열왕기하: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67번째 줄: 67번째 줄:


'''나아만의 순종과 게하시의 탐욕'''(5장)<br>
'''나아만의 순종과 게하시의 탐욕'''(5장)<br>
아람의 군대 장관 [[나아만]]이 문둥병을 고치기 위해 엘리사를 찾아왔다. 엘리사는 “요단강에 몸을 일곱 번 씻으라"는 말만 전했다. 대단한 방법을 기대했던 나아만은 화가 났다. 그러나 신하들의 설득으로 요단강에 몸을 씻자 문둥병이 깨끗이 나았다.<br>
아람의 군대 장관 [[나아만]]이 문둥병을 고치기 위해 엘리사를 찾아왔다. 엘리사는 "요단강에 몸을 일곱 번 씻으라"는 말만 전했다. 대단한 방법을 기대했던 나아만은 화가 났다. 그러나 신하들의 설득으로 요단강에 몸을 씻자 문둥병이 깨끗이 나았다.<br>
엘리사는 나아만이 예물을 바치려 하자 거절했다. 그런데 엘리사의 종 게하시가 거짓말로 나아만에게 예물을 받아 집에 감추었다. 나아만의 문둥병이 게하시에게 옮겨갔다.
엘리사는 나아만이 예물을 바치려 하자 거절했다. 그런데 엘리사의 종 게하시가 거짓말로 나아만에게 예물을 받아 집에 감추었다. 나아만의 문둥병이 게하시에게 옮겨갔다.


104번째 줄: 104번째 줄:


'''이스라엘의 멸망'''(18장 9-12절)<br>
'''이스라엘의 멸망'''(18장 9-12절)<br>
호세아왕이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때, 앗수르 왕 살만에셀 5세가 군대를 몰고 와 이스라엘의 수도 사마리아를 에워쌌다. 3년 후, 사마리아가 함락되고 이스라엘은 멸망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Shalmaneser-V |제목=Shalmaneser V |웹사이트= |저널=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For three years he laid siege until “he broke the resistance of Shamaraʿin" (Samaria). }}</ref>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고 불순종한 결과였다.
호세아왕이 이스라엘을 다스리던 때, 앗수르 왕 살만에셀 5세가 군대를 몰고 와 이스라엘의 수도 사마리아를 에워쌌다. 3년 후, 사마리아가 함락되고 이스라엘은 멸망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biography/Shalmaneser-V |제목=Shalmaneser V |웹사이트= |저널=브리태니커 백과사전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For three years he laid siege until "he broke the resistance of Shamaraʿin" (Samaria). }}</ref> 이스라엘이 하나님의 말씀을 듣지 않고 불순종한 결과였다.


'''유다를 침략한 앗수르'''(18장 13절-19장)<br>
'''유다를 침략한 앗수르'''(18장 13절-19장)<br>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앗수르는 유다도 침략하려 했다. 앗수르 왕 산헤립(센나케리브)은 종 랍사게를 보내 유다 민족과 하나님을 조롱하며 항복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사야 선지자는 히스기야에게 “앗수르가 유다 예루살렘에 들어오지도 못하고 돌아갈 것"이라는 하나님의 뜻을 전했다. 그 밤에 하나님의 사자들이 앗수르 군대 18만 5000명을 송장으로 만들었다.
이스라엘을 멸망시킨 앗수르는 유다도 침략하려 했다. 앗수르 왕 산헤립(센나케리브)은 종 랍사게를 보내 유다 민족과 하나님을 조롱하며 항복을 요구했다. 그러나 이사야 선지자는 히스기야에게 "앗수르가 유다 예루살렘에 들어오지도 못하고 돌아갈 것"이라는 하나님의 뜻을 전했다. 그 밤에 하나님의 사자들이 앗수르 군대 18만 5000명을 송장으로 만들었다.


'''히스기야의 발병과 회복'''(20장)<br>
'''히스기야의 발병과 회복'''(20장)<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