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이사: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문자열 찾아 바꾸기 - "”" 문자열을 """ 문자열로
편집 요약 없음
 
1번째 줄: 1번째 줄:
[[파일:Caesar.jpg |섬네일 | 200px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파일:Caesar.jpg |섬네일 | 200px |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
'''가이사'''(Caesar)는 신약성경에서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칭호로, 헬라어 '카이사르(Καῖσαρ, 라틴어: Caesar)'<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ea78c0d392f944eba3d7177b2137b386 |제목= Καῖσαρ|웹사이트=고대 그리스어 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를 음역한 것이다. 본래는 로마 공화정 최고의 장군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94512&searchKeywordTo=3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Gaius Julius Caesar, B.C. 100–B.C. 44)의 성(姓)이다. 신약성경에는 4명의 가이사가 등장한다.
'''가이사'''(Caesar)는 신약성경에서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칭호로, 헬라어 '카이사르(Καῖσαρ, 라틴어: Caesar)'<ref>{{웹 인용 |url=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ea78c0d392f944eba3d7177b2137b386 |제목= Καῖσαρ|웹사이트=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 |저널= |출판사= |날짜= |연도= |저자= |쪽= |시리즈= |isbn= |인용문= }}</ref>를 음역한 것이다. 본래는 로마 공화정 최고의 장군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94512&searchKeywordTo=3 가이우스 율리우스 카이사르](Gaius Julius Caesar, B.C. 100–B.C. 44)의 성(姓)이다. 신약성경에는 4명의 가이사가 등장한다.


==기원==
==기원==
황제를 지칭하는 '가이사'의 기원이 된 율리우스 카이사르(영어식 독음은 줄리어스 시저)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그는 군인으로서 이룩한 전공(戰功)을 바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고 내전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자신을 종신 독재관(獨裁官, 라틴어: dictator)으로 선언하며 귀족 중심인 로마 공화정을 1인 지배 체제인 로마제국으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얼마 뒤 그가 정적들에게 암살당하자 양자 옥타비아누스가 모든 정치적 유산을 이어받아 로마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다.<br>
황제를 지칭하는 '가이사'의 기원이 된 율리우스 카이사르(영어식 독음은 줄리어스 시저)는 로마 공화정 말기의 정치가이자 장군이다. 그는 군인으로서 이룩한 전공(戰功)을 바탕으로 정치적 영향력을 키웠고 내전을 일으켜 정권을 장악했다. 자신을 종신 독재관(獨裁官, 라틴어: dictator)으로 선언하며 귀족 중심인 로마 공화정을 1인 지배 체제인 로마제국으로 만드는 데 큰 역할을 했다. 얼마 뒤 그가 정적들에게 암살당하자 양자 옥타비아누스가 모든 정치적 유산을 이어받아 로마제국의 초대 황제가 되었다.<br>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사후, 로마의 정치 기구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283 원로원]은 그를 신격화하여 숭배했다.<ref>"[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20240 로마 폐허 속 율리우스 카이사르 신화]", 《포브스 코리아》, 2018년 3월호, "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살해된 다음 날인 3월 16일 카시우스와 브루투스를 주축으로 하는 암살 주모자들은 정적을 깨고 로마 시민들이 모여 있는 포로 로마노의 광장에 나섰다. ... 원로원은 암살범들을 사면해주는 대신에 카이사르의 정책을 고수하며, 카이사르를 추모하는 국장(國葬)을 치르고 카이사르를 신격화한다는 것이었다."</ref> 그의 성(姓)인 카이사르(가이사)는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용어가 되었다. 카이사르(가이사)는 근대에까지 영향을 끼쳐, 황제를 뜻하는 영어의 시저(Caesar), 독일어 '카이저(Kaiser)', 러시아어 '차르(царь)' 등의 어원이 되었다.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사후, 로마의 정치 기구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42283 원로원]은 그를 신격화하여 숭배했다.<ref>"[http://jmagazine.joins.com/forbes/view/320240 로마 폐허 속 율리우스 카이사르 신화]", 《포브스 코리아》, 2018. 3월호, "그[율리우스 카이사르]가 사라진 다음 원로원은 그를 신격화하고는 그가 화장된 곳에 기념 원기둥을 세웠다. 그 후 옥타비아누스는 기원전 42년에 이 원기둥이 세워진 자리에 율리우스 신전을 착공했다."</ref> 그의 성(姓)인 카이사르(가이사)는 로마 황제를 가리키는 용어가 되었다. 카이사르(가이사)는 근대에까지 영향을 끼쳐, 황제를 뜻하는 영어의 시저(Caesar), 독일어 '카이저(Kaiser)', 러시아어 '차르(царь)' 등의 어원이 되었다.


==신약성경 속 가이사==
==신약성경 속 가이사==
10번째 줄: 10번째 줄:
! 이름 !! 재위 !! 언급된 성경 구절
! 이름 !! 재위 !! 언급된 성경 구절
|-
|-
| 아구스도(Augustus,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56801&searchKeywordTo=3 아우구스투스]) || B.C. 27–A.D. 14년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누가복음 2:1]
| 아구스도(Augustus,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56801&searchKeywordTo=3 아우구스투스]) || B.C. 27–A.D. 14년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2:1]
|-
|-
| 디베료(Tiberius,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352336&searchKeywordTo=3 티베리우스]) || A.D. 14–37년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2장 마태복음 22:15–2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2장 마가복음 12:13–1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 누가복음 3: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0장 누가복음 20:19–2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요한복음 19:12–16]
| 디베료(Tiberius,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352336&searchKeywordTo=3 티베리우스]) || A.D. 14–37년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2장 22:15–2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2장 12:13–17],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 3:1],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0장 20:19–26],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19:12–16]
|-
|-
| 글라우디오(Claudius,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D%81%B4%EB%9D%BC%EC%9A%B0%EB%94%94%EC%9A%B0%EC%8A%A4%EC%9D%BC%EC%84%B8 클라우디우스]) || A.D. 41–54년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1장 사도행전 11:2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8장 사도행전 18:2]
| 글라우디오(Claudius,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pageSize=10&searchKeyword=%ED%81%B4%EB%9D%BC%EC%9A%B0%EB%94%94%EC%9A%B0%EC%8A%A4%EC%9D%BC%EC%84%B8 클라우디우스]) || A.D. 41–54년 ||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1장 11:28],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18장 18:2]
|-
|-
|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04590&searchKeywordTo=3 네로](Nero) || A.D. 54–68년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5장 사도행전 25:10–1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4장 빌립보서 4:22]
|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404590&searchKeywordTo=3 네로](Nero) || A.D. 54–68년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5장 25:10–12],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빌립보서#4장 4:22]
|}
|}


===아구스도===
===아구스도===
가이사 아구스도(Caesar Augustus, 아우구스투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로서 로마제국 초대 황제다. 본명은 옥타비아누스(Gaius Octavius Thurinus)였는데, 황제가 된 후 원로원으로부터 '존경할 만한 존엄자'라는 뜻을 지닌 '아구스도(Augustus, 아우구스투스)'라는 호칭을 받았다. 예수님이 탄생하실 즈음 로마제국의 통치자로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7452&cid=50762&categoryId=51387 호적령]을 내려 인구조사를 명했다.
가이사 아구스도(Caesar Augustus, 아우구스투스)는 율리우스 카이사르의 양자로서 로마제국 초대 황제다. 본명은 옥타비아누스(Gaius Octavius Thurinus)였는데, 황제가 된 후 원로원으로부터 '존경할 만한 존엄자'라는 뜻을 지닌 '아구스도(Augustus, 아우구스투스)'라는 호칭을 받았다. [[예수 그리스도|예수님]]이 탄생하실 즈음 로마제국의 통치자로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7452&cid=50762&categoryId=51387 호적령]을 내려 인구조사를 명했다.
{{인용문5 |내용= 이때에 '''가이사 아구스도'''가 영을 내려 천하로 다 호적하라 하였으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누가복음 2:1]}}
{{인용문5 |내용= 이때에 '''가이사 아구스도'''가 영을 내려 천하로 다 호적하라 하였으니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장 누가복음 2:1]}}
===디베료===
===디베료===
[[파일:Emperor Tiberius Denarius - Tribute Penny.jpg |섬네일 |오른쪽| 300px |'''디베료 황제 시대의 데나리온''' <br> 앞면에는 "TI[berivs] CAESAR DIVI AVG[vsti] F[ilivs] AVGVSTS"(Tiberius Caesar Divi Augusti Filius Augustus, 티베리우스 황제, 지존한 신의 지존한 아들), 뒷면에는 "PONTIF[ex] MAXIM[us]"(Pontifex Maximus, 최고의 제사장)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파일:Emperor Tiberius Denarius - Tribute Penny.jpg |섬네일 |오른쪽| 300px |'''디베료 황제 시대의 데나리온''' <br>앞면에는 "TI CAESAR DIVI AVG F AVGVSTS"(티베리우스 황제, 지존한 신의 지존한 아들), 뒷면에는 "PONTIF MAXIM"(최고의 제사장)이라는 글귀가 새겨져 있다.]]
디베료(Tiberius Caesar Augustus, 티베리우스)는 아구스도의 뒤를 이은 로마제국의 두 번째 황제다. 본디오 빌라도가 유대 총독으로 있을 때, 곧 [[침례 요한 (세례 요한)|침례 요한]]이 회개의 침례를 베풀고 예수님이 복음을 전하셨던 시기에 로마를 통치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 |제목=누가복음 3:1–2 |저널= |인용문=디베료 가이사가 위에 있은 지 열다섯 해 ... 하나님의 말씀이 빈 들에서 사가랴의 아들 요한에게 임한지라}}</ref><br>
디베료(Tiberius Caesar Augustus, 티베리우스)는 아구스도의 뒤를 이은 로마제국의 두 번째 황제다. 본디오 빌라도가 유대 총독으로 있을 때, 곧 [[침례 요한 (세례 요한)|침례 요한]]이 회개의 [[침례 (세례)|침례]]를 베풀고 예수님이 [[복음]]을 전하셨던 시기에 로마를 통치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3장 |제목=누가복음 3:1–2 |저널= |인용문=디베료 가이사가 위에 있은 지 열다섯 해 ... 하나님의 말씀이 빈 들에서 사가랴의 아들 요한에게 임한지라}}</ref><br>
[[바리새인]]들이 예수님을 곤란에 빠뜨리기 위해 가이사에게 세를 바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물은 적이 있었다. 예수님은 로마의 화폐였던 데나리온을 보이라고 하며 화폐에 새겨진 얼굴과 글씨가 누구의 것인지를 되물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2장 |제목=마가복음 12:14–17 |저널= |인용문=와서 가로되 선생님이여 우리가 아노니 당신은 참되시고 아무라도 꺼리는 일이 없으시니 이는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않고 오직 참으로써 하나님의 도를 가르치심이니이다 가이사에게 세를 바치는 것이 가하니이까 불가하니이까 우리가 바치리이까 말리이까 한대 예수께서 그 외식함을 아시고 이르시되 어찌하여 나를 시험하느냐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다가 내게 보이라 하시니 가져왔거늘 예수께서 가라사대 이 화상과 이 글이 뉘 것이냐}}</ref>  
[[바리새인]]들이 예수님을 곤란에 빠뜨리기 위해 가이사에게 세를 바치는 것이 옳은 일인지 물은 적이 있었다. 예수님은 로마의 화폐였던 데나리온을 보이라고 하며 화폐에 새겨진 얼굴과 글씨가 누구의 것인지를 되물으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2장 |제목=마가복음 12:14–17 |저널= |인용문=와서 가로되 선생님이여 우리가 아노니 당신은 참되시고 아무라도 꺼리는 일이 없으시니 이는 사람을 외모로 보지 않고 오직 참으로써 하나님의 도를 가르치심이니이다 가이사에게 세를 바치는 것이 가하니이까 불가하니이까 우리가 바치리이까 말리이까 한대 예수께서 그 외식함을 아시고 이르시되 어찌하여 나를 시험하느냐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다가 내게 보이라 하시니 가져왔거늘 예수께서 가라사대 이 화상과 이 글이 뉘 것이냐}}</ref>  
{{인용문5 |내용= 셋돈을 내게 보이라 하시니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왔거늘 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이 형상과 이 글이 뉘 것이냐 가로되 '''가이사'''의 것이니이다 이에 가라사대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2장 마태복음 22:15–21]}}
{{인용문5 |내용= 셋돈을 내게 보이라 하시니 데나리온 하나를 가져왔거늘 예수께서 말씀하시되 이 형상과 이 글이 뉘 것이냐 가로되 '''가이사'''의 것이니이다 이에 가라사대 그런즉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2장 마태복음 22:15–21]}}
당시 데나리온의 전면에는 디베료의 흉상(胸像)과 '아구스도의 아들 디베료 가이사(TI CAESAR DIVI AVG F AVGVSTVS[Caesar Augustus Tiberius, son of the Divine Augustus])'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었다. 예수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라고 지혜롭게 답변하셨다. 그러나 이후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은 "가이사에게 세 바치는 것을 금하며 자칭 왕 그리스도라고 했다"라는 죄목으로 예수님을 고소했고, 총독 빌라도에게 예수님의 사형 판결을 이끌어내기 위한 주장으로 이를 이용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3장 |제목=누가복음 23:1–2 |저널= |인용문=무리가 다 일어나 예수를 빌라도에게 끌고 가서 고소하여 가로되 우리가 이 사람을 보매 우리 백성을 미혹하고 가이사에게 세 바치는 것을 금하며 자칭 왕 그리스도라 하더이다 하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제목=요한복음 19:12–16 |저널= |인용문=이러하므로 빌라도가 예수를 놓으려고 힘썼으나 유대인들이 소리 질러 가로되 이 사람을 놓으면 가이사의 충신이 아니니이다 무릇 자기를 왕이라 하는 자는 가이사를 반역하는 것이니이다 ... 저희가 소리지르되 없이 하소서 없이 하소서 저를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빌라도가 가로되 내가 너희 왕을 십자가에 못 박으랴 대제사장들이 대답하되 가이사 외에는 우리에게 왕이 없나이다 하니 이에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히게 저희에게 넘겨주니라}}</ref><br>
당시 데나리온의 전면에는 디베료의 흉상(胸像)과 '아구스도의 아들 디베료 가이사(TI CAESAR DIVI AVG F AVGVSTVS[Caesar Augustus Tiberius, son of the Divine Augustus])'라는 글씨가 새겨져 있었다. 예수님은 "가이사의 것은 가이사에게, [[하나님]]의 것은 하나님께 바치라"라고 지혜롭게 답변하셨다. 그러나 이후 대제사장과 [[서기관]]들은 "가이사에게 세 바치는 것을 금하며 자칭 왕 [[그리스도]]라고 했다"라는 죄목으로 예수님을 고소했고, 총독 빌라도에게 예수님의 사형 판결을 이끌어내기 위한 주장으로 이를 이용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3장 |제목=누가복음 23:1–2 |저널= |인용문=무리가 다 일어나 예수를 빌라도에게 끌고 가서 고소하여 가로되 우리가 이 사람을 보매 우리 백성을 미혹하고 가이사에게 세 바치는 것을 금하며 자칭 왕 그리스도라 하더이다 하니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9장 |제목=요한복음 19:12–16 |저널= |인용문=이러하므로 빌라도가 예수를 놓으려고 힘썼으나 유대인들이 소리 질러 가로되 이 사람을 놓으면 가이사의 충신이 아니니이다 무릇 자기를 왕이라 하는 자는 가이사를 반역하는 것이니이다 ... 저희가 소리지르되 없이 하소서 없이 하소서 저를 십자가에 못 박게 하소서 빌라도가 가로되 내가 너희 왕을 십자가에 못 박으랴 대제사장들이 대답하되 가이사 외에는 우리에게 왕이 없나이다 하니 이에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히게 저희에게 넘겨주니라}}</ref><br>


===글라우디오===
===글라우디오===
38번째 줄: 38번째 줄:
==같이 보기==
==같이 보기==
* [[예수 그리스도]]
* [[예수 그리스도]]
* [[바울]]
*[[바울]]
* [[바리새인]]
*[[바리새인]]


==각주==
==각주==