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절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21번째 줄: | 21번째 줄: | ||
===유월절=== | ===유월절=== | ||
[[파일:세족예식.jpg |섬네일 | 200px |세족예식을 행하시는 예수님]] | [[파일:세족예식.jpg |섬네일 | 200px |세족예식을 행하시는 예수님]] | ||
[[파일: | [[파일:최후의 만찬 유월절.jpg |섬네일 | 350px |제자들과 새 언약 유월절을 지키신 예수님]] | ||
*'''날짜:''' 성력 1월(니산월) 14일 저녁 | *'''날짜:''' 성력 1월(니산월) 14일 저녁 | ||
*'''유래:''' 유월절(逾越節, Passover)은 '재앙이 넘어가는 절기'라는 뜻이다. [[기원전과 기원후|기원전]] 15세기경,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유월절을 지켜 재앙에서 보호받고 해방된 역사에서 유래했다.<ref name=":8">{{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장 |저널= |인용문= }}</ref> 히브리어로는 페사흐(פֶּסַח)로, '지나가다', '뛰어넘다'는 의미의 파사흐(פָּסַח)에서 파생했다. 헬라어로는 파스카(πασχα)다. | *'''유래:''' 유월절(逾越節, Passover)은 '재앙이 넘어가는 절기'라는 뜻이다. [[기원전과 기원후|기원전]] 15세기경, 애굽에서 노예 생활 하던 이스라엘 민족이 유월절을 지켜 재앙에서 보호받고 해방된 역사에서 유래했다.<ref name=":8">{{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장 |저널= |인용문= }}</ref> 히브리어로는 페사흐(פֶּסַח)로, '지나가다', '뛰어넘다'는 의미의 파사흐(פָּסַח)에서 파생했다. 헬라어로는 파스카(πασχα)다.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