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파와 오메가: 두 판 사이의 차이
잔글 참고 자료 삭제, 원고 통일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Alpha uc lc.svg|섬네일|오른쪽|200px|알파(Alpha)는 그리스 문자의 첫째 자모다. 그리스 숫자로 1을 뜻한다.]] | [[File:Alpha uc lc.svg|섬네일|오른쪽|200px|알파(Alpha)는 그리스 문자의 첫째 자모다. 그리스 숫자로 1을 뜻한다.]] | ||
[[File:Omega uc lc.svg|섬네일|오른쪽|200px|오메가(Omega)는 그리스 문자의 마지막인 24번째 글자다.]] | [[File:Omega uc lc.svg|섬네일|오른쪽|200px|오메가(Omega)는 그리스 문자의 마지막인 24번째 글자다.]] | ||
'''알파와 오메가'''는 [[신약성경]]에 3번 등장하는 어구로, | '''알파와 오메가'''는 [[신약성경]]에 3번 등장하는 어구로, [[하나님]]이 자신의 속성을 나타낼 때 언급하셨다. 헬라어, 즉 그리스어 알파벳의 첫 글자인 알파(A, a)와 24번째 마지막 글자 오메가(Ω, ω)를 사용하여 시작과 끝, 또는 처음과 마지막을 나타낸다. 즉 '나는 알파와 오메가다(그리스어: Ἐγώ εἰμι τὸ '''Ἄλφα''' καὶ τὸ '''Ὦ''')'라는 표현은 '나는 시작(처음)과 끝(마지막)이다'라는 의미가 된다. | ||
==알파와 오메가 의미== | ==알파와 오메가 의미== |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여호와]] 하나님은 [[구약성경]]에서 당신을 가리켜 "처음과 마지막"이라고 말씀하셨다. | [[여호와]] 하나님은 [[구약성경]]에서 당신을 가리켜 "처음과 마지막"이라고 말씀하셨다. | ||
{{인용문5 |내용=이스라엘의 왕인 '''여호와''', 이스라엘의 구속자인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나는 처음이요 나는 마지막'''이라 나 외에 다른 신이 없느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44장 이사야 44:6]}}{{인용문5 |내용=야곱아 나의 부른 이스라엘아 나를 들으라 나는 그니 '''나는 처음이요 또 마지막'''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48장 이사야 48:12]}} | {{인용문5 |내용=이스라엘의 왕인 '''여호와''', 이스라엘의 구속자인 만군의 여호와가 말하노라 '''나는 처음이요 나는 마지막'''이라 나 외에 다른 신이 없느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44장 이사야 44:6]}}{{인용문5 |내용=야곱아 나의 부른 이스라엘아 나를 들으라 나는 그니 '''나는 처음이요 또 마지막'''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48장 이사야 48:12]}} | ||
[[성경]]의 마지막 책자인 [[요한계시록]] 1장과 21장에서도 여호와 하나님은 변함없이 "알파와 오메가"임을 확증하셨다. | |||
{{인용문5 |내용='''주 하나님'''이 가라사대 '''나는 알파와 오메가라''' 이제도 있고 전에도 있었고 장차 올 자요 '''전능한 자'''라 하시더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장 요한계시록 1:8]}}{{인용문5 |내용=또 내게 말씀하시되 이루었도다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라 내가 생명수 샘물로 | {{인용문5 |내용='''주 하나님'''이 가라사대 '''나는 알파와 오메가라''' 이제도 있고 전에도 있었고 장차 올 자요 '''전능한 자'''라 하시더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장 요한계시록 1:8]}}{{인용문5 |내용=또 내게 말씀하시되 이루었도다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라 내가 생명수 샘물로 목마른 자에게 값없이 주리니|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1장 요한계시록 21:6]}} | ||
'주 하나님', '전능한 자'는 모두 여호와 하나님을 가리킨다. | '주 하나님', '전능한 자'는 모두 여호와 하나님을 가리킨다. |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예수 그리스도]]도 성부 여호와 하나님과 자신이 하나임을 알리기 위해 자신을 가리켜 알파와 오메가라고 증거했다. | [[예수 그리스도]]도 성부 여호와 하나님과 자신이 하나임을 알리기 위해 자신을 가리켜 알파와 오메가라고 증거했다. | ||
{{인용문5 |내용=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요 시작과 끝이라 ... '''나 예수는''' 교회들을 위하여 내 사자를 보내어 이것들을 너희에게 증거하게 하였노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3–16]}} | {{인용문5 |내용= '''나는 알파와 오메가요''' 처음과 나중이요 시작과 끝이라 ... '''나 예수는''' 교회들을 위하여 내 사자를 보내어 이것들을 너희에게 증거하게 하였노라 |출처=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2장 요한계시록 22:13–16]}} | ||
예수님은 사도 | 예수님은 [[요한 (사도)|사도 요한]]에게 처음 계시를 보이실 때도 "나는 처음이요 나중"이라고 말씀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1장|제목=요한계시록 1:17–18 |저널= |인용문=내가 볼 때에 그 발 앞에 엎드러져 죽은 자같이 되매 그가 오른손을 내게 얹고 가라사대 두려워 말라 '''나는 처음이요 나중'''이니 곧 산 자라 내가 전에 죽었었노라}}</ref> 사도 요한은 서머나 교회에 보내는 편지 앞머리에 예수님의 이 말씀을 그대로 인용하여 "처음이요 나중이요 죽었다가 살아나신 이"라고 예수 [[그리스도]]를 소개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계시록#2장|제목=요한계시록 2:8 |저널= |인용문=서머나 교회의 사자에게 편지하기를 처음이요 나중이요 죽었다가 살아나신 이가 가라사대}}</ref><br> | ||
[[성부 (여호와)|성부]]와 [[성자 (예수)|성자]]가 다른 분이라면 아들은 아버지보다 나중에 존재하므로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결코 처음과 끝, 즉 알파와 오메가가 될 수 없다. 여호와도 예수 그리스도도 "나는 알파와 오메가"라고 자처해도 모순이 아닌 것은 두 분이 다른 분이 아니고 한 분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하나님은 '알파와 오메가'라는 상징적 표현을 사용하여 성부 여호와 하나님과 성자 예수 그리스도가 한 분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드러내신 것이다. | [[성부 (여호와)|성부]]와 [[성자 (예수)|성자]]가 다른 분이라면 아들은 아버지보다 나중에 존재하므로 성자이신 예수 그리스도는 결코 처음과 끝, 즉 알파와 오메가가 될 수 없다. 여호와도 예수 그리스도도 "나는 알파와 오메가"라고 자처해도 모순이 아닌 것은 두 분이 다른 분이 아니고 한 분이기 때문에 가능하다. 하나님은 '알파와 오메가'라는 상징적 표현을 사용하여 성부 여호와 하나님과 성자 예수 그리스도가 한 분 [[아버지 하나님]]이라는 사실을 분명히 드러내신 것이다. | ||
| 24번째 줄: | 24번째 줄: | ||
{| class="wikitable" | {| class="wikitable" | ||
|- | |- | ||
! <center>대문자</center> !! <center>소문자</center> !! <center>발음</center> !! <center>대문자</center> !! <center>소문자</center> !! <center>발음</center> | !<center>대문자</center>!!<center>소문자</center>!!<center>발음</center>!!<center>대문자</center>!!<center>소문자</center>!!<center>발음</center> | ||
|- | |- | ||
| <center><span style="color:#FF0000">Α</span></center> || <center><span style="color:#FF0000">α</span></center> || <center><span style="color:#FF0000">알파</span></center> || <center>Ν</center> || <center>ν</center> || <center>뉴(뉘)</center> | |<center><span style="color:#FF0000">Α</span></center>||<center><span style="color:#FF0000">α</span></center>||<center><span style="color:#FF0000">알파</span></center>||<center>Ν</center>||<center>ν</center>||<center>뉴(뉘)</center> | ||
|- | |- | ||
| <center>Β</center> || <center>β</center> || <center>베타</center> || <center>Ξ</center> || <center>ξ</center> || <center>크시</center> | |<center>Β</center>||<center>β</center>||<center>베타</center>||<center>Ξ</center>||<center>ξ</center>||<center>크시</center> | ||
|- | |- | ||
| <center>Γ</center> || <center>γ</center>|| <center>감마</center> || <center>Ο</center> || <center>ο</center> || <center>오미크론</center> | |<center>Γ</center>||<center>γ</center>||<center>감마</center>||<center>Ο</center>||<center>ο</center>||<center>오미크론</center> | ||
|- | |- | ||
| <center>Δ</center> || <center>δ</center> || <center>델타</center> || <center>Π</center> || <center>π</center> || <center>파이(피)</center> | |<center>Δ</center>||<center>δ</center>||<center>델타</center>||<center>Π</center>||<center>π</center>||<center>파이(피)</center> | ||
|- | |- | ||
| <center>Ε</center> || <center>ε</center> || <center>엡실론</center> || <center>Ρ</center> || <center>ρ</center> || <center>로</center> | |<center>Ε</center>||<center>ε</center>||<center>엡실론</center>||<center>Ρ</center>||<center>ρ</center>||<center>로</center> | ||
|- | |- | ||
| <center>Ζ</center> || <center>ζ</center> || <center>제타</center> || <center>Σ</center> || <center>σ</center> || <center>시그마</center> | |<center>Ζ</center>||<center>ζ</center>||<center>제타</center>||<center>Σ</center>||<center>σ</center>||<center>시그마</center> | ||
|- | |- | ||
| <center>Η</center> || <center>η</center> || <center>에타</center> || <center>Τ</center> || <center>τ</center> | |<center>Η</center>||<center>η</center>||<center>에타</center>||<center>Τ</center>||<center>τ</center>||<center>타우</center> | ||
|- | |- | ||
| <center>Θ</center> || <center>θ</center> || <center>세타(데타)</center> || <center>Υ</center> || <center>υ</center> || <center>입실론(윕실론)</center> | |<center>Θ</center>||<center>θ</center>||<center>세타(데타)</center>||<center>Υ</center>||<center>υ</center>||<center>입실론(윕실론)</center> | ||
|- | |- | ||
| <center>Ι</center> || <center>ι</center> || <center>요타(이오타)</center> || <center>Φ</center> || <center>φ</center> || <center>피</center> | |<center>Ι</center>||<center>ι</center>||<center>요타(이오타)</center>||<center>Φ</center>||<center>φ</center>||<center>피</center> | ||
|- | |- | ||
| <center>Κ</center> || <center>κ</center> || <center>카파</center> || | |<center>Κ</center>||<center>κ</center>||<center>카파</center>||<center>Χ</center>||<center>χ</center>||<center>키</center> | ||
|- | |- | ||
| <center>Λ</center> || <center>λ</center> || <center>람다</center> || <center>Ψ</center>|| <center>ψ</center>|| <center>프시</center> | |<center>Λ</center>||<center>λ</center>||<center>람다</center>||<center>Ψ</center>||<center>ψ</center>||<center>프시</center> | ||
|- | |- | ||
| <center>Μ</center> || <center>μ</center> || <center>뮤(뮈)</center> || <center><span style="color:#FF0000">Ω</span></center> || <center><span style="color:#FF0000">ω</span></center> || <center><span style="color:#FF0000">오메가</span></center> | |<center>Μ</center>||<center>μ</center>||<center>뮤(뮈)</center>||<center><span style="color:#FF0000">Ω</span></center>||<center><span style="color:#FF0000">ω</span></center>||<center><span style="color:#FF0000">오메가</span></center> | ||
|} | |} | ||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성삼위일체]] | *[[성삼위일체]] | ||
*[[아버지 하나님]] | |||
*[[성부 (여호와)]] | *[[성부 (여호와)]] | ||
*[[성자 (예수)]] | *[[성자 (예수)]]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