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활절 논쟁: 두 판 사이의 차이

Sally (토론 | 기여)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small>{{참고|파스카 논쟁 (유월절 논쟁)|설명=파스카 논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small>
<small>{{참고|파스카 논쟁 (유월절 논쟁)|설명=파스카 논쟁에 대한 자세한 내용은}}</small>
==개요==
'''부활절 논쟁'''은 [[파스카 논쟁 (유월절 논쟁)]]을 신학자들이 부르는 말이다. 그들은 '서방 교회는 성력 1월 14일 다음에 오는 일요일에 부활절을 지켰으나 동방 교회는 성력 1월 14일에 부활절을 지켰기 때문에 파스카 논쟁이 발발했다'며 파스카 논쟁을 부활절 날짜 논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로마 황제의 권력을 힘입어 논쟁에서 승리한 서방 교회의 입장에서 교회사를 기록했기 때문이며 실제와는 다르다. '''파스카 논쟁'''은 사실 부활절 논쟁이 아니라 '''유월절 논쟁'''이다. 당시 논쟁의 초점이 유월절 성찬식을 행하는 날짜였기 때문이다. 아울러 '''파스카(πασχα)'''라는 단어도 헬라어로 '[[부활절]]'이 아니라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해방된 날, 곧 '[[유월절]]'이라는 뜻이다.
'''부활절 논쟁'''은 [[파스카 논쟁 (유월절 논쟁)]]을 신학자들이 부르는 말이다. 그들은 '서방 교회는 성력 1월 14일 다음에 오는 일요일에 부활절을 지켰으나 동방 교회는 성력 1월 14일에 부활절을 지켰기 때문에 파스카 논쟁이 발발했다'며 파스카 논쟁을 부활절 날짜 논쟁으로 설명한다. 그러나 이는 로마 황제의 권력을 힘입어 논쟁에서 승리한 서방 교회의 입장에서 교회사를 기록했기 때문이며 실제와는 다르다. '''파스카 논쟁'''은 사실 부활절 논쟁이 아니라 '''유월절 논쟁'''이다. 당시 논쟁의 초점이 유월절 성찬식을 행하는 날짜였기 때문이다. 아울러 '''파스카(πασχα)'''라는 단어도 헬라어로 '[[부활절]]'이 아니라 이스라엘이 애굽에서 해방된 날, 곧 '[[유월절]]'이라는 뜻이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