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교회 사회 공헌 활동: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9번째 줄: 39번째 줄:


===긴급구호===
===긴급구호===
전 세계 하나님의 교회는 지진, 태풍, 허리케인, 폭설 등 각종 재난과 사건사고 발생 시, 지구촌 가족들의 생명을 구하고 피해복구와 이재민 구호에 힘쓴다. 2014년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슬픔에 잠긴 이들을 위해 [[하나님의 교회 무료급식봉사| 무료급식캠프]]를 차리고 마지막까지 현장에 남아 피해 가족은 물론 공무원과 자원봉사자, 언론 관계자 등을 챙기며 44일간 1만 5000명 분의 식사를 제공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60713/79165977/1 |제목=[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아픔 있는 곳에 그들이 있었다 |웹사이트= |저널=동아일보 |출판사= |날짜=2016. 7. 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2015년 [[하나님의 교회 네팔 지진피해복구 | 네팔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는 성도들이 여진의 위험을 무릅쓰고 인명구조와 복구에 앞장섰고, 고산지대 마을의 고립된 주민들에게 14차례 헬기로 식료품을 전달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woman.donga.com/3/all/12/2409706/1 |제목=코로나19 극복과 지구촌의 밝은 미래 만드는 따뜻한 응원 |웹사이트= |저널=여성동아 |출판사= |날짜=2021. 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File:네팔 지진 피해복구 자원봉사.jpg|섬네일|px| 2015년 [[하나님의 교회 네팔 지진피해복구|네팔 지진 피해복구 자원봉사]]]]
전 세계 하나님의 교회는 지진, 태풍, 허리케인, 폭설 등 각종 재난과 사건사고 발생 시, 지구촌 가족들의 생명을 구하고 피해복구와 이재민 구호에 힘쓴다. 2014년 세월호 침몰사고 당시 슬픔에 잠긴 이들을 위해 [[하나님의 교회 무료급식봉사| 무료급식캠프]]를 차리고 마지막까지 현장에 남아 피해 가족은 물론 공무원과 자원봉사자, 언론 관계자 등을 챙기며 44일간 1만 5000명 분의 식사를 제공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donga.com/news/Culture/article/all/20160713/79165977/1 |제목=[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아픔 있는 곳에 그들이 있었다 |웹사이트= |저널=동아일보 |출판사= |날짜=2016. 7. 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2015년 [[하나님의 교회 네팔 지진피해복구 | 네팔 대지진]]이 발생했을 때는 성도들이 여진의 위험을 무릅쓰고 인명구조와 복구에 앞장섰고, 고산지대 마을의 고립된 주민들에게 14차례 헬기로 식료품을 전달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woman.donga.com/3/all/12/2409706/1 |제목=코로나19 극복과 지구촌의 밝은 미래 만드는 따뜻한 응원 |웹사이트= |저널=여성동아 |출판사= |날짜=2021. 2.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File:네팔 하나님의 교회-네팔 지진피해복구 자원봉사.jpg|섬네일|px| 2015년 [[하나님의 교회 네팔 지진피해복구|네팔 지진 피해복구 자원봉사]]]]
당시 지진으로 학교가 무너져 임시 천막교실에서 학업을 이어가는 학생들을 위해 '[[하나님의 교회 네팔 지진피해복구# Mother's School(어머니의 학교) 프로젝트|어머니의 학교(Mother's School)]]' 프로젝트를 통해 학교 건물을 재건했다. 2015년 7월, 네팔 교육부와 '지진 피해 학교 재건' MOU를 체결한 뒤 신두팔촉 지역과 카브레 지역에 각각 '어머니의 학교' 1호와 2호를 세웠다.<ref>{{웹 인용 |url=https://www.ajunews.com/view/20170427131732484 |제목='이웃을 위한 봉사' 하나님의 교회 세계적 공헌 |웹사이트= |저널=아주경제 |출판사= |날짜=2017. 4. 2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당시 지진으로 학교가 무너져 임시 천막교실에서 학업을 이어가는 학생들을 위해 '[[하나님의 교회 네팔 지진피해복구# Mother's School(어머니의 학교) 프로젝트|어머니의 학교(Mother's School)]]' 프로젝트를 통해 학교 건물을 재건했다. 2015년 7월, 네팔 교육부와 '지진 피해 학교 재건' MOU를 체결한 뒤 신두팔촉 지역과 카브레 지역에 각각 '어머니의 학교' 1호와 2호를 세웠다.<ref>{{웹 인용 |url=https://www.ajunews.com/view/20170427131732484 |제목='이웃을 위한 봉사' 하나님의 교회 세계적 공헌 |웹사이트= |저널=아주경제 |출판사= |날짜=2017. 4. 2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인용문 |지진으로 너무나 힘든 상황에서 하나님의 교회가 네팔 정부나 다른 어떤 단체보다 먼저 이곳(지진 피해 현장)까지 찾아와 학교를 세워줬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베푼 하나님의 교회의 지원과 사랑 덕분에 행복함을 느꼈다. |루드라 하리 반다리 / 네팔 신두팔촉 교육장 <ref>{{웹 인용 |url=https://shindonga.donga.com/3/all/13/839335/1 |제목="인도주의 활동은 '어머니의 마음'에서 나온 것" |웹사이트= |저널=신동아 |출판사= |날짜=2017. 2. 2|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인용문 |지진으로 너무나 힘든 상황에서 하나님의 교회가 네팔 정부나 다른 어떤 단체보다 먼저 이곳(지진 피해 현장)까지 찾아와 학교를 세워줬다. 학생과 학부모에게 베푼 하나님의 교회의 지원과 사랑 덕분에 행복함을 느꼈다. |루드라 하리 반다리 / 네팔 신두팔촉 교육장 <ref>{{웹 인용 |url=https://shindonga.donga.com/3/all/13/839335/1 |제목="인도주의 활동은 '어머니의 마음'에서 나온 것" |웹사이트= |저널=신동아 |출판사= |날짜=2017. 2. 2|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