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윗: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41번째 줄: 41번째 줄:
===가정사===
===가정사===
다윗은 정복 전쟁 중 장군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마음에 두었고, 장관 요압을 시켜 밧세바의 남편 우리아가 전장에서 죽도록 했다. 다윗과 결혼한 밧세바는 아들을 낳았으나, 선지자 나단은 다윗의 악행을 질책하며 아들이 얼마 살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다윗은 자기 죄를 깊이 뉘우쳤다. 그 아들은 죽었지만 밧세바가 다시 아들을 낳았다. 이 아들이 솔로몬이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1장 사무엘하 11–12장]).<br>
다윗은 정복 전쟁 중 장군 우리아의 아내 밧세바를 마음에 두었고, 장관 요압을 시켜 밧세바의 남편 우리아가 전장에서 죽도록 했다. 다윗과 결혼한 밧세바는 아들을 낳았으나, 선지자 나단은 다윗의 악행을 질책하며 아들이 얼마 살지 못할 것이라고 했다. 다윗은 자기 죄를 깊이 뉘우쳤다. 그 아들은 죽었지만 밧세바가 다시 아들을 낳았다. 이 아들이 솔로몬이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1장 사무엘하 11–12장]).<br>
또한 다윗은 왕국을 구성하는 여러 집단을 결속시키기 위해 그들 중 아내를 얻어 많은 자녀를 두었는데 자녀 간 사이는 좋지 않았다. 셋째 아들 압살롬은 자기 친여동생 다말을 욕보인 이복형 암논을 죽였다. 이 일로 유배당한 뒤 아버지 다윗과 다시 화해하게 된 압살롬은 백성과 신하들의 인기를 얻어 반역했다. 다윗은 압살롬을 피해 도망갔으나 결국 압살롬 군대는 패하고, 압살롬은 다윗의 장군 요압에게 죽었다. 다윗은 “내 아들 압살롬아” 하며 슬피 울었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3장 사무엘하 13–18장]).
또한 다윗은 왕국을 구성하는 여러 집단을 결속시키기 위해 그들 중 아내를 얻어 많은 자녀를 두었는데 자녀 간 사이는 좋지 않았다. 셋째 아들 압살롬은 자기 친여동생 다말을 욕보인 이복형 암논을 죽였다. 이 일로 유배당한 뒤 아버지 다윗과 다시 화해하게 된 압살롬은 백성과 신하들의 인기를 얻어 반역했다. 다윗은 압살롬을 피해 도망갔으나 결국 압살롬 군대는 패하고, 압살롬은 다윗의 장군 요압에게 죽었다. 다윗은 "내 아들 압살롬아” 하며 슬피 울었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13장 사무엘하 13–18장]).


===후계자===
===후계자===
[[File:Cornelis de Vos - King David presenting the sceptre to Solomon.jpg|섬네일|코르넬리스 데 보스(Cornelis de Vos), 〈솔로몬에게 왕홀을 건네는 다윗〉, 1640]]
[[File:Cornelis de Vos - King David presenting the sceptre to Solomon.jpg|섬네일|코르넬리스 데 보스(Cornelis de Vos), 〈솔로몬에게 왕홀을 건네는 다윗〉, 1640]]
다윗이 나이 들자 후계자 다툼이 일어났다. 솔로몬이 다윗의 왕위를 잇고 하나님의 전을 건축할 자로 예정되었으나,<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2장|제목=역대상 22:9–10|인용문=한 아들이 네게서 나리니 저는 평강의 사람이라 내가 저로 사면 모든 대적에게서 평강하게 하리라 그 이름을 솔로몬이라 하리니 이는 내가 저의 생전에 평안과 안정을 이스라엘에게 줄 것임이니라 저가 내 이름을 위하여 전을 건축할지라 저는 내 아들이 되고 나는 저의 아비가 되어 그 나라 위를 이스라엘 위에 굳게 세워 영원까지 이르게 하리라}}</ref> 다윗의 생존 아들 중 연장자인 아도니야는 스스로 왕이 되리라 생각하고 왕위계승 연회까지 열었다. 이 소식을 들은 다윗은 즉각 제사장 사독을 통해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어 그를 왕으로 세웠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장 열왕기상 1장]). 다윗은 죽기 전 솔로몬에게 “하나님 여호와의 명을 지켜 그 길로 행하여 그 법률과 계명과 율례와 증거를 모세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지키라 그리하면 네가 무릇 무엇을 하든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할지라”라고 유언하며 복된 인생을 살 수 있는 비결을 가르쳤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2장|제목=열왕기상 2:1–3|인용문=다윗이 죽을 날이 임박하매 그 아들 솔로몬에게 명하여 가로되 내가 이제 세상 모든 사람의 가는 길로 가게 되었노니 너는 힘써 대장부가 되고 네 하나님 여호와의 명을 지켜 그 길로 행하여 그 법률과 계명과 율례와 증거를 모세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지키라 그리하면 네가 무릇 무엇을 하든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할지라}}</ref>
다윗이 나이 들자 후계자 다툼이 일어났다. 솔로몬이 다윗의 왕위를 잇고 하나님의 전을 건축할 자로 예정되었으나,<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역대상#22장|제목=역대상 22:9–10|인용문=한 아들이 네게서 나리니 저는 평강의 사람이라 내가 저로 사면 모든 대적에게서 평강하게 하리라 그 이름을 솔로몬이라 하리니 이는 내가 저의 생전에 평안과 안정을 이스라엘에게 줄 것임이니라 저가 내 이름을 위하여 전을 건축할지라 저는 내 아들이 되고 나는 저의 아비가 되어 그 나라 위를 이스라엘 위에 굳게 세워 영원까지 이르게 하리라}}</ref> 다윗의 생존 아들 중 연장자인 아도니야는 스스로 왕이 되리라 생각하고 왕위계승 연회까지 열었다. 이 소식을 들은 다윗은 즉각 제사장 사독을 통해 솔로몬에게 기름을 부어 그를 왕으로 세웠다([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장 열왕기상 1장]). 다윗은 죽기 전 솔로몬에게 "하나님 여호와의 명을 지켜 그 길로 행하여 그 법률과 계명과 율례와 증거를 모세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지키라 그리하면 네가 무릇 무엇을 하든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할지라”라고 유언하며 복된 인생을 살 수 있는 비결을 가르쳤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2장|제목=열왕기상 2:1–3|인용문=다윗이 죽을 날이 임박하매 그 아들 솔로몬에게 명하여 가로되 내가 이제 세상 모든 사람의 가는 길로 가게 되었노니 너는 힘써 대장부가 되고 네 하나님 여호와의 명을 지켜 그 길로 행하여 그 법률과 계명과 율례와 증거를 모세의 율법에 기록된 대로 지키라 그리하면 네가 무릇 무엇을 하든지 어디로 가든지 형통할지라}}</ref>


==다윗의 업적==
==다윗의 업적==
95번째 줄: 95번째 줄:


===이사야 예언===
===이사야 예언===
*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무궁하며 또 다윗의 위에 앉아서 그 나라를 굳게 세우고 자금 이후 영원토록 공평과 정의로 그것을 보존하실 것이라 만군의 여호와의 열심이 이를 이루시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이사야 9:6–7])
* "이는 한 아기가 우리에게 났고 한 아들을 우리에게 주신  바 되었는데 그 어깨에는 정사를 메었고 그 이름은 기묘자라, 모사라, 전능하신 하나님이라, 영존하시는 아버지라, 평강의 왕이라 할 것임이라 그 정사와 평강의 더함이 무궁하며 또 다윗의 위에 앉아서 그 나라를 굳게 세우고 자금 이후 영원토록 공평과 정의로 그것을 보존하실 것이라 만군의 여호와의 열심이 이를 이루시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이사야 9:6–7])
*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 여호와의 신 곧 지혜와 총명의 신이요 모략과 재능의 신이요 지식과 여호와를 경외하는 신이 그 위에 강림하시리니 ... 그날에 이새의 뿌리에서 한 싹이 나서 만민의 기호로 설 것이요 열방이 그에게로 돌아오리니 그 거한 곳이 영화로우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11장 이사야 11:1–10])
* "이새의 줄기에서 한 싹이 나며 그 뿌리에서 한 가지가 나서 결실할 것이요 여호와의 신 곧 지혜와 총명의 신이요 모략과 재능의 신이요 지식과 여호와를 경외하는 신이 그 위에 강림하시리니 ... 그날에 이새의 뿌리에서 한 싹이 나서 만민의 기호로 설 것이요 열방이 그에게로 돌아오리니 그 거한 곳이 영화로우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11장 이사야 11:1–10])
* “다윗의 장막에 왕위는 인자함으로 굳게 설 것이요 그 위에 앉을 자는 충실함으로 판결하며 공평을 구하며 의를 신속히 행하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16장 이사야 16:5])
* "다윗의 장막에 왕위는 인자함으로 굳게 설 것이요 그 위에 앉을 자는 충실함으로 판결하며 공평을 구하며 의를 신속히 행하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16장 이사야 16:5])
* “내가 너희에게 영원한 언약을 세우리니 곧 다윗에게 허락한 확실한 은혜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5장 이사야 55:3])
* "내가 너희에게 영원한 언약을 세우리니 곧 다윗에게 허락한 확실한 은혜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5장 이사야 55:3])


===예레미야 예언===
===예레미야 예언===
* “내가 다윗에게 한 의로운 가지를 일으킬 것이라 그가 왕이 되어 지혜롭게 행사하며 세상에서 공평과 정의를 행할 것이며 그의 날에 유다는 구원을 얻겠고 이스라엘은 평안히 거할 것이며 그 이름은 여호와 우리의 의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3장 예레미야 23:5–6])
* "내가 다윗에게 한 의로운 가지를 일으킬 것이라 그가 왕이 되어 지혜롭게 행사하며 세상에서 공평과 정의를 행할 것이며 그의 날에 유다는 구원을 얻겠고 이스라엘은 평안히 거할 것이며 그 이름은 여호와 우리의 의라 일컬음을 받으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3장 예레미야 23:5–6])
* “너희는 너희 하나님 나 여호와를 섬기며 내가 너희를 위하여 일으킬 너희 왕 다윗을 섬기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0장 예레미야 30:9])
* "너희는 너희 하나님 나 여호와를 섬기며 내가 너희를 위하여 일으킬 너희 왕 다윗을 섬기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0장 예레미야 30:9])
* “그날 그때에 내가 다윗에게 한 의로운 가지가 나게 하리니 그가 이 땅에 공평과 정의를 실행할 것이라 그날에 유다가 구원을 얻겠고 예루살렘이 안전히 거할 것이며 그 성은 여호와 우리의 의라 일컬음을 입으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3장 예레미야 33:15–17])
* "그날 그때에 내가 다윗에게 한 의로운 가지가 나게 하리니 그가 이 땅에 공평과 정의를 실행할 것이라 그날에 유다가 구원을 얻겠고 예루살렘이 안전히 거할 것이며 그 성은 여호와 우리의 의라 일컬음을 입으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33장 예레미야 33:15–17])


===에스겔 예언===
===에스겔 예언===
* “내가 한 목자를 그들의 위에 세워 먹이게 하리니 그는 내 종 다윗이라 그가 그들을 먹이고 그들의 목자가 될지라 나 여호와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내 종 다윗은 그들 중에 왕이 되리라 나 여호와의 말이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34장 에스겔 34:23–24])
* "내가 한 목자를 그들의 위에 세워 먹이게 하리니 그는 내 종 다윗이라 그가 그들을 먹이고 그들의 목자가 될지라 나 여호와는 그들의 하나님이 되고 내 종 다윗은 그들 중에 왕이 되리라 나 여호와의 말이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34장 에스겔 34:23–24])
* “내 종 다윗이 그들의 왕이 되리니 그들에게 다 한 목자가 있을 것이라 그들이 내 규례를 준행하고 내 율례를 지켜 행하며 내가 내 종 야곱에게 준 땅 곧 그 열조가 거하던 땅에 그들이 거하되 그들과 그 자자손손이 영원히 거기 거할 것이요 내 종 다윗이 영원히 그 왕이 되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37장 에스겔 37:24–25])
* "내 종 다윗이 그들의 왕이 되리니 그들에게 다 한 목자가 있을 것이라 그들이 내 규례를 준행하고 내 율례를 지켜 행하며 내가 내 종 야곱에게 준 땅 곧 그 열조가 거하던 땅에 그들이 거하되 그들과 그 자자손손이 영원히 거기 거할 것이요 내 종 다윗이 영원히 그 왕이 되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37장 에스겔 37:24–25])


===호세아 예언===
===호세아 예언===
* “그 왕 다윗을 구하고 말일에는 경외하므로 여호와께로 와 그 은총으로 나아가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3장 호세아 3:5])
* "그 왕 다윗을 구하고 말일에는 경외하므로 여호와께로 와 그 은총으로 나아가리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3장 호세아 3:5])


==같이 보기==
==같이 보기==
원본 주소 "https://watv.kr/다윗"