여호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File:YHWH.svg|YHWH |섬네일|200px|여호와를 가리키는 히브리어 자음 4글자]]  
[[File:YHWH.svg|YHWH |섬네일|200px|여호와를 가리키는 히브리어 자음 4글자]]  
'''여호와'''(영어: Jehovah)는 [[구약성경]]에 나오는 하나님의 고유 이름이자 [[성부 (여호와)|성부]](聖父), [[성자 (예수)|성자]](聖子), [[성령]](聖靈) 성삼위 중 성부의 이름이다. 하나님이 모세에게 밝히신 당신의 이름, 히브리어 자음 4글자(יהוה, 로마자: YHWH)에서 비롯된 것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제목=출애굽기 3:14–15 |인용문= 하나님이 모세에게 이르시되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 또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스스로 있는 자가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하나님이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나를 너희에게 보내신 이는 너희 조상의 하나님 곧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 여호와라 하라 이는 나의 영원한 이름이요 대대로 기억할 나의 표호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biblehub.com/interlinear/exodus/3-15.htm|제목=Exodus 3:15|저널=Bible Hub |인용문=וַיֹּאמֶר֩ עֹ֨וד אֱלֹהִ֜ים אֶל־מֹשֶׁ֗ה כֹּֽה־תֹאמַר֮ אֶל־בְּנֵ֣י יִשְׂרָאֵל֒ יְהוָ֞ה אֱלֹהֵ֣י אֲבֹתֵיכֶ֗ם אֱלֹהֵ֨י אַבְרָהָ֜ם אֱלֹהֵ֥י יִצְחָ֛ק וֵאלֹהֵ֥י יַעֲקֹ֖ב שְׁלָחַ֣נִי אֲלֵיכֶ֑ם זֶה־שְּׁמִ֣י לְעֹלָ֔ם וְזֶ֥ה זִכְרִ֖י לְדֹ֥ר דֹּֽר׃}}</ref> 이 네 글자 자체는 테트라그라마톤(고대 그리스어: τετραγράμματον)이라고 부른다. [[성경]]에서 '여호와'라는 이름은 창세기 2장 4절에 처음 기록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제목=창세기 2:4 |인용문= 여호와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때에 천지의 창조된 대략이 이러하니라}}</ref> ''''야훼'''(영어: Yahweh)'라고도 한다.<br>
'''여호와'''(영어: Jehovah)는 [[구약성경]]에 나오는 하나님의 고유 이름이자 [[성부 (여호와)|성부]](聖父), [[성자 (예수)|성자]](聖子), [[성령]](聖靈) 성삼위 중 성부의 이름이다. 하나님이 모세에게 밝히신 당신의 이름, 히브리어 자음 4글자(יהוה, 로마자: YHWH)에서 비롯된 것이다.<ref>{{웹 인용 |url=https://biblehub.com/interlinear/exodus/3-15.htm|제목=Exodus 3:15|저널=Bible Hub |인용문=וַיֹּאמֶר֩ עֹ֨וד אֱלֹהִ֜ים אֶל־מֹשֶׁ֗ה כֹּֽה־תֹאמַר֮ אֶל־בְּנֵ֣י יִשְׂרָאֵל֒ יְהוָ֞ה אֱלֹהֵ֣י אֲבֹתֵיכֶ֗ם אֱלֹהֵ֨י אַבְרָהָ֜ם אֱלֹהֵ֥י יִצְחָ֛ק וֵאלֹהֵ֥י יַעֲקֹ֖ב שְׁלָחַ֣נִי אֲלֵיכֶ֑ם זֶה־שְּׁמִ֣י לְעֹלָ֔ם וְזֶ֥ה זִכְרִ֖י לְדֹ֥ר דֹּֽר׃}}</ref> 이 네 글자 자체는 테트라그라마톤(고대 그리스어: τετραγράμματον)이라고 부른다. [[성경]]에서 '여호와'라는 이름은 창세기 2장 4절에 처음 기록되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제목=창세기 2:4 |인용문= 여호와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신 때에 천지의 창조된 대략이 이러하니라}}</ref> ''''야훼'''(영어: Yahweh)'라고도 한다.<br>
'여호와'의 의미는 여러 가지로 해석되어 왔다. 하나님의 이름 네 글자 יהוה는 히브리어 동사 '존재하다(הָיָה, 하야)'에서 유래한 단어로, '스스로 존재하는 '라는 의미로 본다. 많은 학자는 '그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존재케 한다(Yahweh-Asher-Yahweh)'는 뜻으로 생각한다.<ref name="Yahweh">[https://www.britannica.com/topic/Yahweh Yahweh]《Britannica》</ref>
'여호와'의 의미는 여러 가지로 해석되어 왔다. 하나님의 이름 네 글자 יהוה는 히브리어 동사 '존재하다(הָיָה, 하야)'에서 유래한 단어로, 출애굽기에 나오는 '나는 스스로 존재하는 자니라(I AM WHO I AM)'라는 의미로 추정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제목=출애굽기 3:14–15 |인용문= 하나님이 모세에게 이르시되 나는 스스로 있는 자니라 또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스스로 있는 자가 나를 너희에게 보내셨다 하라 하나님이 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이스라엘 자손에게 이같이 이르기를 나를 너희에게 보내신 이는 너희 조상의 하나님 곧 아브라함의 하나님, 이삭의 하나님, 야곱의 하나님 여호와라 하라 이는 나의 영원한 이름이요 대대로 기억할 나의 표호니라}}</ref> 학자들은 이 문구를 '그는 존재하는 모든 것을 존재케 한다'는 뜻으로 여기기도 한다.<ref>{{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Yahweh|제목=Yahweh |저널=Britannica |날짜= |출판사= |저자= |쪽= |인용문=The meaning of the personal name of the Israelite God has been variously interpreted. Many scholars believe that the most proper meaning may be “He Brings into Existence Whatever Exists” (Yahweh-Asher-Yahweh).}}</ref>


==표기==
==표기==
여호와라는 이름은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9D%B8%EB%A5%98_%EB%AC%B8%ED%99%94%EC%9D%98_%EC%8B%9C%EC%9E%91/%EC%A0%9C2%EA%B8%B0_%EB%AC%B8%EB%AA%85/%EB%8F%99%EC%A7%80%EC%A4%91%ED%95%B4_%EB%AF%BC%EC%A1%B1%EC%9D%98_%ED%99%9C%EC%95%BD#%EB%B0%94%EB%B9%8C%EB%A1%A0_%EC%9C%A0%EC%88%98 바빌론 유수] 이후, 특히 기원전 3세기부터 불리지 않았다. 당시 유대인들은 십계명 중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7 |인용문= 너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나 여호와는 나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는 자를 죄 없다 하지 아니하리라}}</ref>라는 제3계명을 하나님의 이름 자체를 부르면 안 되는 것으로 받아들였고, 하나님의 이름은 너무 거룩해서 함부로 발음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회당]] 예배 때는 '아도나이(אֲדֹנָי, 나의 주)'로 발음했다. 6–10세기 히브리어 성경 원본을 재간행한 유대 마소라 학자들은 יהוה에 '아도나이', '[[엘로힘]]'의 모음을 결합해 표기했다. 구약성경 그리스어 번역본인 70인역은 '주(主)'라는 뜻의 '퀴리오스(Κύριος)'로 번역했다.<ref name="Yahweh" /><br>
여호와라는 이름은 [https://ko.wikisource.org/wiki/%EA%B8%80%EB%A1%9C%EB%B2%8C_%EC%84%B8%EA%B3%84_%EB%8C%80%EB%B0%B1%EA%B3%BC%EC%82%AC%EC%A0%84/%EC%84%B8%EA%B3%84%EC%82%AC/%EC%9D%B8%EB%A5%98_%EB%AC%B8%ED%99%94%EC%9D%98_%EC%8B%9C%EC%9E%91/%EC%A0%9C2%EA%B8%B0_%EB%AC%B8%EB%AA%85/%EB%8F%99%EC%A7%80%EC%A4%91%ED%95%B4_%EB%AF%BC%EC%A1%B1%EC%9D%98_%ED%99%9C%EC%95%BD#%EB%B0%94%EB%B9%8C%EB%A1%A0_%EC%9C%A0%EC%88%98 바빌론 유수] 이후, 특히 기원전 3세기부터 불리지 않았다. 당시 유대인들은 십계명 중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7 |인용문= 너는 너의 하나님 여호와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지 말라 나 여호와는 나의 이름을 망령되이 일컫는 자를 죄 없다 하지 아니하리라}}</ref>라는 제3계명을 하나님의 이름 자체를 부르면 안 되는 것으로 받아들였고, 하나님의 이름은 너무 거룩해서 함부로 발음해서는 안 된다는 인식이 확산됐다. [[회당]] 예배 때는 '아도나이(אֲדֹנָי, 나의 주)'로 발음했다. 6–10세기 히브리어 성경 원본을 재간행한 유대 마소라 학자들은 יהוה에 '아도나이', '[[엘로힘]]'의 모음을 결합해 표기했다. 구약성경 그리스어 번역본인 70인역은 '주(主)'라는 뜻의 '퀴리오스(Κύριος)'로 번역했다.<ref>{{인용 |url=https://www.britannica.com/topic/Yahweh|제목=Yahweh |저널=Britannica |날짜= |출판사= |저자= |쪽= |인용문=At the same time, the divine name was increasingly regarded as too sacred to be uttered; it was thus replaced vocally in the synagogue ritual by the Hebrew word Adonai (“My Lord”), which was translated as Kyrios (“Lord”) in the Septuagint, the Greek version of the Hebrew Scriptures.}}</ref><br>
여호와는 한글 성경 번역본에서 여호와(개역한글), 주 하나님(표준새번역), 야훼(공동번역)로 번역되었다. 대부분의 영어 번역본(NIV, NASB, RSV, KJV)은 'The LORD(주)', 독일어 번역본도 'der Herr(주)'로 번역한다. 프랑스 번역본은 '영원하신 자'라는 의미로 'l'Éternel'로 표기한다.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YHWH, YHVH, JHWH, JHVH로 쓴다.
여호와는 한글 성경 번역본에서 여호와(개역한글), 주 하나님(표준새번역), 야훼(공동번역)로 번역되었다. 대부분의 영어 번역본(NIV, NASB, RSV, KJV)은 'The LORD(주)', 독일어 번역본도 'der Herr(주)'로 번역한다. 프랑스 번역본은 '영원하신 자'라는 의미로 'l'Éternel'로 표기한다. 로마자로 표기할 때는 YHWH, YHVH, JHWH, JHVH로 쓴다.


47번째 줄: 47번째 줄:
====40년 광야 생활====
====40년 광야 생활====
[[File:MountSinai1723.jpg|MountSinai1723|섬네일|시내산에 강림하신 여호와]]
[[File:MountSinai1723.jpg|MountSinai1723|섬네일|시내산에 강림하신 여호와]]
여호와는 [[모세]]를 선지자로 세워 이스라엘 민족을 애굽에서 해방시키셨다. 홍해를 갈라 이스라엘 민족이 마른 땅을 밟아 건너게 하셨고, 낮에는 구름 기둥 밤에는 불기둥으로 그들과 함께하셨다. 광야 생활 내내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해 하늘에서 '[[만나]]'라는 양식을 내리셨다.<br>
여호와는 [[모세]]를 선지자로 세워 이스라엘 민족을 애굽에서 해방시키셨다. 홍해를 갈라 이스라엘 민족이 마른땅을 밟아 건너게 하셨고, 낮에는 구름 기둥 밤에는 불기둥으로 그들과 함께하셨다. 광야 생활 내내 이스라엘 백성들을 위해 하늘에서 '[[만나]]'라는 양식을 내리셨다.<br>
이스라엘 민족이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가기까지는 40년이 걸렸다. 이스라엘 광야 40년 역사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언약의 순종 여부를 시험하는 연단의 시간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8장 |제목=신명기 8:1–16 |인용문=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40년 동안에 너로 광야의 길을 걷게 하신 것을 기억하라 이는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네 마음이 어떠한지 그 명령을 지키는지 아니 지키는지 알려 하심이라 ... 이는 다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마침내 네게 복을 주려 하심이었느니라}}</ref><br>
이스라엘 민족이 약속의 땅 가나안으로 가기까지는 40년이 걸렸다. 이스라엘 광야 40년 역사는 하나님에 대한 믿음과 언약의 순종 여부를 시험하는 연단의 시간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8장 |제목=신명기 8:1–16 |인용문=네 하나님 여호와께서 이 40년 동안에 너로 광야의 길을 걷게 하신 것을 기억하라 이는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네 마음이 어떠한지 그 명령을 지키는지 아니 지키는지 알려 하심이라 ... 이는 다 너를 낮추시며 너를 시험하사 마침내 네게 복을 주려 하심이었느니라}}</ref><br>
여호와는 애굽에서 나온 해에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선포하며 언약을 세우셨는데, 이를 '[[옛 언약]]' 또는 '[[모세의 율법]]'이라고 한다. 여호와는 언약과 율법을 지키는 자를 백성으로 삼겠다고 하시며 이스라엘 민족을 광야 생활 동안 언약과 율법으로 교육하셨다. 그러나 애굽에서 나온 사람 대부분이 원망, 불평 하고 하나님의 언약을 저버리므로 광야에서 죽었다. 애굽에서 나온 남자 중 [[여호수아 (인물)|여호수아]]와 [[갈렙]] 그리고 광야에서 태어난 세대만 40년 광야 생활을 마치고 가나안에 들어갔다.<br>
여호와는 애굽에서 나온 해에 [[시내산]]에서 [[십계명]]을 선포하며 언약을 세우셨는데, 이를 '[[옛 언약]]' 또는 '[[모세의 율법]]'이라고 한다. 여호와는 언약과 율법을 지키는 자를 백성으로 삼겠다고 하시며 이스라엘 민족을 광야 생활 동안 언약과 율법으로 교육하셨다. 그러나 애굽에서 나온 사람 대부분이 원망, 불평 하고 하나님의 언약을 저버리므로 광야에서 죽었다. 애굽에서 나온 남자 중 [[여호수아 (인물)|여호수아]]와 [[갈렙]] 그리고 광야에서 태어난 세대만 40년 광야 생활을 마치고 가나안에 들어갔다.<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