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율법: 두 판 사이의 차이

 
24번째 줄: 24번째 줄:
그리스도의 율법은 신약시대 예수님에 의해 새롭게 세워진 율법을 말한다. 새 언약이라고도 한다. 구약 모세의 율법은 단순히 폐지된 것이 아니라 변역(變易, 고쳐져 바뀜)되고 완전하게 되었다.
그리스도의 율법은 신약시대 예수님에 의해 새롭게 세워진 율법을 말한다. 새 언약이라고도 한다. 구약 모세의 율법은 단순히 폐지된 것이 아니라 변역(變易, 고쳐져 바뀜)되고 완전하게 되었다.
{{인용문5 |내용= 제사 직분이 변역한즉 '''율법'''도 반드시 '''변역'''하리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 히브리서 7:12]}}{{인용문5 |내용=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나 폐하러 온 줄로 생각지 말라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완전케''' 하려 함이로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5장 마태복음 5:17]}}
{{인용문5 |내용= 제사 직분이 변역한즉 '''율법'''도 반드시 '''변역'''하리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7장 히브리서 7:12]}}{{인용문5 |내용= 내가 율법이나 선지자나 폐하러 온 줄로 생각지 말라 폐하러 온 것이 아니요 '''완전케''' 하려 함이로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5장 마태복음 5:17]}}
[[파일:유월절 최후의 만찬(캡쳐본).png |섬네일 | 300px |<최후의 만찬>으로 알려진 새 언약 유월절은 그리스도 율법의 핵심 진리이다.]]
[[파일:최후의 만찬 유월절.jpg |섬네일 | 300px |<최후의 만찬>으로 알려진 새 언약 유월절은 그리스도 율법의 핵심 진리이다.]]
구약 율법이 없어지지 않고 바뀌었다면, 그 바뀐 율법이 신약시대에 존재해야 한다. 그것이 그리스도의 율법이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자신이 모세 때에 세워진 구약 율법 아래에는 있지 않지만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에는 있다고 증거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9장 |제목=고린도전서 9:20-21 |저널= |인용문=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는 내가 '''율법[모세의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나 율법 아래 있는 자 같이 된 것은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율법 없는 자에게는 내가 하나님께는 율법 없는 자가 아니요 도리어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 있는 자나 }}</ref> [[사도]]들과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의 가르침과 본을 따라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켰다. 구약의 [[할례]]는 신약의 [[침례 (세례)|침례]]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2장 |제목=골로새서 2:11-12 |저널= |인용문=또 그 안에서 너희가 손으로 하지 아니한 할례를 받았으니 곧 육적 몸을 벗는 것이요 그리스도의 할례니라 너희가 침례로 그리스도와 함께 장사한 바 되고 }}</ref> 짐승으로 제사하던 옛 언약의 [[안식일]]과 [[하나님의 절기|절기]]는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새 언약의 안식일과 절기로 바뀐 것이다.<ref name="신령과 진정">{{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4장 |제목=요한복음 4:23-24 |저널= |인용문=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13 |저널= |인용문=새 언약이라 말씀하셨으매 첫 것은 낡아지게 하신 것이니 낡아지고 쇠하는 것은 없어져가는 것이니라 }}</ref> <br>
구약 율법이 없어지지 않고 바뀌었다면, 그 바뀐 율법이 신약시대에 존재해야 한다. 그것이 그리스도의 율법이다. 그래서 사도 바울은 자신이 모세 때에 세워진 구약 율법 아래에는 있지 않지만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에는 있다고 증거하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9장 |제목=고린도전서 9:20-21 |저널= |인용문=율법 아래 있는 자들에게는 내가 '''율법[모세의 율법]''' 아래 있지 아니하나 율법 아래 있는 자 같이 된 것은 율법 아래 있는 자들을 얻고자 함이요 율법 없는 자에게는 내가 하나님께는 율법 없는 자가 아니요 도리어 '''그리스도의 율법''' 아래 있는 자나 }}</ref> [[사도]]들과 초대교회 성도들은 예수님의 가르침과 본을 따라 그리스도의 율법을 지켰다. 구약의 [[할례]]는 신약의 [[침례 (세례)|침례]]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골로새서#2장 |제목=골로새서 2:11-12 |저널= |인용문=또 그 안에서 너희가 손으로 하지 아니한 할례를 받았으니 곧 육적 몸을 벗는 것이요 그리스도의 할례니라 너희가 침례로 그리스도와 함께 장사한 바 되고 }}</ref> 짐승으로 제사하던 옛 언약의 [[안식일]]과 [[하나님의 절기|절기]]는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하는 새 언약의 안식일과 절기로 바뀐 것이다.<ref name="신령과 진정">{{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4장 |제목=요한복음 4:23-24 |저널= |인용문=아버지께 참으로 예배하는 자들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 때가 오나니 곧 이때라 아버지께서는 이렇게 자기에게 예배하는 자들을 찾으시느니라 하나님은 영이시니 예배하는 자가 신령과 진정으로 예배할지니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13 |저널= |인용문=새 언약이라 말씀하셨으매 첫 것은 낡아지게 하신 것이니 낡아지고 쇠하는 것은 없어져가는 것이니라 }}</ref> <br>
[[이사야]] 선지자는 장차 예수님이 마가의 다락방에서 유월절 지키시면서 새 언약(새 율법)을 세우실 것에 대해 율법이 [[시온]]에서 나온다고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20 |저널= |인용문=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장 |제목=이사야 2:3 |저널= |인용문='''율법'''이 '''시온'''에서부터 나올 것이요 여호와의 말씀이 예루살렘에서부터 나올 것임이니라 }}</ref> 여기서 말하는 시온은 육신적 이스라엘 백성들이 사는 [[예루살렘]]이 아닌, '절기 지키는 곳'을 말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3장 |제목=이사야 33:20 |저널= |인용문=우리의 절기 지키는 시온성을 보라 }}</ref> 새 언약의 절기, 곧 그리스도의 율법이 있는 곳이 시온이며 그곳에 하나님이 함께하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3장 |제목=이사야 33:20-21 |저널= |인용문=우리의 절기 지키는 시온성을 보라 ... 여호와께서는 거기서 위엄 중에 우리와 함께 계시리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32장 |제목=시편 132:13-14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시온'''을 택하시고 자기 거처를 삼고자 하여 이르시기를 이는 나의 영원히 쉴 곳이라 내가 여기 거할 것은 이를 원하였음이로다 }}</ref> <br>
[[이사야]] 선지자는 장차 예수님이 마가의 다락방에서 유월절 지키시면서 새 언약(새 율법)을 세우실 것에 대해 율법이 [[시온]]에서 나온다고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20 |저널= |인용문=저녁 먹은 후에 잔도 이와 같이 하여 가라사대 이 잔은 내 피로 세우는 '''새 언약'''이니 곧 너희를 위하여 붓는 것이라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2장 |제목=이사야 2:3 |저널= |인용문='''율법'''이 '''시온'''에서부터 나올 것이요 여호와의 말씀이 예루살렘에서부터 나올 것임이니라 }}</ref> 여기서 말하는 시온은 육신적 이스라엘 백성들이 사는 [[예루살렘]]이 아닌, '절기 지키는 곳'을 말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3장 |제목=이사야 33:20 |저널= |인용문=우리의 절기 지키는 시온성을 보라 }}</ref> 새 언약의 절기, 곧 그리스도의 율법이 있는 곳이 시온이며 그곳에 하나님이 함께하신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3장 |제목=이사야 33:20-21 |저널= |인용문=우리의 절기 지키는 시온성을 보라 ... 여호와께서는 거기서 위엄 중에 우리와 함께 계시리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32장 |제목=시편 132:13-14 |저널= |인용문=여호와께서 '''시온'''을 택하시고 자기 거처를 삼고자 하여 이르시기를 이는 나의 영원히 쉴 곳이라 내가 여기 거할 것은 이를 원하였음이로다 }}</ref> <br>