아, 시민들의 안전과 일상 회복을 위해 헌신하는 의료진과 관계자들에 진심 어린 존경과 감사, 응원을 전한다는 취지다.''' | ||
==프로젝트 소개== | ==프로젝트 소개==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