엘로힘: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Elohim.jpg|섬네일|250px|히브리어, 엘로힘]] | [[File:Elohim.jpg|섬네일|250px|히브리어, 엘로힘]] | ||
'''엘로힘'''(אֱלֹהִים, Elohim)은 구약 원어성경에서 '하나님'을 가리키는 단어로 가장 많이 쓰인 히브리어이며, 문법적으로 복수 명사다. 직역하면 '하나님들'이라는 뜻으로 '''아버지 하나님'''(God the Father, Heavenly Father)과 '''어머니 하나님'''(God the Mother, Heavenly Mother)을 지칭한다. 엘로힘 하나님은 | '''엘로힘'''(אֱלֹהִים, Elohim)은 구약 원어성경에서 '[[하나님]]'을 가리키는 단어로 가장 많이 쓰인 히브리어이며, 문법적으로 복수 명사다. 직역하면 '하나님들'이라는 뜻으로 '''아버지 하나님'''(God the Father, Heavenly Father)과 '''어머니 하나님'''(God the Mother, Heavenly Mother)을 지칭한다. 엘로힘 하나님은 [[6일 창조|천지창조]]로부터 새 하늘과 새 땅이 펼쳐지는 마지막 때까지 구원 사역을 함께 이끌어가신다. | ||
== 엘로힘의 의미 == | == 엘로힘의 의미 == | ||
엘로힘은 '신(神)', '하나님(God)'을 의미하는 단어 '엘로아흐'에 복수형 어미 '임(ים)'이 결합한 형태로 '신들', '하나님들'을 뜻한다. 하나님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중 [[엘 (히브리어) | 엘]], [[엘로아흐]]는 단수 명사, 엘로힘은 복수 명사다.<br /> | 엘로힘은 '신(神)', '하나님(God)'을 의미하는 단어 '엘로아흐'에 복수형 어미 '임(ים)'이 결합한 형태로 '신들', '하나님들'을 뜻한다. 하나님을 의미하는 히브리어 단어 중 [[엘 (히브리어) |엘]], [[엘로아흐]]는 단수 명사, 엘로힘은 복수 명사다.<br /> | ||
하나님을 뜻하는 이 세 단어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엘로힘은 구약성경 전반에 걸쳐 2500회가량 기록되었다. 엘로힘은 성경 첫 장에서부터 등장한다. [[창세기]] 1장 1절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라는 구절에서 '하나님'은 히브리어로 '엘로힘'이라 표기되어 있다. | 하나님을 뜻하는 이 세 단어 중에서도 가장 보편적으로 사용된 엘로힘은 [[구약성경]] 전반에 걸쳐 2500회가량 기록되었다. 엘로힘은 성경 첫 장에서부터 등장한다. [[창세기]] 1장 1절 "태초에 하나님이 천지를 창조하시니라"라는 구절에서 '하나님'은 히브리어로 '엘로힘'이라 표기되어 있다. | ||
{{인용문5 |내용= בְּרֵאשִׁ֖ית בָּרָ֣א אֱלֹהִ֑ים אֵ֥ת הַשָּׁמַ֖יִם וְאֵ֥ת הָאָֽרֶץ׃ |출처= [https://biblehub.com/interlinear/genesis/1.htm 히브리어 성경 창세기 1:1]}} | {{인용문5 |내용= בְּרֵאשִׁ֖ית בָּרָ֣א אֱלֹהִ֑ים אֵ֥ת הַשָּׁמַ֖יִם וְאֵ֥ת הָאָֽרֶץ׃ |출처= [https://biblehub.com/interlinear/genesis/1.htm 히브리어 성경 창세기 1:1]}}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19번째 줄: | 19번째 줄: | ||
=='우리'라 하신 엘로힘 하나님== | =='우리'라 하신 엘로힘 하나님== | ||
[[성경]]은 하나님을 복수형 명사만 아니라, '우리'라는 1인칭 복수 대명사로도 기록했다. | |||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6]}}{{인용문5 |내용=Then God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in '''our''' likeness" |출처=[http://www.holybible.or.kr/B_NIV/cgi/bibleftxt.php?VR=NIV&VL=1&CN=1&CV=99 Genesis 1:26]}} |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가라사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6]}}{{인용문5 |내용=Then God said, "Let '''us''' make man in '''our''' image, in '''our''' likeness" |출처=[http://www.holybible.or.kr/B_NIV/cgi/bibleftxt.php?VR=NIV&VL=1&CN=1&CV=99 Genesis 1:26]}} | ||
하나님이 한 분으로 존재한다면 '우리'가 아닌 '나'라고 해야 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나의 형상을 따라 나의 모양대로 내가 사람을 만들고"라고 하지 않으시고 반복해서 '우리'라고 표현했다. 하나님의 복수형 표현은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며 오직 한 분이라고 믿어온 기독교인들에게 의문을 던진다. | 하나님이 한 분으로 존재한다면 '우리'가 아닌 '나'라고 해야 한다. 그러나 하나님은 "나의 형상을 따라 나의 모양대로 내가 사람을 만들고"라고 하지 않으시고 반복해서 '우리'라고 표현했다. 하나님의 복수형 표현은 하나님을 '아버지'라 부르며 오직 한 분이라고 믿어온 기독교인들에게 의문을 던진다. | ||
{{인용문 |"창세기 1장의 절정과 그 신비의 핵심은 히브리어로 인간 혹은 인류를 뜻하는 '아담'의 창조에 관한 묘사에 있다 ... 하나님은 "인간이 있으라" 하고 말하지는 않는다. 그 대신 하나님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창세기 1:26)"고 말한다 ... 이 대목은 오랫동안 성서를 해석하는 사람들에게 수수께끼가 되어왔다." | | {{인용문 |"창세기 1장의 절정과 그 신비의 핵심은 히브리어로 인간 혹은 인류를 뜻하는 '아담'의 창조에 관한 묘사에 있다 ... 하나님은 "인간이 있으라" 하고 말하지는 않는다. 그 대신 하나님은 "우리의 형상을 따라 우리의 모양대로 우리가 사람을 만들자(창세기 1:26)"고 말한다 ... 이 대목은 오랫동안 성서를 해석하는 사람들에게 수수께끼가 되어왔다." |리더스 다이제스트, 《성서 속의 불가사의》, 동아출판사, 1991, 21쪽}} | ||
이에 대한 신학자들의 의견은 분분하다. '우리'라는 표현이 하나님 자신과 | 이에 대한 신학자들의 의견은 분분하다. '우리'라는 표현이 하나님 자신과 [[천사]]들을 의미한다는 주장, 삼위일체를 의미한다는 주장, 혹은 하나님의 위엄을 나타내기 위해 복수형을 사용한다는 주장도 있고, 성경을 기록할 당시 주변 다신교 민족의 영향을 받았기 때문이라는 주장도 있다.<br/>만일 '우리'가 하나님과 천사들을 의미한다면 천사의 피조물인 사람은 천사들을 [[창조주]]로 섬겨야 할 것이다. 그러나 성경은 천사들을 가리켜 구원받을 성도들을 섬기는 영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1장 |제목=히브리서 1:14 |저널= |인용문= 모든 천사들은 부리는 영으로서 구원 얻을 후사들을 위하여 섬기라고 보내심이 아니뇨}}</ref> 성도들의 판단을 받을 대상으로<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6장 |제목=고린도전서 6:3 |저널= |인용문= 우리가 천사를 판단할 것을 너희가 알지 못하느냐}}</ref> 설명하고 있다. 또한 [[성삼위일체]]는 [[성부 (여호와)|성부]], [[성자 (예수)|성자]], [[성령]]이 한 분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뜻으로, 본질적으로 복수(複數)가 될 수 없다. [[십계명]]의 [[첫째 계명|첫 번째 계명]]이 '나 외에 다른 신을 섬기지 말라'인 것을 감안할 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0장 |제목=출애굽기 20:3 |저널= |인용문= 너는 나 외에는 다른 신들을 네게 있게 말지니라}}</ref> 다신교 민족의 영향을 받아 하나님을 복수형으로 표기했다는 주장도 비논리적이다. | ||
== 엘로힘은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 == | == 엘로힘은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 == | ||
| 29번째 줄: | 29번째 줄: | ||
창세기 1장 26절의 '엘로힘'과 '우리'라는 복수형 표현이 불러오는 의문은 이어지는 27절에서 명쾌하게 풀린다. | 창세기 1장 26절의 '엘로힘'과 '우리'라는 복수형 표현이 불러오는 의문은 이어지는 27절에서 명쾌하게 풀린다. | ||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7]}} | {{인용문5 |내용=하나님이 자기 형상 곧 '''하나님의 형상대로''' 사람을 창조하시되 '''남자와 여자를 창조'''하시고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창세기 1:27]}} | ||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된 사람은 남자와 여자다. 피조물인 사람의 형상을 통해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은 '두 분'이며, 각각 남성과 여성의 형상을 지니셨다는 사실이다. 복사본을 보면 원본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을 원본 삼아 만든 사람이 남자와 여자라면 하나님도 남성의 형상과 여성의 형상으로 존재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창조된 사람은 남자와 여자다. 피조물인 사람의 형상을 통해 두 가지 사실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은 '두 분'이며, 각각 남성과 여성의 형상을 지니셨다는 사실이다. 복사본을 보면 원본을 알 수 있다. 하나님을 원본 삼아 만든 사람이 남자와 여자라면 하나님도 남성의 형상과 여성의 형상으로 존재한다는 결론이 나온다. [[예수 그리스도|예수님]]은 남성 형상의 하나님에 대해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라고 알려주셨다. | ||
{{인용문5 |내용=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 마태복음 6:9]}} | {{인용문5 |내용= 너희는 이렇게 기도하라 하늘에 계신 '''우리 아버지'''여 |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6장 마태복음 6:9]}} | ||
아버지라는 단어의 뜻은 '자기를 낳아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혹은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자녀가 있는 사람만이 아버지라는 호칭으로 불린다. 그런데 실상 자녀를 잉태하고 출산하는 역할은 어머니가 한다. 어머니가 있어야 자녀가 존재하고, 아버지라는 호칭도 사용할 수 있다. 아버지가 있다면 어머니도 있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예수님께서 하나님을 아버지라는 호칭으로 부르게 하신 이면에는 어머니 하나님이 계신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 아버지라는 단어의 뜻은 '자기를 낳아준 남자를 이르거나 부르는 말' 혹은 '자녀를 둔 남자를 자식에 대한 관계로 이르거나 부르는 말'로, 자녀가 있는 사람만이 아버지라는 호칭으로 불린다. 그런데 실상 자녀를 잉태하고 출산하는 역할은 어머니가 한다. 어머니가 있어야 자녀가 존재하고, 아버지라는 호칭도 사용할 수 있다. 아버지가 있다면 어머니도 있는 것은 당연한 이치다. 예수님께서 하나님을 아버지라는 호칭으로 부르게 하신 이면에는 어머니 하나님이 계신다는 전제가 깔려 있다. | ||
| 36번째 줄: | 36번째 줄: | ||
== 아담과 하와에 투영된 엘로힘 하나님 == | == 아담과 하와에 투영된 엘로힘 하나님 == | ||
아담과 하와는 특별히 창조주 하나님의 | 아담과 하와는 특별히 창조주 [[하나님의 형상]]과 모양대로 창조되었고, 지구상의 모든 생물을 다스리는 통치자로 세워졌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 |제목=창세기 1:28 |저널= |인용문=하나님이 그들에게 복을 주시며 그들에게 이르시되 생육하고 번성하여 땅에 충만하라, 땅을 정복하라, 바다의 고기와 공중의 새와 땅에 움직이는 모든 생물을 다스리라 하시니라 }}</ref> 여기에는 인류의 구원자를 알려주시려는 하나님의 뜻이 담겨 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4장 |제목=요한계시록 4:11 |저널= |인용문=우리 주 하나님이여 영광과 존귀와 능력을 받으시는 것이 합당하오니 주께서 만물을 지으신지라 만물이 주의 뜻대로 있었고 또 지으심을 받았나이다 }}</ref><br> | ||
[[아담]](Adam)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첫 사람이다. 성경은 첫 사람 아담과 마지막 아담이 있으며, 마지막 아담은 | [[아담]](Adam)은 하나님의 형상대로 창조된 첫 사람이다. 성경은 첫 사람 아담과 마지막 아담이 있으며, 마지막 아담은 [[그리스도]]라는 사실을 알려준다. | ||
{{인용문5 |내용=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이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B%A1%9C%EB%A7%88%EC%84%9C#5%EC%9E%A5 로마서 5:14]}} | {{인용문5 |내용= 아담은 오실 자의 표상이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B%A1%9C%EB%A7%88%EC%84%9C#5%EC%9E%A5 로마서 5:14]}} | ||
{{인용문5 |내용= 첫 사람 아담은 산 영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주는 영이 되었나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A%B3%A0%EB%A6%B0%EB%8F%84%EC%A0%84%EC%84%9C#15%EC%9E%A5 고린도전서 15:44-45]}} | {{인용문5 |내용= 첫 사람 아담은 산 영이 되었다 함과 같이 '''마지막 아담'''은 살려주는 영이 되었나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A%B3%A0%EB%A6%B0%EB%8F%84%EC%A0%84%EC%84%9C#15%EC%9E%A5 고린도전서 15:44-45]}} | ||
아담이 그리스도 즉,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듯 그의 아내인 [[하와 (이브)|하와]](Hawwāh, Eve)는 어머니 하나님을 표상한다. 하와라는 이름의 뜻은 '생명'으로, 하와는 단지 세 아들, 가인, 아벨, 셋의 어머니가 아닌 '모든 산 자의 어머니'라 칭함 받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20 |저널= |인용문=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ref> 이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마지막 하와로 비유된 어머니 하나님으로부터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될 예언이다. <br> | 아담이 그리스도 즉, 아버지 하나님을 표상하듯 그의 아내인 [[하와 (이브)|하와]](Hawwāh, Eve)는 어머니 하나님을 표상한다. 하와라는 이름의 뜻은 '생명'으로, 하와는 단지 세 아들, [[가인과 아벨|가인, 아벨]], 셋의 어머니가 아닌 '모든 산 자의 어머니'라 칭함 받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20 |저널= |인용문= 아담이 그 아내를 하와라 이름하였으니 그는 모든 산 자의 어미가 됨이더라}}</ref> 이는 하나님의 자녀들이 마지막 하와로 비유된 어머니 하나님으로부터 영원한 생명을 얻게 될 예언이다. <br> | ||
성경은 하나님을 한 분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2장 |제목=디모데전서 2:5 |저널= |인용문=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6장 |제목=디모데전서 6:15 |저널= |인용문= 하나님은 복되시고 홀로 한 분이신 능하신 자이며}}</ref> 그 이유도 아담과 하와를 통해 알 수 있다. 뱀의 유혹에 넘어가 선악과를 먼저 먹은 사람은 하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6 |저널= |인용문= 여자가 그 실과를 따 먹고 자기와 함께한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ref> 그러나 성경은 '아담의 범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4 |저널= |인용문=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 위에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ref> 또는 '한 사람의 범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5 |저널= |인용문=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ref>라 기록한다. 아담과 하와를 한 몸으로 여긴다는 뜻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제목=창세기 2:22-24 |저널= |인용문=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ref> 두 사람을 한 사람으로 여기는 이유는 하와가 아담의 일부(갈빗대)로 창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담과 하와는 개체이나 아담 한 사람으로도 표현되고, 아담과 하와 두 사람이 한 일을 아담 한 사람이 한 것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하나님의 모양대로 창조된 복사본과 같다. 복사본인 아담, 하와가 이러하다면 원본이신 하나님도 마찬가지다. 엘로힘 하나님 역시 아버지 하나님, 어머니 하나님으로 각각 존재하시지만 한 분 하나님으로 표현할 수 있고, 두 분 하나님께서 함께하신 일도 얼마든지 아버지 하나님 홀로 하셨다고 말할 수 있다. | 성경은 하나님을 한 분으로 표현하기도 하는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2장 |제목=디모데전서 2:5 |저널= |인용문= 하나님은 한 분이시요}}</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디모데전서#6장 |제목=디모데전서 6:15 |저널= |인용문= 하나님은 복되시고 홀로 한 분이신 능하신 자이며}}</ref> 그 이유도 아담과 하와를 통해 알 수 있다. 뱀의 유혹에 넘어가 선악과를 먼저 먹은 사람은 하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장 |제목=창세기 3:6 |저널= |인용문= 여자가 그 실과를 따 먹고 자기와 함께한 남편에게도 주매 그도 먹은지라}}</ref> 그러나 성경은 '아담의 범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4 |저널= |인용문= 아담으로부터 모세까지 아담의 범죄와 같은 죄를 짓지 아니한 자들 위에도 사망이 왕 노릇 하였나니}}</ref> 또는 '한 사람의 범죄'<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로마서#5장 |제목=로마서 5:15 |저널= |인용문= 한 사람의 범죄를 인하여 많은 사람이 죽었은즉}}</ref>라 기록한다. 아담과 하와를 한 몸으로 여긴다는 뜻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장 |제목=창세기 2:22-24 |저널= |인용문= 남자가 부모를 떠나 그 아내와 연합하여 둘이 한 몸을 이룰지로다}}</ref> 두 사람을 한 사람으로 여기는 이유는 하와가 아담의 일부(갈빗대)로 창조되었기 때문이다. 따라서 아담과 하와는 개체이나 아담 한 사람으로도 표현되고, 아담과 하와 두 사람이 한 일을 아담 한 사람이 한 것으로 언급되기도 한다. 아담과 하와는 하나님의 형상대로, 하나님의 모양대로 창조된 복사본과 같다. 복사본인 아담, 하와가 이러하다면 원본이신 하나님도 마찬가지다. 엘로힘 하나님 역시 아버지 하나님, 어머니 하나님으로 각각 존재하시지만 한 분 하나님으로 표현할 수 있고, 두 분 하나님께서 함께하신 일도 얼마든지 아버지 하나님 홀로 하셨다고 말할 수 있다. | ||
== 엘로힘 하나님과 생명수 == | == 엘로힘 하나님과 생명수 == | ||
엘로힘 하나님은 사람을 창조할 때뿐 아니라 오만한 인간들이 바벨탑 쌓는 일을 중지시키실 때 "우리가 내려가서"라고 하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1장 |제목=창세기 11:1-9 |저널= |인용문= 자, 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케 하여 그들로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자}}</ref> 선지자 | 엘로힘 하나님은 사람을 창조할 때뿐 아니라 오만한 인간들이 바벨탑 쌓는 일을 중지시키실 때 "우리가 내려가서"라고 하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1장 |제목=창세기 11:1-9 |저널= |인용문= 자, 우리가 내려가서 거기서 그들의 언어를 혼잡케 하여 그들로 서로 알아듣지 못하게 하자}}</ref> 선지자 [[이사야]]를 부르실 때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라고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6장 |제목=이사야 6:8 |저널= |인용문= 내가 누구를 보내며 누가 우리를 위하여 갈꼬}}</ref> 늘 함께 역사하신 엘로힘 하나님은 마지막 때 [[성령과 신부]]로 이 땅에 오셔서 메마른 세상에<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아모스#8장 |제목=아모스 8:11 |저널= |인용문= 내가 기근을 땅에 보내리니 양식이 없어 주림이 아니며 물이 없어 갈함이 아니요 여호와의 말씀을 듣지 못한 기갈이라}}</ref> 단비와도 같은 [[생명수]]를 주신다. | ||
{{인용문5 |내용=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9A%94%ED%95%9C%EA%B3%84%EC%8B%9C%EB%A1%9D#22%EC%9E%A5 요한계시록 22:17]}} | {{인용문5 |내용= '''성령과 신부'''가 말씀하시기를 오라 하시는도다 듣는 자도 오라 할 것이요 목마른 자도 올 것이요 또 원하는 자는 값없이 '''생명수'''를 받으라 하시더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EA%B0%9C%EC%97%AD%ED%95%9C%EA%B8%80%ED%8C%90/%EC%9A%94%ED%95%9C%EA%B3%84%EC%8B%9C%EB%A1%9D#22%EC%9E%A5 요한계시록 22:17]}} | ||
[[성삼위일체]]의 개념으로 볼 때 성령은 아버지 하나님이다. [[사도 | [[성삼위일체]]의 개념으로 볼 때 성령은 아버지 하나님이다. [[요한 (사도)|요한]]에게 계시를 보여준 천사는 신부 곧 [[어린양의 아내 (신부) |어린양의 아내]]를 보이리라 하고는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여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제목=요한계시록 21:9-10 |저널= |인용문= 이리 오라 내가 신부 곧 어린양의 아내를 네게 보이리라 하고 성령으로 나를 데리고 크고 높은 산으로 올라가 하나님께로부터 하늘에서 내려오는 거룩한 성 예루살렘을 보이니}}</ref> 하늘에 있는 예루살렘은 어머니 하나님을 표상한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갈라디아서#4장 |제목=갈라디아서 4:26 |저널= |인용문= 오직 위에 있는 예루살렘은 자유자니 곧 우리 어머니라}}</ref> 즉 [[생명수]]를 얻기 위해서는 엘로힘이신 [[아버지 하나님과 어머니 하나님|아버지 하나님, 어머니 하나님]]께 나아가야 한다.<ref>{{웹 인용 |url=https://bible.watv.org/truth/index.html |제목=엘로힘 하나님 |웹사이트=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인류의 구원을 위해서 늘 '우리'라는 개념 속에서 하나님의 존재를 알리시고 표현하신 그 하나님께서 육체로 나타나실 때에는 성령과 신부의 모습으로 나타나셔서 우리에게 생명수를 주시고 계십니다. }}</ref> 창조주이신 엘로힘 하나님은 구원 사역의 처음부터 마지막 때까지 함께하신다. | ||
== 같이 보기 == | == 같이 보기 == |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관련 영상== | ==관련 영상== | ||
* 성경의 비밀 엘로힘 하나님 | * '''성경의 비밀 엘로힘 하나님''' | ||
<youtube>6Q7XNKo2swc</youtube> | <youtube>6Q7XNKo2swc</youtub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