골로새: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섬네일 | 250px |골로새 평원 '''골로새'''(골로사이, Colossae, 헬라어: Κολοσσαί)는 고대 로마 제국|... |
편집 요약 없음 |
||
| 8번째 줄: | 8번째 줄: | ||
골로새라는 지명은 '거대하다'라는 의미의 헬라어 '콜로소스(κολοσσός)'에서 유래했다.<ref>"2857. Κολοσσαί, ῶν, αἱ", 《헬라어사전》, 로고스, 1999, 392쪽, "고명. κολοσσός '거대한'에서 유래: 소아시아의 한 도시 '골로새'."</ref> | 골로새라는 지명은 '거대하다'라는 의미의 헬라어 '콜로소스(κολοσσός)'에서 유래했다.<ref>"2857. Κολοσσαί, ῶν, αἱ", 《헬라어사전》, 로고스, 1999, 392쪽, "고명. κολοσσός '거대한'에서 유래: 소아시아의 한 도시 '골로새'."</ref> | ||
골로새는 리쿠스(Lycus) 계곡<ref>리쿠스강은 골로새 동쪽 마드란산(Mt. Madran)에서 발원하여, 튀르키예 남서부를 가로지르며 서쪽 에게해로 흐르는 멘데레스강(Menderes river)의 지류다.</ref> 중에 위치했고, [[라오디게아 (라오디케이아)|라오디게아]]에서 18㎞, 히에라볼리(Hierapolis)에서 21㎞ 떨어져 있었다. '코나이(Khonai)'로 불리는 지역의 북서쪽 5㎞ 지점에 골로새의 유적지가 남아 있다.<ref>"골로새", | 골로새는 리쿠스(Lycus) 계곡<ref>리쿠스강은 골로새 동쪽 마드란산(Mt. Madran)에서 발원하여, 튀르키예 남서부를 가로지르며 서쪽 에게해로 흐르는 멘데레스강(Menderes river)의 지류다.</ref> 중에 위치했고, [[라오디게아 (라오디케이아)|라오디게아]]에서 18㎞, 히에라볼리(Hierapolis)에서 21㎞ 떨어져 있었다. '코나이(Khonai)'로 불리는 지역의 북서쪽 5㎞ 지점에 골로새의 유적지가 남아 있다.<ref>이성호, "골로새",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98쪽, "골로새의 고지는 지금 코나이(Khonai)로 불리우고 있는 성읍의 북서 5km에 있다."</ref> | ||
=== 역사 === | === 역사 === | ||
골로새는 기원전 5세기경 [[메대 바사 (페르시아)#바사|바사]]의 크세르크세스 1세 때 크게 번영했고,<ref>"골로새", 《베스트 성경사전》, 성서원, 2000, 55쪽, "교통과 무역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골로새는 크세르크세스(B.C. 485-464년) 때에는 매우 번성한 도시였다."</ref> 이후 헬라의 지배를 받았다. 안티오코스 3세가 [[바벨론]]과 메소포타미아의 [[유대인]] 2000여 명을 브루기아주로 이주시킨 뒤로 많은 유대인들이 골로새에 자리 잡고 점차 세력을 형성했다.<ref>"골로새", | 골로새는 기원전 5세기경 [[메대 바사 (페르시아)#바사|바사]]의 크세르크세스 1세 때 크게 번영했고,<ref>"골로새", 《베스트 성경사전》, 성서원, 2000, 55쪽, "교통과 무역의 요충지였기 때문에 골로새는 크세르크세스(B.C. 485-464년) 때에는 매우 번성한 도시였다."</ref> 이후 헬라의 지배를 받았다. 안티오코스 3세가 [[바벨론]]과 메소포타미아의 [[유대인]] 2000여 명을 브루기아주로 이주시킨 뒤로 많은 유대인들이 골로새에 자리 잡고 점차 세력을 형성했다.<ref>이성호, "골로새",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98쪽, "이 성읍에는 유대인도 많이 이주했다. 유대의 역사가 요세푸스가 전하는 바에 의하면, 안티오코스 대왕(Antiochos Ⅲ 大王在位 전 223–187 마게도냐계의 시리아왕)은, 약 2000명의 유대인 가족을, 바벨론 및 메소보다미아에서 이 지방에 이주시켜, 바울 시대에는, 브루기아 지방에서 가장 세력이 있었다고 전해지고 있다."</ref><br> | ||
골로새는 자매 도시 라오디게아와 히에라볼리가 발전하면서 서서히 위상이 떨어져<ref name=":1">"골로새", 《교회사대사전》제1권, 기독지혜사, 1994, 120쪽, "양모 중심지였고, 목양으로 유명하였다. 그러나 히에라볼리와 특히 라오디게아가 중요한 양모 중심지로 떠올라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되었고, 그 결과 600-700년 사이에 골로새가 굴복하고 말았다."</ref> 사도 바울이 활동하던 시대에는 과거의 영화만 간직한 작은 도시로 남았다.<ref>"골로새", | 골로새는 자매 도시 라오디게아와 히에라볼리가 발전하면서 서서히 위상이 떨어져<ref name=":1">"골로새", 《교회사대사전》제1권, 기독지혜사, 1994, 120쪽, "양모 중심지였고, 목양으로 유명하였다. 그러나 히에라볼리와 특히 라오디게아가 중요한 양모 중심지로 떠올라 치열한 경쟁을 벌이게 되었고, 그 결과 600-700년 사이에 골로새가 굴복하고 말았다."</ref> 사도 바울이 활동하던 시대에는 과거의 영화만 간직한 작은 도시로 남았다.<ref>이성호, "골로새",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97쪽, "하류에 라오디게아 히에라볼리가 발흥(勃興)하여, 바울 시대에는 인구 감소되고, 옛 번영했던 모습을 남기고 있는 데 지나지 않았다."</ref> [[가이사#네로|네로]] 시대(A.D. 54–68)에 대지진이 일어나 골로새 지역은 거의 폐허가 되었으며<ref>"골로새", 《베스트 성경사전》, 성서원, 2000, 55쪽, "탐사에 의하면, 네로 시대(A.D. 54-68년)에 이 지역(루커스 평야)에 대지진이 일어나 거의 폐허화된 흔적이 엿보인다."</ref> 기원후 7–8세기경 이슬람 제국에 의해 정복됐다.<ref>"골로새", 《아가페 성경사전》, 아가페서원, 1996, 121쪽, "7, 8세기에는 사라센에 의해 정복 당하였다."</ref> | ||
===문화=== | ===문화=== | ||
골로새는 에베소에서 [[유브라데 (유프라테스)|유브라데]]에 이르는 주요 무역항로상에서, 라오디게아 및 히에라볼리와 더불어 동서를 잇는 교통의 요지였다.<ref>"골로새", | 골로새는 에베소에서 [[유브라데 (유프라테스)|유브라데]]에 이르는 주요 무역항로상에서, 라오디게아 및 히에라볼리와 더불어 동서를 잇는 교통의 요지였다.<ref>이성호, "골로새",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97쪽, "라오디게아 및 히에라볼리와 더불어, 소아시아에서 시리아(수리아)로 가는, 동서교통의 요지로서 번영했었는데"</ref> 목양과 양모 산업으로도 유명했으며<ref name=":1" /> 동서 문물과 사상의 교류지로서 일찍부터 갖가지 철학 및 종교 사상이 유행했다. | ||
==성경 속 골로새== | ==성경 속 골로새==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