하나님의 절기: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31번째 줄: 31번째 줄:


===무교절===
===무교절===
[[파일:Crucifixion .jpg |섬네일 | 350px |무교절의 예언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으로 성취되었다]]  
[[파일:Crucifixion_십자가고난.jpg |섬네일 | 350px |무교절의 예언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으로 성취되었다]]  
*'''날짜:''' 성력 1월 15일
*'''날짜:''' 성력 1월 15일
*'''유래:''' [[야곱]]이 [[요셉]]의 권유에 따라 가족을 데리고 애굽으로 이주한 후, 이스라엘 민족은 크게 번성했다.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의 많은 인구를 위협적으로 느끼고 그들을 노예로 부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제목=출애굽기 1:7-14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은 생육이 중다하고 번식하고 창성하고 심히 강대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서 애굽을 다스리더니 그가 그 신민에게 이르되 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이 우리보다 많고 강하도다 자, 우리가 그들에게 대하여 지혜롭게 하자 두렵건대 그들이 더 많게 되면 전쟁이 일어날 때에 우리 대적과 합하여 우리와 싸우고 이 땅에서 갈까 하노라 하고 감독들을 그들 위에 세우고 그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워 괴롭게 하여 그들로 바로를 위하여 국고성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게 하니라 }}</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약 400년간의 고된 종살이 끝에 하나님이 보내신 선지자 모세의 인도하에 유월절을 지키고 다음 날 애굽에서 해방되었다.<ref name=":8" /><br>성력 1월 15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719&cid=50762&categoryId=51387 라암셋]에서 출발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홍해]] 앞에 도착해 진을 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9-39 |저널= |인용문=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곧 위에 앉은 바로의 장자로부터 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까지와 생축의 처음 난것을 다 치시매 ... 밤에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서 이르되 너희와 이스라엘 자손은 일어나 내 백성 가운데서 떠나서 너희의 말대로 가서 여호와를 섬기며 ... 애굽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다 죽은 자가 되도다 하고 백성을 재촉하여 그 지경에서 속히 보내려 하므로 ... 이스라엘 자손이 라암셋에서 발행하여 숙곳에 이르니 유아 외에 보행하는 장정이 육십만 가량이요 ... 그들이 가지고 나온 발교되지 못한 반죽으로 무교병을 구웠으니 이는 그들이 애굽에서 쫓겨 남으로 지체할 수 없었음이며 아무 양식도 준비하지 못하였음이었더라 }}</ref> 이때 마음이 바뀐 바로가 군대를 이끌며 이스라엘 백성들을 추격하기에 나섰다. 진퇴양난의 상황에서 백성들은 모세를 원망했다. 하나님은 모세의 지팡이를 통해 홍해를 가르시고 그 사이로 백성들을 인도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제목=출애굽기 14:19-25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진 앞에 행하던 하나님의 사자가 옮겨 그 뒤로 행하매 구름 기둥도 앞에서 그 뒤로 옮겨 애굽 진과 이스라엘 진 사이에 이르러 서니 저 편은 구름과 흑암이 있고 이 편은 밤이 광명하므로 밤새도록 저 편이 이 편에 가까이 못하였더라 ... 이스라엘 자손이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고 물은 그들의 좌우에 벽이 되니 애굽 사람들과 바로의 말들, 병거들과 그 마병들이 다 그 뒤를 쫓아 바다 가운데로 들어 오는지라 새벽에 여호와께서 불 구름기둥 가운데서 애굽 군대를 보시고 그 군대를 어지럽게 하시며 그 병거 바퀴를 벗겨서 달리기에 극난하게 하시니 }}</ref> 온 백성은 바다를 건너기까지 긴장과 공포에 휩싸였다. 하나님은 무교절(無酵節, Feast of Unleavened Bread)을 정하셔서 그들의 고난을 기억하게 하셨다.
*'''유래:''' [[야곱]]이 [[요셉]]의 권유에 따라 가족을 데리고 애굽으로 이주한 후, 이스라엘 민족은 크게 번성했다.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바로는 이스라엘 백성의 많은 인구를 위협적으로 느끼고 그들을 노예로 부렸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장 |제목=출애굽기 1:7-14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자손은 생육이 중다하고 번식하고 창성하고 심히 강대하여 온 땅에 가득하게 되었더라 요셉을 알지 못하는 새 왕이 일어나서 애굽을 다스리더니 그가 그 신민에게 이르되 이 백성 이스라엘 자손이 우리보다 많고 강하도다 자, 우리가 그들에게 대하여 지혜롭게 하자 두렵건대 그들이 더 많게 되면 전쟁이 일어날 때에 우리 대적과 합하여 우리와 싸우고 이 땅에서 갈까 하노라 하고 감독들을 그들 위에 세우고 그들에게 무거운 짐을 지워 괴롭게 하여 그들로 바로를 위하여 국고성 비돔과 라암셋을 건축하게 하니라 }}</ref> 이스라엘 백성들은 약 400년간의 고된 종살이 끝에 하나님이 보내신 선지자 모세의 인도하에 유월절을 지키고 다음 날 애굽에서 해방되었다.<ref name=":8" /><br>성력 1월 15일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719&cid=50762&categoryId=51387 라암셋]에서 출발한 이스라엘 백성들은 [[홍해]] 앞에 도착해 진을 쳤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9-39 |저널= |인용문=밤중에 여호와께서 애굽 땅에서 모든 처음 난 것 곧 위에 앉은 바로의 장자로부터 옥에 갇힌 사람의 장자까지와 생축의 처음 난것을 다 치시매 ... 밤에 바로가 모세와 아론을 불러서 이르되 너희와 이스라엘 자손은 일어나 내 백성 가운데서 떠나서 너희의 말대로 가서 여호와를 섬기며 ... 애굽 사람들은 말하기를 우리가 다 죽은 자가 되도다 하고 백성을 재촉하여 그 지경에서 속히 보내려 하므로 ... 이스라엘 자손이 라암셋에서 발행하여 숙곳에 이르니 유아 외에 보행하는 장정이 육십만 가량이요 ... 그들이 가지고 나온 발교되지 못한 반죽으로 무교병을 구웠으니 이는 그들이 애굽에서 쫓겨 남으로 지체할 수 없었음이며 아무 양식도 준비하지 못하였음이었더라 }}</ref> 이때 마음이 바뀐 바로가 군대를 이끌며 이스라엘 백성들을 추격하기에 나섰다. 진퇴양난의 상황에서 백성들은 모세를 원망했다. 하나님은 모세의 지팡이를 통해 홍해를 가르시고 그 사이로 백성들을 인도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4장 |제목=출애굽기 14:19-25 |저널= |인용문=이스라엘 진 앞에 행하던 하나님의 사자가 옮겨 그 뒤로 행하매 구름 기둥도 앞에서 그 뒤로 옮겨 애굽 진과 이스라엘 진 사이에 이르러 서니 저 편은 구름과 흑암이 있고 이 편은 밤이 광명하므로 밤새도록 저 편이 이 편에 가까이 못하였더라 ... 이스라엘 자손이 바다 가운데 육지로 행하고 물은 그들의 좌우에 벽이 되니 애굽 사람들과 바로의 말들, 병거들과 그 마병들이 다 그 뒤를 쫓아 바다 가운데로 들어 오는지라 새벽에 여호와께서 불 구름기둥 가운데서 애굽 군대를 보시고 그 군대를 어지럽게 하시며 그 병거 바퀴를 벗겨서 달리기에 극난하게 하시니 }}</ref> 온 백성은 바다를 건너기까지 긴장과 공포에 휩싸였다. 하나님은 무교절(無酵節, Feast of Unleavened Bread)을 정하셔서 그들의 고난을 기억하게 하셨다.
38번째 줄: 38번째 줄:
*'''예언 성취:''' 무교절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을 표상한다. 제자들과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시고 그날 밤에 잡히신 예수님은, 그때로부터 고난을 받으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 |제목=이사야 53:3-8 |저널= |인용문=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무리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가는 어린양과 털 깎는 자 앞에 잠잠한 양같이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그가 곤욕과 심문을 당하고 끌려갔으니 }}</ref> 다음 날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장장 6시간 동안 [[십자가]]에 매달려 고통당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7장 |저널= |인용문= }}</ref>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에 들어간 것은 예수님이 무덤에 들어가실 것을, 홍해에서 상륙한 것은 [[예수님의 부활]]을 표상한다. [[침례]]는 이러한 뜻을 나타내는 예식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제목=고린도전서 10:1-2 |저널= |인용문=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우리 조상들이 다 구름 아래 있고 바다 가운데로 지나며 모세에게 속하여 다 구름과 바다에서 침례를 받고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3장 |제목=베드로전서 3:21 |저널= |인용문=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침례라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오직 선한 양심이 하나님을 향하여 찾아가는 것이라 }}</ref>
*'''예언 성취:''' 무교절은 예수님의 [[십자가 고난]]을 표상한다. 제자들과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시고 그날 밤에 잡히신 예수님은, 그때로부터 고난을 받으시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 |제목=이사야 53:3-8 |저널= |인용문=그가 찔림은 우리의 허물을 인함이요 그가 상함은 우리의 죄악을 인함이라 그가 징계를 받음으로 우리가 평화를 누리고 그가 채찍에 맞음으로 우리가 나음을 입었도다 우리는 다 양 같아서 그릇 행하여 각기 제 길로 갔거늘 여호와께서는 우리 무리의 죄악을 그에게 담당시키셨도다 그가 곤욕을 당하여 괴로울 때에도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음이여 마치 도수장으로 끌려가는 어린양과 털 깎는 자 앞에 잠잠한 양같이 그 입을 열지 아니하였도다 그가 곤욕과 심문을 당하고 끌려갔으니 }}</ref> 다음 날 오전 9시부터 오후 3시까지 장장 6시간 동안 [[십자가]]에 매달려 고통당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7장 |저널= |인용문= }}</ref> 이스라엘 백성이 홍해에 들어간 것은 예수님이 무덤에 들어가실 것을, 홍해에서 상륙한 것은 [[예수님의 부활]]을 표상한다. [[침례]]는 이러한 뜻을 나타내는 예식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제목=고린도전서 10:1-2 |저널= |인용문=형제들아 너희가 알지 못하기를 내가 원치 아니하노니 우리 조상들이 다 구름 아래 있고 바다 가운데로 지나며 모세에게 속하여 다 구름과 바다에서 침례를 받고 }}</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베드로전서#3장 |제목=베드로전서 3:21 |저널= |인용문=물은 예수 그리스도의 부활하심으로 말미암아 이제 너희를 구원하는 표니 곧 침례라 육체의 더러운 것을 제하여 버림이 아니요 오직 선한 양심이 하나님을 향하여 찾아가는 것이라 }}</ref>
<small>{{참고|무교절|l1=무교절|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small>{{참고|무교절|l1=무교절|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초실절(부활절)===
===초실절(부활절)===
[[파일:The resurrection day.jpg |섬네일 | 270픽셀 |<부활하신 예수님과 막달라 마리아>, 하인리히 호프만 作]]   
[[파일:The resurrection day.jpg |섬네일 | 270픽셀 |<부활하신 예수님과 막달라 마리아>, 하인리히 호프만 作]]