ASEZ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4번째 줄: 4번째 줄:
==ASEZ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 개최 배경==
==ASEZ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 개최 배경==
{{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특강(로드리게스 페루 대법관).jpg|정렬=오른쪽섬네일|너비=320px|타이틀=로드리게스 페루 대법관은 대학생들이 환경문제 해결을 선도하는 리더가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특강(로드리게스 페루 대법관).jpg|정렬=오른쪽섬네일|너비=320px|타이틀=로드리게스 페루 대법관은 대학생들이 환경문제 해결을 선도하는 리더가 되어달라고 당부했다.}}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와 재난이 지구촌 곳곳에서 갈수록 빈번해지고 있다. 호주에서는 남동부 해안을 중심으로 산불이 일어나 2019년 9월부터 다음 해 2월까지 6개월간 대한민국 영토(10만 210km²) 보다 넓은 12만 4000km²에 피해를 입혔다.<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200106116800104  |제목=[최악의 호주산불] ①절절 끓는 불바다...서울 100배 태운 재앙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출판사= |날짜=2020. 1. 7.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12338/blog-ce-au-bushfire-wrapup/ |제목=호주 산불은 꺼졌지만, 기후변화는 현재진행형 |웹사이트=Greenpeace Korea |저널= |출판사= |날짜=2020. 3. 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연구팀은 산불이 장기화한 주요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newspenguin.com/news/articleView.html?idxno=4364 |제목=서울대가 밝혀낸 호주 대형 산불의 원인 |웹사이트= |저널=뉴스펭귄 |출판사= |날짜=2021. 4. 6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2021년 1월에는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과 사우디아라비아 남서부 아시르 지역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 눈이 내렸다.<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210118079500009 |제목=사하라 사막에 눈 쌓이고 사우디는 영하 2도...곳곳에서 이상기후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출판사= |날짜=2021. 1. 1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그해 여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리턴에서는 기온이 49.6℃까지 치솟아 산불과 폭염 사망자가 발생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02088.html |제목="기후변화가 북반구를 태우고 있다" |웹사이트= |저널=한겨레 |출판사= |날짜=2021. 7. 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기후변화에 따른 이상기후와 재난이 지구촌 곳곳에서 갈수록 빈번해지고 있다. 호주에서는 남동부 해안을 중심으로 산불이 일어나 2019년 9월부터 다음 해 2월까지 6개월간 대한민국 영토(10만 210km²) 보다 넓은 12만 4000km²에 피해를 입혔다.<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200106116800104  |제목=[최악의 호주산불] ①절절 끓는 불바다...서울 100배 태운 재앙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출판사= |날짜=2020. 1. 7.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ref>{{웹 인용 |url=https://www.greenpeace.org/korea/update/12338/blog-ce-au-bushfire-wrapup/ |제목=호주 산불은 꺼졌지만, 기후변화는 현재진행형 |웹사이트=Greenpeace Korea |저널= |출판사= |날짜=2020. 3. 9.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서울대학교 환경대학원 연구팀은 산불이 장기화한 주요 원인으로 기후변화를 지목했다.<ref>Dong Yeong Chang et al., [https://iopscience.iop.org/article/10.1088/1748-9326/abecfe "Direct radiative forcing of biomass burning aerosols from the extensive Australian wildfires in 2019–2020,"] <i>Environmental Research Letters</i>, Vol. 16, no. 4, IOP Publishing, 2021.</ref> 2021년 1월에는 아프리카 사하라 사막과 사우디아라비아 남서부 아시르 지역 기온이 영하로 떨어져 눈이 내렸다.<ref>{{웹 인용 |url=https://www.yna.co.kr/view/AKR20210118079500009 |제목=사하라 사막에 눈 쌓이고 사우디는 영하 2도...곳곳에서 이상기후 |웹사이트= |저널=연합뉴스 |출판사= |날짜=2021. 1. 1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그해 여름, 캐나다 브리티시컬럼비아주 리턴에서는 기온이 49.6℃까지 치솟아 산불과 폭염 사망자가 발생했다.<ref>{{웹 인용 |url=https://www.hani.co.kr/arti/international/international_general/1002088.html |제목="기후변화가 북반구를 태우고 있다" |웹사이트= |저널=한겨레 |출판사= |날짜=2021. 7. 4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br>
국제사회는 20세기 중반부터 기후문제 해결을 위해 뜻을 모으고 각국의 협력을 촉구했다. 1972년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4874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국제 환경문제가 처음으로 거론된 후, 1997년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6144 교토의정서], 2016년 [https://unfccc.int/ 파리기후변화협약] 등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뤄지고 있다.<br>
국제사회는 20세기 중반부터 기후문제 해결을 위해 뜻을 모으고 각국의 협력을 촉구했다. 1972년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694874 유엔인간환경회의]에서 국제 환경문제가 처음으로 거론된 후, 1997년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16144 교토의정서], 2016년 [https://unfccc.int/process-and-meetings/the-paris-agreement 파리기후변화협약] 등 기후변화대응에 대한 국제적 합의가 이뤄지고 있다.<br>
[[ASEZ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대학생봉사단)|ASEZ]]는 대학생들이 속한 캠퍼스에서부터 지구촌의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쓴다.<ref>{{웹 인용 |url=https://asez.org/ko/about-asez/ |제목=ASEZ 소개 |웹사이트=ASEZ 홈페이지|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캠퍼스 일대를 정화하는 '그린 캠퍼스 정화활동',<ref>{{웹 인용 |url=https://news.watv.org/internal/content.asp?articleid=i20170105459 |제목=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 자원봉사단 'ASEZ' 그린 캠퍼스 정화활동 |웹사이트= |저널=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홈페이지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세계 환경의 날 캠페인 'The Cost'<ref>{{웹 인용 |url=https://asez.org/ko/worldenvironmentday_ko/ |제목=ASEZ 세계 환경의 날 캠페인 'The Cost' |웹사이트=ASEZ 홈페이지|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등을 진행하며 정부기구·지자체·시민들의 환경운동 참여와 환경인식 개선을 유도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2018년 11월, 기후변화 문제<ref>{{웹 인용 |url=https://www.ajunews.com/view/20181008101355551 |제목=한국 온실가스 감축 의무 더 강화된다...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 채택 |웹사이트= |저널=아주경제 |출판사= |날짜=2018. 10. 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에 대한 대학생들의 시각과 의견을 나누며 [https://sdgs.un.org/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미래세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ASEZ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ref>{{웹 인용 |url=https://shindonga.donga.com/3/all/13/1752139/1 |제목=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설립 55주년 300만 성도 시대 열다 |웹사이트= |저널=신동아 |출판사= |날짜=2019. 6. 7.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ASEZ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봉사단)|ASEZ]]는 대학생들이 속한 캠퍼스에서부터 지구촌의 각종 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힘쓴다.<ref>{{웹 인용 |url=https://asez.org/ko/about-asez/ |제목=ASEZ 소개 |웹사이트=ASEZ 웹사이트|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캠퍼스 일대를 정화하는 '그린 캠퍼스 정화활동',<ref>{{웹 인용 |url=https://news.watv.org/internal/content.asp?articleid=i20170105459 |제목=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 자원봉사단 'ASEZ' 그린 캠퍼스 정화활동 |웹사이트= |저널=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웹사이트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세계 환경의 날 캠페인 'The Cost'<ref>{{웹 인용 |url=https://asez.org/ko/worldenvironmentday_ko/ |제목=ASEZ 세계 환경의 날 캠페인 'The Cost' |웹사이트=ASEZ 웹사이트|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등을 진행하며 정부기구·지자체·시민들의 환경운동 참여와 환경인식 개선을 유도하고 있다. 그런 가운데 2018년 11월, 기후변화 문제<ref>{{웹 인용 |url=https://www.ajunews.com/view/20181008101355551 |제목=한국 온실가스 감축 의무 더 강화된다...지구온난화 1.5℃ 특별보고서 채택 |웹사이트= |저널=아주경제 |출판사= |날짜=2018. 10. 8.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에 대한 대학생들의 시각과 의견을 나누며 [https://sdgs.un.org/goals 지속가능발전목표(SDGs)] 이행을 위한 미래세대의 역할을 모색하고자 'ASEZ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를 개최했다.<ref>{{웹 인용 |url=https://shindonga.donga.com/3/all/13/1752139/1 |제목=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설립 55주년 300만 성도 시대 열다 |웹사이트= |저널=신동아 |출판사= |날짜=2019. 6월호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


==ASEZ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 개요==
==ASEZ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 개요==
{{앨범
{{앨범
|정렬=가운데
|정렬=가운데
|그림1={{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참석자 모습(해외 대학생).jpg|타이틀=토크콘서트에 참석한 각국 해외 대학생들}}
|그림1={{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참석자 모습(해외 대학생).jpg|타이틀=토크콘서트에 참석한 각국 대학생들}}
|그림2={{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기후재난 사례 발표자.jpg|타이틀=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페루에서 온 ASEZ 회원들이 자국에서 발생한 기후재난 사례를 발표했다.}}
|그림2={{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기후재난 사례 발표자.jpg|타이틀=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페루에서 온 ASEZ 회원들이 자국에서 발생한 기후재난 사례를 발표했다.}}
|그림3={{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참석자 모습(2).jpg|타이틀=토크콘서트를 통해 환경문제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한 ASEZ 회원들}}
|그림3={{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참석자 모습(2).jpg|타이틀=토크콘서트를 통해 환경문제 해결방안을 함께 모색한 ASEZ 회원들}}
17번째 줄: 17번째 줄:
토크콘서트에는 한국, 미국, 남아프리카, 필리핀, 페루 등지에서 온 ASEZ 회원 600여 명이 참석해 '기후변화대응과 대학생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논의했다.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총회장 김주철 목사는 개회사에서 "인류애와 뜨거운 열정, 지성을 겸비한 대학생 한 사람 한 사람의 움직임이 지구촌을 아름답고 희망차게 변화시킬 것"이라며 격려했다.<br>
토크콘서트에는 한국, 미국, 남아프리카, 필리핀, 페루 등지에서 온 ASEZ 회원 600여 명이 참석해 '기후변화대응과 대학생의 역할'이라는 주제로 논의했다. [[하나님의교회 세계복음선교협회]] 총회장 김주철 목사는 개회사에서 "인류애와 뜨거운 열정, 지성을 겸비한 대학생 한 사람 한 사람의 움직임이 지구촌을 아름답고 희망차게 변화시킬 것"이라며 격려했다.<br>
{{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참석자 패널 행사 참여(1).jpg|정렬=오른쪽섬네일|너비=320px|타이틀=기후변화대응을 위해 각자의 실천사항을 기록하는 ASEZ 회원들}}
{{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참석자 패널 행사 참여(1).jpg|정렬=오른쪽섬네일|너비=320px|타이틀=기후변화대응을 위해 각자의 실천사항을 기록하는 ASEZ 회원들}}
1부 특강에서 연사로 나선 두베를리 로드리게스 티네오 페루 대법관(전 대법원장)은 대학생들이 실천할 수 있는 기후변화의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짚었다. 그는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인 온실가스를 지목하고, 온실가스의 주범인 화석 연료 사용은 줄이는 한편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법제화해 정부 차원에서 정책을 실행해야 한다며 우루과이·코스타리카 등 남미 국가의 다양한 친환경에너지 사업 사례를 들어 대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였다. 또한 다음 세대에 더 나쁜 환경을 물려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취지라며 '기아해소와 지속가능한 농업', '물과 위생', '기후변화와 대응' 등 17개 조항의 의의와 실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대학생들이 환경문제 해결을 선도하는 리더가 되어달라고 당부했다.<br>
1부 특강에서 연사로 나선 두베를리 로드리게스 티네오 페루 대법관(전 대법원장)은 대학생들이 실천할 수 있는 기후변화의 해결책을 구체적으로 짚었다. 그는 기후변화의 주된 원인으로 온실가스를 지목하고, 온실가스의 주범인 화석 연료 사용은 줄이는 한편 이산화탄소 배출 감소를 법제화해 정부 차원에서 정책을 실행해야 한다며 우루과이·코스타리카 등 남미 국가의 다양한 친환경에너지 사업 사례를 들어 대학생들의 이해도를 높였다. 또한 다음 세대에 더 나쁜 환경을 물려주지 않도록 하는 것이 지속가능발전목표의 취지라며 '기아해소와 지속가능한 농업', '물과 위생', '기후변화와 대응' 등 17개 조항의 의의와 실천 방법을 상세하게 설명하고 대학생들이 환경문제 해결을 선도하는 리더가 되어달라고 당부했다.<br>
2부에서는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페루에서 온 ASEZ 회원들이 가뭄·폭염·폭우 등 자국에서 발생한 기후재난 사례를 발표했다. 이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한 세미나·포럼·캠페인 등 환경인식 개선활동, 환경단체와 연계한 정화활동 등을 소개하며 대학생의 역할을 논의했다.<br>
2부에서는 미국, 남아프리카공화국, 페루에서 온 ASEZ 회원들이 가뭄·폭염·폭우 등 자국에서 발생한 기후재난 사례를 발표했다. 이어 환경문제를 해결하기 위해 진행한 세미나·포럼·캠페인 등 환경인식 개선활동, 환경단체와 연계한 정화활동 등을 소개하며 대학생의 역할을 논의했다.<br>
{{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참석자 패널 행사 참여(2).jpg|정렬=오른쪽섬네일|너비=320px|타이틀=ASEZ 회원들은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에서 기후문제의 심각성을 살피며 해결 방법을 모색했다.}}
{{그림|ASEZ-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참석자 패널 행사 참여(2).jpg|정렬=오른쪽섬네일|너비=320px|타이틀=ASEZ 회원들은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에서 기후문제의 심각성을 살피며 해결 방법을 모색했다.}}
24번째 줄: 24번째 줄:


==참조==
==참조==
*{{웹 인용 |url=https://asez.org/ko/talk-concert/ |제목=2018 ASEZ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 |웹사이트=ASEZ 홈페이지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
*{{웹 인용 |url=https://asez.org/ko/talk-concert/ |제목=2018 ASEZ 기후변화대응 토크콘서트 |웹사이트=ASEZ 웹사이트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
 
==같이 보기==
*[[ASEZ (하나님의 교회 대학생봉사단)]]
*[[지속가능발전목표 (SDGs) 이행 활동]]


==각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