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온: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
||
| 15번째 줄: | 15번째 줄: | ||
[[파일: 예루살렘 성전 지도.jpg|섬네일 | 다윗성과 예루살렘 성전 지도]] | [[파일: 예루살렘 성전 지도.jpg|섬네일 | 다윗성과 예루살렘 성전 지도]] | ||
구약성경에서 '시온'은 예루살렘 언덕 자체를 말하기보다 [[성전]]을 포함한 예루살렘 도시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엄밀히 말하면 시온은 예루살렘 지역 내의 일부 언덕을 지칭하는 단어였지만, 예루살렘과 거의 동의어처럼 사용하게 된 것이다. 특히 시온이나 예루살렘 모두 시적, 예언적인 명칭으로 언급되어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가 거하시는 곳, 하나님이 왕으로 계신 곳 등 하나님이 역사하는 장소로서 거룩하게 표현됐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8장 |제목=이사야 8:18 |인용문=보라 나와 및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자녀들이 이스라엘 중에 징조와 예표가 되었나니 이는 '''시온산'''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께로 말미암은 것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4장 |제목=이사야 24:23 |인용문=만군의 여호와께서 '''시온산'''과 '''예루살렘'''에서 왕이 되시고 그 장로들 앞에서 영광을 나타내실 것임이니라 }}</ref><br> | 구약성경에서 '시온'은 예루살렘 언덕 자체를 말하기보다 [[성전]]을 포함한 예루살렘 도시를 가리키는 경우가 많다. 엄밀히 말하면 시온은 예루살렘 지역 내의 일부 언덕을 지칭하는 단어였지만, 예루살렘과 거의 동의어처럼 사용하게 된 것이다. 특히 시온이나 예루살렘 모두 시적, 예언적인 명칭으로 언급되어 이스라엘의 하나님 여호와가 거하시는 곳, 하나님이 왕으로 계신 곳 등 하나님이 역사하는 장소로서 거룩하게 표현됐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8장 |제목=이사야 8:18 |인용문=보라 나와 및 여호와께서 내게 주신 자녀들이 이스라엘 중에 징조와 예표가 되었나니 이는 '''시온산'''에 계신 만군의 여호와께로 말미암은 것이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4장 |제목=이사야 24:23 |인용문=만군의 여호와께서 '''시온산'''과 '''예루살렘'''에서 왕이 되시고 그 장로들 앞에서 영광을 나타내실 것임이니라 }}</ref><br> | ||
[[신약성경]]에서는 그리스도를 영접하고 [[새 언약]]을 지키는 성도들이 시온산에 와 있다고 하였고,<ref name=" | [[신약성경]]에서는 그리스도를 영접하고 [[새 언약]]을 지키는 성도들이 시온산에 와 있다고 하였고,<ref name=""히12"">{{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2장 |제목=히브리서 12:22-24 |인용문=그러나 너희가 이른 곳은 '''시온산'''과 살아계신 하나님의 도성인 하늘의 '''예루살렘'''과}}</ref> 사도 요한이 본 계시 속에서는 어린양(그리스도)이 시온산에 서고 그와 함께 구원받을 성도들이 있는 장면이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4장 |제목=요한계시록 14:1-5 |저널= |인용문=또 내가 보니 어린 양이 시온 산에 섰고 그와 함께 십사만 사천이 섰는데 그 이마에 어린 양의 이름과 그 아버지의 이름을 쓴 것이 있도다 ... 이 사람들은 여자로 더불어 더럽히지 아니하고 정절이 있는 자라 어린 양이 어디로 인도하든지 따라가는 자며 사람 가운데서 구속을 받아 처음 익은 열매로 하나님과 어린 양에게 속한 자들이니 그 입에 거짓말이 없고 흠이 없는 자들이더라 }}</ref> 현재 [[그리스도인]]들도 시온을 복된 장소로 인식하며 그리스도교 문학과 찬송에 자주 사용한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place/Zion-hill-Jerusalem |제목=Zion |웹사이트=Britannica |저널= |인용문= }}</ref> | ||
<small>{{참고|시온과 예루살렘|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small>{{참고|시온과 예루살렘|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
| 35번째 줄: | 35번째 줄: | ||
* [[오순절]]: 성령 강림 축복([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사도행전 2장 1–4절]) | * [[오순절]]: 성령 강림 축복([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사도행전 2장 1–4절]) | ||
* [[안식일]]: 주간 절기로, 천국 안식의 축복([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누가복음 4장 16절]) | * [[안식일]]: 주간 절기로, 천국 안식의 축복([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4장 누가복음 4장 16절]) | ||
사도들과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이 세우신 영적 시온에서 새 언약 절기를 지켜 영생을 축복으로 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7장 |제목=사도행전 17:2 |인용문=바울이 자기의 규례대로 저희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제목=고린도전서 5:7–8 |인용문=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 |제목=사도행전 20:6-16 |저널= |인용문=우리는 '''무교절''' 후에 빌립보에서 배로 떠나 닷새 만에 드로아에 있는 그들에게 가서 이레를 머무니라 '''안식 후 첫날(부활절)'''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 바울이 아시아에서 지체치 않기 위하여 에베소를 지나 행선하기로 작정하였으니 이는 될 수 있는 대로 '''오순절''' 안에 예루살렘에 이르려고 급히 감이러라 }}</ref> 그래서 성경은 신약시대 성도들이 영적 시온에 와 있다고 했다.<ref name= | 사도들과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이 세우신 영적 시온에서 새 언약 절기를 지켜 영생을 축복으로 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7장 |제목=사도행전 17:2 |인용문=바울이 자기의 규례대로 저희에게로 들어가서 세 안식일에 성경을 가지고 강론하며}}</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5장 |제목=고린도전서 5:7–8 |인용문=우리의 유월절 양 곧 그리스도께서 희생이 되셨느니라 이러므로 우리가 명절을 지키되}}</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0장 |제목=사도행전 20:6-16 |저널= |인용문=우리는 '''무교절''' 후에 빌립보에서 배로 떠나 닷새 만에 드로아에 있는 그들에게 가서 이레를 머무니라 '''안식 후 첫날(부활절)'''에 우리가 떡을 떼려 하여 모였더니 ... 바울이 아시아에서 지체치 않기 위하여 에베소를 지나 행선하기로 작정하였으니 이는 될 수 있는 대로 '''오순절''' 안에 예루살렘에 이르려고 급히 감이러라 }}</ref> 그래서 성경은 신약시대 성도들이 영적 시온에 와 있다고 했다.<ref name="히12"/> | ||
<small>{{참고|시온과 절기|하나님의 절기|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small>{{참고|시온과 절기|하나님의 절기|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
| 51번째 줄: | 51번째 줄: | ||
{{인용문5 |내용=대저 '''여호와'''께서 '''시온을 건설'''하시고 [주님께서 시온을 다시 세우시고([http://www.holybible.or.kr/B_SAENEW/cgi/biblesrch.php?VR=SAENEW&QR=%BD%C3%C6%ED+102&OD= 새번역성경])] 그 영광 중에 나타나셨음이라 ... 때에 민족들과 나라들이 모여 여호와를 섬기리로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02장 시편 102:16–22] }} | {{인용문5 |내용=대저 '''여호와'''께서 '''시온을 건설'''하시고 [주님께서 시온을 다시 세우시고([http://www.holybible.or.kr/B_SAENEW/cgi/biblesrch.php?VR=SAENEW&QR=%BD%C3%C6%ED+102&OD= 새번역성경])] 그 영광 중에 나타나셨음이라 ... 때에 민족들과 나라들이 모여 여호와를 섬기리로다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02장 시편 102:16–22] }} | ||
'지존자(至尊者)'가 친히 시온을 세운다는 기록도 있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87장 |제목=시편 87:5 |저널= |인용문= '''지존자가 친히 시온을 세우리라''' 하는도다}}</ref> 지존자는 더없이 존귀한 자라는 뜻으로 하나님을 가리킨다. [[성경]]은 마지막 시대 하나님이 이 세상에 오셔서 직접 시온을 재건하실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br> | '지존자(至尊者)'가 친히 시온을 세운다는 기록도 있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87장 |제목=시편 87:5 |저널= |인용문= '''지존자가 친히 시온을 세우리라''' 하는도다}}</ref> 지존자는 더없이 존귀한 자라는 뜻으로 하나님을 가리킨다. [[성경]]은 마지막 시대 하나님이 이 세상에 오셔서 직접 시온을 재건하실 것이라고 예언하고 있다.<br> | ||
영적 시온은 하나님의 새 언약 절기를 지키는 곳이다. 무너진 시온이 건설되기 위해서는 예수님이 세우신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 등 사라진 하나님의 절기가 회복되어야만 한다. 오늘날 새 언약 3차의 7개 절기를 회복하고 초대교회 원형대로 하나님의 교회를 세우신 분은 [[안상홍]]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2003100052 |제목="누구도 외롭지 않은 세상, 하나님 사랑을 근본으로 만들어 | 영적 시온은 하나님의 새 언약 절기를 지키는 곳이다. 무너진 시온이 건설되기 위해서는 예수님이 세우신 유월절, 오순절, 초막절 등 사라진 하나님의 절기가 회복되어야만 한다. 오늘날 새 언약 3차의 7개 절기를 회복하고 초대교회 원형대로 하나님의 교회를 세우신 분은 [[안상홍]]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monthly.chosun.com/client/news/viw.asp?ctcd=&nNewsNumb=202003100052 |제목="누구도 외롭지 않은 세상, 하나님 사랑을 근본으로 만들어 갑니다" |웹사이트= |저널=월간조선 |출판사=조선뉴스프레스 |날짜=2020. 3.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 ||
구약시대에 많은 이스라엘 지도자가 있었지만 시온을 정복한 사람은 다윗이었다. 2000년 전 영적 다윗으로 등장한 [[예수 그리스도]]는 절기 지키는 교회, 영적 시온을 건설하셨다. 마지막 시대에도 새 언약 절기를 되찾아 영적 시온을 건설하실 수 있는 분은 영적 다윗으로 오신 하나님, 재림 그리스도 외에는 불가능하다. 하나님의 절기를 지키는 시온, 하나님의 교회를 재건하신 안상홍님은 말일에 인류가 찾아야 할 다윗이자, 시온을 건설하신 하나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3장 |제목=호세아 3:5 |저널= |인용문= 그 후에 저희가 돌아와서 그 하나님 여호와와 그 왕 '''다윗'''을 구하고 '''말일'''에는 경외하므로 여호와께로 와 그 은총으로 나아가리라}}</ref> | 구약시대에 많은 이스라엘 지도자가 있었지만 시온을 정복한 사람은 다윗이었다. 2000년 전 영적 다윗으로 등장한 [[예수 그리스도]]는 절기 지키는 교회, 영적 시온을 건설하셨다. 마지막 시대에도 새 언약 절기를 되찾아 영적 시온을 건설하실 수 있는 분은 영적 다윗으로 오신 하나님, 재림 그리스도 외에는 불가능하다. 하나님의 절기를 지키는 시온, 하나님의 교회를 재건하신 안상홍님은 말일에 인류가 찾아야 할 다윗이자, 시온을 건설하신 하나님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호세아#3장 |제목=호세아 3:5 |저널= |인용문= 그 후에 저희가 돌아와서 그 하나님 여호와와 그 왕 '''다윗'''을 구하고 '''말일'''에는 경외하므로 여호와께로 와 그 은총으로 나아가리라}}</ref> | ||
<small>{{참고|시온의 회복|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small>{{참고|시온의 회복|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