베드로전서: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17번째 줄: 17번째 줄:


==작성 배경==
==작성 배경==
기원후 64년 로마에 대화재가 발생했다. 네로 황제는 범인이 그리스도인들이라고 누명 씌웠다. 그때부터 로마 제국의 그리스도교 박해가 시작되었다.<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VLQQMK8XH 64년 로마 대화재, 네로 소행?]. 《서울경제》. 2019. 7. 18. <q>인명피해에 대한 기록도 전혀 없는 로마 대화재와 관련된 진실은 딱 하나다. 황제에 의한 기독교 박해가 시작됐다는 점이다. 방화설이 퍼지고 황제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자 네로는 국면전환용으로 로마에 거주하던 기독교인 약 3,000명 가운데 10%를 잔혹하게 죽였다. 폴란드 작가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에게 1905년 노벨문학상을 안겨준 소설 ‘쿠오바디스’의 주제가 바로 로마 대화재와 기독교 박해다.</q></ref> 베드로전서는 고난과 핍박을 당하는 성도들을 격려하고 힘을 주기 위해 베드로가 소아시아 지역의 교회에 보낸 서신으로 알려져 있다.
기원후 64년 로마에 대화재가 발생했다. 네로 황제는 범인이 그리스도인들이라고 누명 씌웠다. 그때부터 로마 제국의 그리스도교 박해가 시작되었다.<ref>[https://www.sedaily.com/NewsView/1VLQQMK8XH 64년 로마 대화재, 네로 소행?]. 《서울경제》. 2019. 7. 18. <q>인명피해에 대한 기록도 전혀 없는 로마 대화재와 관련된 진실은 딱 하나다. 황제에 의한 기독교 박해가 시작됐다는 점이다. 방화설이 퍼지고 황제에 대한 의구심이 커지자 네로는 국면전환용으로 로마에 거주하던 기독교인 약 3,000명 가운데 10%를 잔혹하게 죽였다. 폴란드 작가 헨리크 시엔키에비치에게 1905년 노벨문학상을 안겨준 소설 ‘쿠오바디스'의 주제가 바로 로마 대화재와 기독교 박해다.</q></ref> 베드로전서는 고난과 핍박을 당하는 성도들을 격려하고 힘을 주기 위해 베드로가 소아시아 지역의 교회에 보낸 서신으로 알려져 있다.


==베드로전서의 내용 구성==
==베드로전서의 내용 구성==