나팔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
| 7번째 줄: | 7번째 줄: | ||
|신약의식 = 대속죄일을 준비하며 10일간 통회 기도 | |신약의식 = 대속죄일을 준비하며 10일간 통회 기도 | ||
}} | }} | ||
'''나팔절'''(喇叭節, Feast of Trumpets)은 | '''나팔절'''(喇叭節, Feast of Trumpets)은 [[하나님]]의 [[하나님의 절기|3차 7개 절기]] 중 가을에 맞이하는 3차 절기의 처음이다. 날짜는 성력 7월 1일이며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5076 그레고리력](태양력)으로 9-10월경에 해당한다. 이스라엘 백성들은 나팔절이 되면 나팔을 크게 불어 [[대속죄일]]을 준비하고, 절기의 규례를 따라 마음을 정결히 하며 회개의 시간을 가졌다. | ||
==나팔절의 유래== | ==나팔절의 유래== | ||
===이스라엘의 범죄=== | ===이스라엘의 범죄=== | ||
[[파일:Rembrandt_Harmensz._van_Rijn_079.jpg|Moses_Breaking_the_Tablets_of_the_Law|섬네일|250px|렘브란트 作, 십계명 돌판을 깨뜨리는 모세]] | [[파일:Rembrandt_Harmensz._van_Rijn_079.jpg|Moses_Breaking_the_Tablets_of_the_Law|섬네일|250px|렘브란트 作, 십계명 돌판을 깨뜨리는 모세]] | ||
[[홍해]]를 건넌 이스라엘 백성들은 시내 광야에 이르러 진을 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 |제목=출애굽기 19:1-2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부터 제삼월 곧 그 때에 그들이 시내 광야에 이르니라 그들이 르비딤을 떠나 시내 광야에 이르러 그 광야에 장막을 치되 산 앞에 장막을 치니라 }}</ref> 하나님은 [[십계명]]을 주시려고 [[모세]]를 | [[홍해]]를 건넌 이스라엘 백성들은 시내 광야에 이르러 진을 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 |제목=출애굽기 19:1-2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이 애굽 땅에서 나올 때부터 제삼월 곧 그 때에 그들이 시내 광야에 이르니라 그들이 르비딤을 떠나 시내 광야에 이르러 그 광야에 장막을 치되 산 앞에 장막을 치니라 }}</ref> 하나님은 [[십계명]]을 주시려고 [[모세]]를 시내산으로 부르셨다. 모세가 40일간 시내산에 머물며 오랫동안 내려오지 않자 백성들은 그가 죽었다 생각하고 자신들을 인도할 신으로 금송아지를 만들어 숭배했다. 금송아지를 가리켜 애굽(이집트)의 노예 생활에서 이스라엘을 이끌어낸 신이라고 하며 [[우상]]을 섬긴 것이다. <br> | ||
이에 하나님은 진노하셨고, 십계명을 받아 시내산에서 내려오던 모세도 백성들이 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하는 모습을 보고 대로하여 십계명 돌판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려버렸다. 이때 내란이 일어나, 우상 숭배에 참여했던 3000명가량이 죽임을 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7-19, 27-28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내려가라 네가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네 백성이 부패하였도다 그들이 내가 그들에게 명한 길을 속히 떠나 자기를 위하여 송아지를 부어 만들고 그것을 숭배하며 그것에게 희생을 드리며 말하기를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라 하였도다 ...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 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십계명]'''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 ... 이 날에 백성 중에 삼천 명가량이 죽인 바 된지라 }}</ref> | 이에 하나님은 진노하셨고, 십계명을 받아 시내산에서 내려오던 모세도 백성들이 금송아지 우상을 숭배하는 모습을 보고 대로하여 십계명 돌판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려버렸다. 이때 내란이 일어나, 우상 숭배에 참여했던 3000명가량이 죽임을 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2장 |제목=출애굽기 32:7-19, 27-28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내려가라 네가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네 백성이 부패하였도다 그들이 내가 그들에게 명한 길을 속히 떠나 자기를 위하여 송아지를 부어 만들고 그것을 숭배하며 그것에게 희생을 드리며 말하기를 이스라엘아 이는 너희를 애굽 땅에서 인도하여 낸 너희 신이라 하였도다 ... 진에 가까이 이르러 송아지와 그 춤 추는 것을 보고 대노하여 손에서 '''그 판[십계명]'''들을 산 아래로 던져 깨뜨리니라 ... 이 날에 백성 중에 삼천 명가량이 죽인 바 된지라 }}</ref> |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이후 모세는 진 바깥 먼 곳에 장막을 옮겨 회막이라 하고 그곳에서 하나님께 간구했다. 모세가 회막에 들어갈 때 백성들은 단장품을 다 제하고 각기 장막 문에 서서 하나님께 경배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3장 |제목=출애굽기 33:1-11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 너희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 이르게 하려니와 나는 너희와 함께 올라가지 아니하리니 너희는 목이 곧은 백성인즉 내가 중로에서 너희를 진멸할까 염려함이니라 하시니 백성이 이 황송한 말씀을 듣고 슬퍼하여 한 사람도 그 몸을 단장하지 아니하니 ... 모세가 회막에 들어갈 때에 구름 기둥이 내려 회막문에 서며 여호와께서 모세와 말씀하시니 모든 백성이 회막문에 구름 기둥이 섰음을 보고 다 일어나 각기 장막문에 서서 경배하며 }}</ref> 모세의 간구로 하나님은 백성들의 죄를 용서하시고 다시금 십계명을 받으러 올라오도록 명하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명대로 처음 것과 동일한 석판을 준비해 성력 6월 1일 아침 일찍 시내산으로 올라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4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깍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 ... 모세가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고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그 두 돌판을 손에 들고 여호와의 명대로 시내산에 올라가니 }}</ref> 모세는 시내산에서 40일간 금식하며 하나님과 함께 머물렀고, 하나님은 석판에 친히 십계명을 새겨주셨다. 모세가 하나님께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내려온 날이 성력 7월 10일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28-29 |저널= |인용문=모세가 여호와와 함께 사십일 사십야를 거기 있으면서 떡도 먹지 아니하였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으며 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 모세가 그 증거의 두 판을 자기 손에 들고 시내산에서 내려오니 }}</ref> 하나님은 두 번째 십계명을 허락하신 7월 10일을 대속죄일로 정하시고, 열흘 전인 7월 1일을 나팔을 불어 대속죄일을 준비하는 나팔절로 삼으셨다. | 이후 모세는 진 바깥 먼 곳에 장막을 옮겨 회막이라 하고 그곳에서 하나님께 간구했다. 모세가 회막에 들어갈 때 백성들은 단장품을 다 제하고 각기 장막 문에 서서 하나님께 경배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3장 |제목=출애굽기 33:1-11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 너희로 젖과 꿀이 흐르는 땅에 이르게 하려니와 나는 너희와 함께 올라가지 아니하리니 너희는 목이 곧은 백성인즉 내가 중로에서 너희를 진멸할까 염려함이니라 하시니 백성이 이 황송한 말씀을 듣고 슬퍼하여 한 사람도 그 몸을 단장하지 아니하니 ... 모세가 회막에 들어갈 때에 구름 기둥이 내려 회막문에 서며 여호와께서 모세와 말씀하시니 모든 백성이 회막문에 구름 기둥이 섰음을 보고 다 일어나 각기 장막문에 서서 경배하며 }}</ref> 모세의 간구로 하나님은 백성들의 죄를 용서하시고 다시금 십계명을 받으러 올라오도록 명하셨다. 모세는 하나님의 명대로 처음 것과 동일한 석판을 준비해 성력 6월 1일 아침 일찍 시내산으로 올라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1-4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깍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라 네가 깨뜨린 바 처음 판에 있던 말을 내가 그 판에 쓰리니 ... 모세가 돌판 둘을 처음 것과 같이 깎아 만들고 아침에 일찍이 일어나 그 두 돌판을 손에 들고 여호와의 명대로 시내산에 올라가니 }}</ref> 모세는 시내산에서 40일간 금식하며 하나님과 함께 머물렀고, 하나님은 석판에 친히 십계명을 새겨주셨다. 모세가 하나님께 두 번째 십계명을 받아 내려온 날이 성력 7월 10일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4장 |제목=출애굽기 34:28-29 |저널= |인용문=모세가 여호와와 함께 사십일 사십야를 거기 있으면서 떡도 먹지 아니하였고 물도 마시지 아니하였으며 여호와께서는 언약의 말씀 곧 '''십계'''를 그 판들에 기록하셨더라 모세가 그 증거의 두 판을 자기 손에 들고 시내산에서 내려오니 }}</ref> 하나님은 두 번째 십계명을 허락하신 7월 10일을 대속죄일로 정하시고, 열흘 전인 7월 1일을 나팔을 불어 대속죄일을 준비하는 나팔절로 삼으셨다. | ||
{{인용문5|내용=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칠월 곧 그달 일일'''로 안식일을 삼을지니 이는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이요 성회라 아무 노동도 하지 말고 여호와께 화제를 드릴지니라 ... '''칠월 십일'''은 '''속죄일'''이니 너희에게 성회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레위기 23:23-27]}} | {{인용문5|내용=여호와께서 모세에게 일러 가라사대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하여 이르라 '''칠월 곧 그달 일일'''로 안식일을 삼을지니 이는 '''나팔을 불어 기념할 날'''이요 성회라 아무 노동도 하지 말고 여호와께 화제를 드릴지니라 ... '''칠월 십일'''은 '''속죄일'''이니 너희에게 성회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23장 레위기 23:23-27]}} | ||
==나팔절의 의식== | ==나팔절의 의식== | ||
===구약시대=== | ===구약시대=== | ||
| 23번째 줄: | 22번째 줄: | ||
===신약시대=== | ===신약시대=== | ||
가을에 맞이하는 3차 절기는 나팔절을 시작으로 대속죄일(성력 7월 10일), [[초막절]](성력 7월 15-22일) 순으로 이어진다. 초막절은 3차 절기를 대표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 |제목=신명기 16:16 |저널= |인용문=너의 중 모든 남자는 일 년 삼차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의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께 보이되 공수로 여호와께 보이지 말고 }}</ref> 신약시대 구원자로 오신 | 가을에 맞이하는 3차 절기는 나팔절을 시작으로 대속죄일(성력 7월 10일), [[초막절]](성력 7월 15-22일) 순으로 이어진다. 초막절은 3차 절기를 대표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16장 |제목=신명기 16:16 |저널= |인용문=너의 중 모든 남자는 일 년 삼차 곧 무교절과 칠칠절과 초막절에 네 하나님 여호와의 택하신 곳에서 여호와께 보이되 공수로 여호와께 보이지 말고 }}</ref> 신약시대 구원자로 오신 [[예수 그리스도|예수님]]은 초막절 지키는 본을 보이셨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7장 |제목=요한복음 7:2, 37-39 |저널= |인용문=유대인의 명절인 '''초막절'''이 가까운지라 ... 명절 끝 날 곧 큰 날에 예수께서 서서 외쳐 가라사대 누구든지 목마르거든 내게로 와서 마시라 나를 믿는 자는 성경에 이름과 같이 그 배에서 생수의 강이 흘러나리라 하시니 이는 그를 믿는 자의 받을 성령을 가리켜 말씀하신 것이라 }}</ref> 이는 예수님이 나팔절 역시 지키셨음을 의미한다.<br> | ||
예수님의 본을 따라 신약시대 성도들도 나팔절을 지켜야 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15 |저널= |인용문=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ref> 짐승을 잡아 제사를 드렸던 구약시대와 달리, 신약시대에는 성력 7월 1일부터 열흘간 1년 동안 지은 죄를 하나님께 고백하고 회개 기도를 올려 대속죄일을 준비하는 | 예수님의 본을 따라 신약시대 성도들도 나팔절을 지켜야 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15 |저널= |인용문=내가 너희에게 행한 것같이 너희도 행하게 하려 하여 본을 보였노라 }}</ref> 짐승을 잡아 제사를 드렸던 구약시대와 달리, 신약시대에는 성력 7월 1일부터 열흘간 1년 동안 지은 죄를 하나님께 고백하고 회개 기도를 올려 대속죄일을 준비하는 [[예배]]를 드린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4장 |제목=요한복음 4:23-24 |저널= |인용문=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 }}</ref>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유월절]] | *[[유월절]] | ||
[[무교절]] | *[[무교절]] | ||
[[초실절]] | *[[초실절]] | ||
[[칠칠절]] | *[[칠칠절]] | ||
[[대속죄일]] | *[[대속죄일]] | ||
[[초막절]] | *[[초막절]] | ||
==각주== | ==각주==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