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스카 논쟁 (유월절 논쟁):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21번째 줄: 21번째 줄:


== 제1차 파스카 논쟁==
== 제1차 파스카 논쟁==
[[File:Burghers michael saintpolycarp.jpg|섬네일|100px|폴리카르포스]]
{{그림|Burghers michael saintpolycarp.jpg|정렬=오른쪽섬네일|너비=100px|타이틀=폴리카르포스}}
155년경 [[서머나 (스미르나)|서머나]]교회(동방 교회)의 감독 폴리카르포스(Polycarpos, 폴리캅)과 로마교회의 감독 아니케투스(Anicetus) 사이에 벌어진 유월절 날짜 논쟁이다.<ref>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2쪽, <q>155년에 폴리캅[폴리카르포스]은 로마 교황 아니케터스(Anicetus)와 이 문제를 토론하였으나 양편이 다 상대방을 설복시킬 수가 없어서 서로 다르게 그날을 지키기로 합의를 보았다.</q></ref> 로마를 방문한 폴리카르포스는 아니케투스에게 자신은 '예수님의 제자인 요한 그리고 여러 사도들과 함께 매년 유월절을 지켜왔다'며 예수와 사도들의 전승대로 니산월(1월) 14일에 유월절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아니케투스는 전임 감독들의 관습을 보전해야 한다고 했다. 결국 두 사람은 서로를 설복시킬 수 없어 각자 전임 감독들의 전승을 따르기로 했다.<ref>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1, 265쪽, <q>아니케투스가 로마 교회의 감독으로 있을 때, 폴리갑[폴리카르포스]이 로마를 방문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여러 가지 문제에 관해 의견의 차이가 있었으나 곧 서로 화해했으며, 이 주제로 서로 논쟁하지도 않았습니다. 아니세투스[아니케투스]는 폴리갑에게 그 관습을 지키지 말라고 권면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폴리갑은 주의 제자 요한, 그리고 그와 교제한 나머지 사도들과 함께 그것을 지켜왔기 때문입니다. 폴리갑도 아니세투스에게 그 관습을 지키라고 권면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아니세투스는 전임 감독들의 관습을 보전해야 한다고 말했기 때문입니다.</q></ref><ref>[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139351 "스미르나의 폴리카르푸스"], 《가톨릭신문》, 2002. 11. 17., <q>폴리카르푸스는 생애 말기에 로마로 건너가 주교 아니체투스와 부활절 날짜, 단식 문제와 같은 교회의 여러 현안을 놓고 협의하였다. 아시아 지방의 대표로서 폴리카르푸스는 당시 서방의 관습과 달리, 사도 요한의 전통에 따라 과월절 전날인 니산달 14일에 부활절을 거행하는 「14일파」를 변론하였다. 부활절 날짜 문제는 폴리카르푸스와 아니체투스의 주장이 서로 달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q></ref>
155년경 [[서머나 (스미르나)|서머나]]교회(동방 교회)의 감독 폴리카르포스(Polycarpos, 폴리캅)과 로마교회의 감독 아니케투스(Anicetus) 사이에 벌어진 유월절 날짜 논쟁이다.<ref>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2쪽, <q>155년에 폴리캅[폴리카르포스]은 로마 교황 아니케터스(Anicetus)와 이 문제를 토론하였으나 양편이 다 상대방을 설복시킬 수가 없어서 서로 다르게 그날을 지키기로 합의를 보았다.</q></ref> 로마를 방문한 폴리카르포스는 아니케투스에게 자신은 '예수님의 제자인 요한 그리고 여러 사도들과 함께 매년 유월절을 지켜왔다'며 예수와 사도들의 전승대로 니산월(1월) 14일에 유월절을 지켜야 한다고 강조했다. 그러나 아니케투스는 전임 감독들의 관습을 보전해야 한다고 했다. 결국 두 사람은 서로를 설복시킬 수 없어 각자 전임 감독들의 전승을 따르기로 했다.<ref>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1, 265쪽, <q>아니케투스가 로마 교회의 감독으로 있을 때, 폴리갑[폴리카르포스]이 로마를 방문한 일이 있었습니다. 그들은 여러 가지 문제에 관해 의견의 차이가 있었으나 곧 서로 화해했으며, 이 주제로 서로 논쟁하지도 않았습니다. 아니세투스[아니케투스]는 폴리갑에게 그 관습을 지키지 말라고 권면할 수 없었습니다. 왜냐하면 폴리갑은 주의 제자 요한, 그리고 그와 교제한 나머지 사도들과 함께 그것을 지켜왔기 때문입니다. 폴리갑도 아니세투스에게 그 관습을 지키라고 권면하지 않았습니다. 왜냐하면 아니세투스는 전임 감독들의 관습을 보전해야 한다고 말했기 때문입니다.</q></ref><ref>[https://www.catholictimes.org/article/article_view.php?aid=139351 "스미르나의 폴리카르푸스"], 《가톨릭신문》, 2002. 11. 17., <q>폴리카르푸스는 생애 말기에 로마로 건너가 주교 아니체투스와 부활절 날짜, 단식 문제와 같은 교회의 여러 현안을 놓고 협의하였다. 아시아 지방의 대표로서 폴리카르푸스는 당시 서방의 관습과 달리, 사도 요한의 전통에 따라 과월절 전날인 니산달 14일에 부활절을 거행하는 「14일파」를 변론하였다. 부활절 날짜 문제는 폴리카르푸스와 아니체투스의 주장이 서로 달라 합의가 이루어지지 않았다.</q></ref>


==제2차 파스카 논쟁==
==제2차 파스카 논쟁==
[[File:Pope Victor I.jpg|섬네일|100px|빅토르 1세]]
{{그림|Pope Victor I.jpg|정렬=오른쪽섬네일|너비=100px|타이틀=빅토르 1세}}
197년경 로마교회 감독 빅토르(Victor Ⅰ, 빅토르 1세)가 모든 교회에 일요일에 성찬식을 하는 이른바 '도미닉의 규칙(주의 규칙)'<ref>매년 부활절 날짜가 일요일에 오도록 지정하기 위해 알파벳 A-H까지 8개의 문자를 사용해 만든 규칙(주간이 7일 주기로 바뀌었을 때는 A-G까지 7개 문자)으로, 이 규칙을 '도미니칼 레터(Dominical letter)' 또는 '선데이 레터(Sunday letter)'라고도 부른다.</ref>을 강요하면서 다시 발생했다.<ref>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2쪽, <q>이 논쟁의 보다 더 중요한 단계는 197년 로마에서 일어났다. ... 로마 교황 빅터(Victor)는 모든 혼란을 중지시키고 부활절을 일요일에 지키는 도미닉의 규칙(Dominical Rule)을 채용하도록 전 교회에 강요하였다. ... 아시아를 제외하고는 각지에서 도미닉의 규칙을 채용하게 되었다.</q></ref> 서방 교회들은 빅토르의 주장을 받아들였지만 동방 교회들은 반발했다. [[에베소 (에페수스)|에베소]]교회(동방 교회) 감독 폴리크라테스(Polycrates)는 소아시아 지역에서 행하는 유월절 성찬식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ref>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2-123쪽, <q>에베소의 감독 폴리크라테스(Polycrates)는 자기 편지에서 성 빌립과 성 요한과 그리고 아시아의 그 밖의 성자들의 한 사람의 권세를 자기가 행사한다고 주장하고 항쟁하기를 자기는 자기 가문에서 감독의 직분을 여덟 번째 가지는 사람이므로 적어도 어느 것이 바른 규칙인지를 안다고 하였다.</q></ref> 그는 소아시아 교회들을 지도했던 [[빌립 (사도)|사도 빌립]], [[요한 (사도)|사도 요한]] 그리고 여러 순교자들이 [[복음]]에 따라 1월 14일에 유월절을 지켰음을 말하고, 8대 감독인 자신도 전승을 따라 1월 14일에 유월절을 지키고 있다며, 성경적인 유월절 날짜를 지켜야 함을 강한 논조로 설명했다. {{인용문|We observe the exact day; neither adding, nor taking away. For in Asia also great lights have fallen asleep, which shall rise again on the day of the Lord’s coming, when he shall come with glory from heaven, and shall seek out all the saints. Among these are '''Philip''', one of the twelve apostles, ... '''John''', who was both a witness and a teacher, who reclined upon the bosom of the Lord, and, being a priest, wore the sacerdotal plate. He fell asleep at Ephesus. And Polycarp in Smyrna, ... '''All these observed the fourteenth day of the passover according to the Gospel''', deviating in no respect, but following the rule of faith. And I also, Polycrates, the least of you all, do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my relatives, some of whom I have closely followed. For seven of my relatives were bishops; and I am the eighth. And my relatives always observed the day when the people put away the leaven [Passover].
197년경 로마교회 감독 빅토르(Victor Ⅰ, 빅토르 1세)가 모든 교회에 일요일에 성찬식을 하는 이른바 '도미닉의 규칙(주의 규칙)'<ref>매년 부활절 날짜가 일요일에 오도록 지정하기 위해 알파벳 A-H까지 8개의 문자를 사용해 만든 규칙(주간이 7일 주기로 바뀌었을 때는 A-G까지 7개 문자)으로, 이 규칙을 '도미니칼 레터(Dominical letter)' 또는 '선데이 레터(Sunday letter)'라고도 부른다.</ref>을 강요하면서 다시 발생했다.<ref>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2쪽, <q>이 논쟁의 보다 더 중요한 단계는 197년 로마에서 일어났다. ... 로마 교황 빅터(Victor)는 모든 혼란을 중지시키고 부활절을 일요일에 지키는 도미닉의 규칙(Dominical Rule)을 채용하도록 전 교회에 강요하였다. ... 아시아를 제외하고는 각지에서 도미닉의 규칙을 채용하게 되었다.</q></ref> 서방 교회들은 빅토르의 주장을 받아들였지만 동방 교회들은 반발했다. [[에베소 (에페수스)|에베소]]교회(동방 교회) 감독 폴리크라테스(Polycrates)는 소아시아 지역에서 행하는 유월절 성찬식의 정당성을 설명하는 내용의 서신을 보냈다.<ref>J. W. C. 완드, 《교회사(초대편)》, 이장식 역, 대한기독교서회, 2000, 122-123쪽, <q>에베소의 감독 폴리크라테스(Polycrates)는 자기 편지에서 성 빌립과 성 요한과 그리고 아시아의 그 밖의 성자들의 한 사람의 권세를 자기가 행사한다고 주장하고 항쟁하기를 자기는 자기 가문에서 감독의 직분을 여덟 번째 가지는 사람이므로 적어도 어느 것이 바른 규칙인지를 안다고 하였다.</q></ref> 그는 소아시아 교회들을 지도했던 [[빌립 (사도)|사도 빌립]], [[요한 (사도)|사도 요한]] 그리고 여러 순교자들이 [[복음]]에 따라 1월 14일에 유월절을 지켰음을 말하고, 8대 감독인 자신도 전승을 따라 1월 14일에 유월절을 지키고 있다며, 성경적인 유월절 날짜를 지켜야 함을 강한 논조로 설명했다. {{인용문|We observe the exact day; neither adding, nor taking away. For in Asia also great lights have fallen asleep, which shall rise again on the day of the Lord’s coming, when he shall come with glory from heaven, and shall seek out all the saints. Among these are '''Philip''', one of the twelve apostles, ... '''John''', who was both a witness and a teacher, who reclined upon the bosom of the Lord, and, being a priest, wore the sacerdotal plate. He fell asleep at Ephesus. And Polycarp in Smyrna, ... '''All these observed the fourteenth day of the passover according to the Gospel''', deviating in no respect, but following the rule of faith. And I also, Polycrates, the least of you all, do according to the tradition of my relatives, some of whom I have closely followed. For seven of my relatives were bishops; and I am the eighth. And my relatives always observed the day when the people put away the leaven [Passover].
우리는 바르게 절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거기에 아무것도 덧붙이거나 감하지 않았습니다. 아시아에는 위대한 인물들이 잠들어 있습니다. ... 열두 사도의 한 사람인 '''빌립'''과 ... 교사였고 순교자였던 '''요한'''도 에베소에 묻혀 있습니다. ... 이 사람들은 모두 조금도 빗나가지 않고 신앙의 규칙을 따르면서 '''복음에 따라 14일을 유월절로 지켰습니다.''' 그리고 나 폴리크라테스는 비록 당신들 중에서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에 불과하지만 내 전임 감독들의 전승을 따르고 있습니다. 나에게는 일곱 명의 전임 감독들이 있고, 나는 8대 감독입니다. 전임 감독들은 항상 백성들이(유대인) 누룩을 없앤 날[유월절]을 지켜왔습니다.<ref>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1, 262-263쪽</ref>|Philip Schaff et al., "Church History of Eusebius(Book V),"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II'', Volume I,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 1890}}서신을 받은 빅토르는 아시아의 교회들을 비정통으로 간주하고 즉시 파문을 통보했다. 그러나 이는 모든 교회의 일치된 의견은 아니었으므로 그는 일부 감독들의 중재를 받아들여 파문을 취소했다.
우리는 바르게 절기를 지키고 있습니다. 우리는 거기에 아무것도 덧붙이거나 감하지 않았습니다. 아시아에는 위대한 인물들이 잠들어 있습니다. ... 열두 사도의 한 사람인 '''빌립'''과 ... 교사였고 순교자였던 '''요한'''도 에베소에 묻혀 있습니다. ... 이 사람들은 모두 조금도 빗나가지 않고 신앙의 규칙을 따르면서 '''복음에 따라 14일을 유월절로 지켰습니다.''' 그리고 나 폴리크라테스는 비록 당신들 중에서 가장 보잘것없는 사람에 불과하지만 내 전임 감독들의 전승을 따르고 있습니다. 나에게는 일곱 명의 전임 감독들이 있고, 나는 8대 감독입니다. 전임 감독들은 항상 백성들이(유대인) 누룩을 없앤 날[유월절]을 지켜왔습니다.<ref>유세비우스 팜필루스, 《유세비우스의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1, 262-263쪽</ref>|Philip Schaff et al., "Church History of Eusebius(Book V)," ''Nicene and Post-Nicene Fathers: Series II'', Volume I, Christian Literature Publishing Co., 1890}}서신을 받은 빅토르는 아시아의 교회들을 비정통으로 간주하고 즉시 파문을 통보했다. 그러나 이는 모든 교회의 일치된 의견은 아니었으므로 그는 일부 감독들의 중재를 받아들여 파문을 취소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