제사장: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편집 요약 없음
 
5번째 줄: 5번째 줄:


제사장은 백성의 대표로서 '기름 부음'을 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0장 |제목=출애굽기 30:30-33 |저널= |인용문= }}</ref> 기름 부음은 하나님의 특별한 소유로 구별된 존재에게 행하는 예식이다. 제사장이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한 책무를 받은 존재임을 나타낸 것이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제사장 나라가 되며, 백성들은 거룩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 출애굽기 19:6]. "너희가 내게 대하여 제사장 나라가 되며 거룩한 백성이 되리라 너는 이 말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할지니라"</ref>   
제사장은 백성의 대표로서 '기름 부음'을 받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0장 |제목=출애굽기 30:30-33 |저널= |인용문= }}</ref> 기름 부음은 하나님의 특별한 소유로 구별된 존재에게 행하는 예식이다. 제사장이 하나님으로부터 특별한 책무를 받은 존재임을 나타낸 것이다. 하나님은 이스라엘이 제사장 나라가 되며, 백성들은 거룩해야 한다고 말씀하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9장 출애굽기 19:6]. "너희가 내게 대하여 제사장 나라가 되며 거룩한 백성이 되리라 너는 이 말을 이스라엘 자손에게 고할지니라"</ref>   
==역사==
==역사==
[[파일:Foster Bible Pictures 0073-1 Offering Up a Burnt Sacrifice to God.jpg |섬네일 |220px|하나님께 번제물을 드리는 이스라엘 백성. 찰스 포스터(Charles Foster) 저서 《Bible Pictures and What They Teach Us》 삽화, 1897]]
[[파일:Foster Bible Pictures 0073-1 Offering Up a Burnt Sacrifice to God.jpg |섬네일 |220px|하나님께 번제물을 드리는 이스라엘 백성. 찰스 포스터(Charles Foster) 저서 《Bible Pictures and What They Teach Us》 삽화, 1897]]
===모세 이전===
===모세 이전===
[[모세]] 시대에 이르러 성막(성전)이 완공되기 전에는 족장이나 가장(家長)들이 제사장 역할을 맡았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출애굽기 12:3]. "너희는 이스라엘 회중에게 고하여 이르라 이 달 열흘에 너희 매인이 어린 양을 취할지니 각 가족대로 그 식구를 위하여 어린 양을 취하되"</ref> 대표적 인물은 아벨,<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장 창세기 4:3-5]. "세월이 지난 후에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제물을 삼아 여호와께 드렸고 아벨은 자기도 양의 첫 새끼와 그 기름으로 드렸더니 여호와께서 아벨과 그 제물은 열납하셨으나 가인과 그 제물은 열납하지 아니하신지라"</ref> [[노아]],<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8장 창세기 8:20]. "노아가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샇고 모든 정결한 짐승 중에서와 모든 정결한 새 중에서 취하여 번제로 단에 드렸더니"</ref> [[아브라함]],<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2장 창세기 12:7-8]. "여호와께서 아브람[아브라함]에게 나타나 가라사대 내가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 하신지라 그가 자기에게 나타나신 여호와를 위하여 그곳에 단을 쌓고 거기서 벧엘 동편 산으로 옮겨 장막을 치니 서는 벧엘이요 동은 아이라 그가 그곳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더니"</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3장 창세기 13:8]. "이에 아브람이 장막을 옮겨 헤브론에 있는 마므레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거하며 거기서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았더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2장 |제목=창세기 22:13 |저널= |인용문=아브라함이 눈을 들어 살펴본즉 한 수양이 뒤에 있는데 뿔이 수풀에 걸렸는지라 아브라함이 가서 그 수양을 가져다가 아들을 대신하여 번제로 드렸더라 }}</ref> [[이삭]],<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6장 창세기 26:25]. "이삭이 그곳에 단을 쌓아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고 거기 장막을 쳤더니 그 종들이 거기서도 우물을 팠더라"</ref> [[야곱]]<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1장 창세기 31:54]. "야곱이 또 산에서 제사를 드리고 형제들을 불러 떡을 먹이니 그들이 떡을 먹고 산에서 경야하고"</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5장 창세기 35:6-7]. "야곱과 그와 함께한 모든 사람이 ... 그가 거기서 단을 쌓고 그곳을 엘벧엘이라 불렀으니"</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6장 창세기 46:1]. "이스라엘[야곱]이 모든 소유를 이끌고 발행하여 브엘세바에 이르러 그 아비 이삭의 하나님께 희생을 드리니"</ref> 등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짐승의 피를 흘려 하나님께 제사드렸다. [[멜기세덱]]은 유일하게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와 아브라함을 축복했다.<ref name=":3">{{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7-20 |저널= }}</ref>   
[[모세]] 시대에 이르러 성막(성전)이 완공되기 전에는 족장이나 가장(家長)들이 제사장 역할을 맡았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출애굽기 12:3]. "너희는 이스라엘 회중에게 고하여 이르라 이 달 열흘에 너희 매인이 어린 양을 취할지니 각 가족대로 그 식구를 위하여 어린 양을 취하되"</ref> 대표적 인물은 아벨,<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장 창세기 4:3-5]. "세월이 지난 후에 가인은 땅의 소산으로 제물을 삼아 여호와께 드렸고 아벨은 자기도 양의 첫 새끼와 그 기름으로 드렸더니 여호와께서 아벨과 그 제물은 열납하셨으나 가인과 그 제물은 열납하지 아니하신지라"</ref> [[노아]],<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8장 창세기 8:20]. "노아가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샇고 모든 정결한 짐승 중에서와 모든 정결한 새 중에서 취하여 번제로 단에 드렸더니"</ref> [[아브라함]],<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2장 창세기 12:7-8]. "여호와께서 아브람[아브라함]에게 나타나 가라사대 내가 이 땅을 네 자손에게 주리라 하신지라 그가 자기에게 나타나신 여호와를 위하여 그곳에 단을 쌓고 거기서 벧엘 동편 산으로 옮겨 장막을 치니 서는 벧엘이요 동은 아이라 그가 그곳에서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고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더니"</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3장 창세기 13:8]. "이에 아브람이 장막을 옮겨 헤브론에 있는 마므레 상수리 수풀에 이르러 거하며 거기서 여호와를 위하여 단을 쌓았더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2장 |제목=창세기 22:13 |저널= |인용문=아브라함이 눈을 들어 살펴본즉 한 수양이 뒤에 있는데 뿔이 수풀에 걸렸는지라 아브라함이 가서 그 수양을 가져다가 아들을 대신하여 번제로 드렸더라 }}</ref> [[이삭]],<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26장 창세기 26:25]. "이삭이 그곳에 단을 쌓아 여호와의 이름을 부르고 거기 장막을 쳤더니 그 종들이 거기서도 우물을 팠더라"</ref> [[야곱]]<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1장 창세기 31:54]. "야곱이 또 산에서 제사를 드리고 형제들을 불러 떡을 먹이니 그들이 떡을 먹고 산에서 경야하고"</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35장 창세기 35:6-7]. "야곱과 그와 함께한 모든 사람이 ... 그가 거기서 단을 쌓고 그곳을 엘벧엘이라 불렀으니"</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6장 창세기 46:1]. "이스라엘[야곱]이 모든 소유를 이끌고 발행하여 브엘세바에 이르러 그 아비 이삭의 하나님께 희생을 드리니"</ref> 등이다. 이들은 일반적으로 짐승의 피를 흘려 하나님께 제사드렸다. [[멜기세덱]]은 유일하게 떡과 포도주를 가지고 나와 아브라함을 축복했다.<ref name=":3">{{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4장 |제목=창세기 14:17-20 |저널= }}</ref>   
36번째 줄: 38번째 줄:
===왕국 시대 이후===
===왕국 시대 이후===
24반열의 제사장직은 예수님 출생 전까지 유지됐다. [[침례 요한 (세례 요한)|침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가 24반열 중 8번째인 아비야 반열에 속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누가복음 1:5].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ref> 그러나 대제사장직은 이스라엘이 헬라, 로마 등 외세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 변질되었다. 원래 대제사장직은 아론의 자손들에게만 승계되는 종신직이었지만, 통치자들의 정치적인 이해관계나 뇌물 등 경제적 이권에 따라 임명 또는 해임됐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89896&cid=50762&categoryId=51387 "가야바"], 《라이프 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원래 대제사장은 아론의 자손들에게로 계승되며 종신직이었지만 로마 지배하에서는 일반 관직처럼 정치적인 배려에 의해 임명도 되고 해임도 되며, 심지어는 매관매직되기도 하였다."</ref> 이에 따라 대제사장이 1년의 임기도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했으며 심지어 매관매직되기도 했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393&cid=50762&categoryId=51387 "대제사장"],  《라이프 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ref> 예수님 당시의 제사장이었던 가야바도 기원후 18년에 총독 그라투스에 의해 임명되었고, 기원후 36년에 총독 비텔리우스에 의해 해임되었다.<ref>"가야바", 《아가페 성경사전》, 아가페서원, 1991, 19쪽, "본디오 빌라도의 전임 총독이었던 발레리우스 그라투스(Valerius Gratus)가 그를 A.D. 18년에 대제사장으로 임명하였다. ... A.D. 36년 시리아에 있던 로마의 총독 비텔리우스(Vitellius)에 의하여 해임된다."</ref> 이 시대의 대제사장들은 명예와 금욕에 눈이 어두워져 하나님의 일을 등한시했다.<ref>이종기, 《교회사》, 세종문화사, 2000, 15-16쪽</ref>
24반열의 제사장직은 예수님 출생 전까지 유지됐다. [[침례 요한 (세례 요한)|침례 요한]]의 아버지 사가랴가 24반열 중 8번째인 아비야 반열에 속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1장 누가복음 1:5]. "유대 왕 헤롯 때에 아비야 반열에 제사장 하나가 있으니 이름은 사가랴요 그 아내는 아론의 자손이니 이름은 엘리사벳이라"</ref> 그러나 대제사장직은 이스라엘이 헬라, 로마 등 외세의 지배를 받던 시기에 변질되었다. 원래 대제사장직은 아론의 자손들에게만 승계되는 종신직이었지만, 통치자들의 정치적인 이해관계나 뇌물 등 경제적 이권에 따라 임명 또는 해임됐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89896&cid=50762&categoryId=51387 "가야바"], 《라이프 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원래 대제사장은 아론의 자손들에게로 계승되며 종신직이었지만 로마 지배하에서는 일반 관직처럼 정치적인 배려에 의해 임명도 되고 해임도 되며, 심지어는 매관매직되기도 하였다."</ref> 이에 따라 대제사장이 1년의 임기도 채우지 못하는 경우가 빈번했으며 심지어 매관매직되기도 했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1393&cid=50762&categoryId=51387 "대제사장"],  《라이프 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ref> 예수님 당시의 제사장이었던 가야바도 기원후 18년에 총독 그라투스에 의해 임명되었고, 기원후 36년에 총독 비텔리우스에 의해 해임되었다.<ref>"가야바", 《아가페 성경사전》, 아가페서원, 1991, 19쪽, "본디오 빌라도의 전임 총독이었던 발레리우스 그라투스(Valerius Gratus)가 그를 A.D. 18년에 대제사장으로 임명하였다. ... A.D. 36년 시리아에 있던 로마의 총독 비텔리우스(Vitellius)에 의하여 해임된다."</ref> 이 시대의 대제사장들은 명예와 금욕에 눈이 어두워져 하나님의 일을 등한시했다.<ref>이종기, 《교회사》, 세종문화사, 2000, 15-16쪽</ref>


==제사장의 임명==
==제사장의 임명==
46번째 줄: 47번째 줄:
===위임식===
===위임식===
위임식에 참여하는 제사장들은 회막에서 물로 씻어 정결하게 했다. 이어 하나님이 정해주신 속옷과 겉옷을 정해진 순서와 절차에 따라 입었다. 머리에는 관을 씌우고 관유를 머리에 부어 발랐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속죄제, 번제, 화목제를 드렸다. 위임식은 7일간 이어졌으며, 제사장들은 모든 절차가 마치기 전까지 성막에서 나갈 수 없었다. 위임식 절차가 끝난 뒤에 제사장 직분을 행할 수 있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9장 출애굽기 29장].</ref>
위임식에 참여하는 제사장들은 회막에서 물로 씻어 정결하게 했다. 이어 하나님이 정해주신 속옷과 겉옷을 정해진 순서와 절차에 따라 입었다. 머리에는 관을 씌우고 관유를 머리에 부어 발랐다. 매일 아침 저녁으로 속죄제, 번제, 화목제를 드렸다. 위임식은 7일간 이어졌으며, 제사장들은 모든 절차가 마치기 전까지 성막에서 나갈 수 없었다. 위임식 절차가 끝난 뒤에 제사장 직분을 행할 수 있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9장 출애굽기 29장].</ref>


==제사장의 역할==
==제사장의 역할==
58번째 줄: 58번째 줄:
# 축제일이나 전쟁을 알리는 나팔 불기<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0장 민수기 10:8-10].</ref>
# 축제일이나 전쟁을 알리는 나팔 불기<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0장 민수기 10:8-10].</ref>
#하나님의 이름으로 축복 선언<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6장 민수기 6:22-27].</ref>
#하나님의 이름으로 축복 선언<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6장 민수기 6:22-27].</ref>


===특권===
===특권===
64번째 줄: 63번째 줄:


지성물을 먹지 못한다는 것은 제사장 직분을 행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바벨론]]에 포로 되었던 이스라엘 백성이 [[예루살렘]]으로 귀환할 당시, 이스라엘 족보에 이름이 없는 제사장들로 하여금 제사장 직분을 행하지 못하게 할 때에 지성물을 먹지 말라고 표현했다.<ref name=":2">[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2장 에스라 2:62-63]. "이 사람들이 보계 중에서 자기 이름을 찾아도 얻지 못한 고로 저희를 부정하게 여겨 제사장의 직분을 행치 못하게 하고 방백이 저희에게 명하여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에는 지성물을 먹지 말라 하였느니라"</ref> 이러한 규례는 [[신약성경]]에서도 언급됐다. [[바울]]은 구약시대 제사장이 제물을 먹었던 규례를 들어 우상의 제물을 먹는 것은 곧 우상을 위한 제단에 참여하는 것과 같다고 가르쳤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고린도전서 10:18]. "육신을 따라 난 이스라엘을 보라 제물을 먹는 자들이 제단에 참예하는 자들이 아니냐"</ref> 제물을 먹는 자는 제단에 참여하는 제사장이므로 우상의 제물을 먹는 일이 우상을 경배하는 일과 같다고 말한 것이다.
지성물을 먹지 못한다는 것은 제사장 직분을 행하지 못한다는 뜻이다. 그래서 [[바벨론]]에 포로 되었던 이스라엘 백성이 [[예루살렘]]으로 귀환할 당시, 이스라엘 족보에 이름이 없는 제사장들로 하여금 제사장 직분을 행하지 못하게 할 때에 지성물을 먹지 말라고 표현했다.<ref name=":2">[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2장 에스라 2:62-63]. "이 사람들이 보계 중에서 자기 이름을 찾아도 얻지 못한 고로 저희를 부정하게 여겨 제사장의 직분을 행치 못하게 하고 방백이 저희에게 명하여 우림과 둠밈을 가진 제사장이 일어나기 전에는 지성물을 먹지 말라 하였느니라"</ref> 이러한 규례는 [[신약성경]]에서도 언급됐다. [[바울]]은 구약시대 제사장이 제물을 먹었던 규례를 들어 우상의 제물을 먹는 것은 곧 우상을 위한 제단에 참여하는 것과 같다고 가르쳤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고린도전서#10장 고린도전서 10:18]. "육신을 따라 난 이스라엘을 보라 제물을 먹는 자들이 제단에 참예하는 자들이 아니냐"</ref> 제물을 먹는 자는 제단에 참여하는 제사장이므로 우상의 제물을 먹는 일이 우상을 경배하는 일과 같다고 말한 것이다.


===주의사항===
===주의사항===
72번째 줄: 70번째 줄:
#하나님이 정해주신 법도대로 제사를 드려야 함(아론의 첫째 아들 나답과 둘째 아들 아비후는 하나님이 명하시지 않은 다른 불로 성소에서 분향하다가 불에 삼켜짐)<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0장 레위기 10:1-2]. "아론의 아들 나답과 아비후가 각기 향로를 가져다가 여호와의 명하시지 않은 다른 불을 담아 여호와 앞에 분향하였더니 불이 여호와 앞에서 나와 그들을 삼키매 그들이 여호와 앞에서 죽은지라"</ref>
#하나님이 정해주신 법도대로 제사를 드려야 함(아론의 첫째 아들 나답과 둘째 아들 아비후는 하나님이 명하시지 않은 다른 불로 성소에서 분향하다가 불에 삼켜짐)<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10장 레위기 10:1-2]. "아론의 아들 나답과 아비후가 각기 향로를 가져다가 여호와의 명하시지 않은 다른 불을 담아 여호와 앞에 분향하였더니 불이 여호와 앞에서 나와 그들을 삼키매 그들이 여호와 앞에서 죽은지라"</ref>
#제사를 거룩하게 여겨야 함(엘리 제사장의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제사를 멸시하다가 멸망함)<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2장 사무엘상 2:12-17]. </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4장 사무엘상 4:17]. "소식을 전하는 자가 대답하여 가로되 이스라엘이 블레셋 사람 앞에서 도망하였고 백성 중에는 큰 살륙이 있었고 당신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도 죽임을 당하였고 하나님의 궤는 빼앗겼나이다"</ref>
#제사를 거룩하게 여겨야 함(엘리 제사장의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는 제사를 멸시하다가 멸망함)<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2장 사무엘상 2:12-17]. </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상#4장 사무엘상 4:17]. "소식을 전하는 자가 대답하여 가로되 이스라엘이 블레셋 사람 앞에서 도망하였고 백성 중에는 큰 살륙이 있었고 당신의 두 아들 홉니와 비느하스도 죽임을 당하였고 하나님의 궤는 빼앗겼나이다"</ref>


== 대제사장==
== 대제사장==
[[파일:대제사장 복식.jpg |섬네일 |220px|구약시대 대제사장의 모습 ]]
[[파일:대제사장 복식.jpg |섬네일 |220px|구약시대 대제사장의 모습 ]]
대제사장(high priest)은 제사장 중에서 가장 높은 직급이다. 구약시대 제사장과 레위인들의 최고 지도자로서,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대표했다. 제사장들을 감독하면서 성소와 제사에 관한 제반 사항을 관장했다.  
대제사장(high priest)은 제사장 중에서 가장 높은 직급이다. 구약시대 제사장과 레위인들의 최고 지도자로서, 하나님 앞에서 이스라엘 백성을 대표했다. 제사장들을 감독하면서 성소와 제사에 관한 제반 사항을 관장했다.  


===복식===
===복식===
대제사장이 입는 복식은 하나님이 명하신 대로 만들어졌다. 금실과 청색, 자색, 홍색 실 등을 정교하게 짜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032&cid=50762&categoryId=51387 에봇]을 만들었다. 정금으로 만든 방울을 옷 가장자리에 달았고 속옷은 가는 베로 짓고, 흰 세마포로 두건을 만들었다. 겉옷의 가슴 부분에는 판결 흉패를 붙였다. 흉패에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이름을 새긴 열두 보석을 세 개씩 네 줄로 배열해 박았다. 흉패 안에는 우림과 둠밈을 넣었다.<ref name=":4">[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 출애굽기 28:29-30]. "아론이 성소에 들어갈 때에는 이스라엘 아들들의 이름을 기록한 이 판결 흉패를 가슴에 붙여 여호와 앞에 영원한 기념을 삼을 것이니라 너는 우림과 둠밈을 판결 흉패 안에 넣어 아론으로 여호와 앞에 들어 갈 때에 그 가슴 위에 있게 하라 아론이 여호와 앞에서 이스라엘 자손의 판결을 항상 그 가슴 위에 둘지니라"</ref> 우림과 둠밈의 모양이나 재질은 어떤 것인지 밝혀지지 않았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9장 출애굽기 39:1-31].</ref>
대제사장이 입는 복식은 하나님이 명하신 대로 만들어졌다. 금실과 청색, 자색, 홍색 실 등을 정교하게 짜서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032&cid=50762&categoryId=51387 에봇]을 만들었다. 정금으로 만든 방울을 옷 가장자리에 달았고 속옷은 가는 베로 짓고, 흰 세마포로 두건을 만들었다. 겉옷의 가슴 부분에는 판결 흉패를 붙였다. 흉패에는 이스라엘 [[열두 지파]]의 이름을 새긴 열두 보석을 세 개씩 네 줄로 배열해 박았다. 흉패 안에는 우림과 둠밈을 넣었다.<ref name=":4">[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8장 출애굽기 28:29-30]. "아론이 성소에 들어갈 때에는 이스라엘 아들들의 이름을 기록한 이 판결 흉패를 가슴에 붙여 여호와 앞에 영원한 기념을 삼을 것이니라 너는 우림과 둠밈을 판결 흉패 안에 넣어 아론으로 여호와 앞에 들어 갈 때에 그 가슴 위에 있게 하라 아론이 여호와 앞에서 이스라엘 자손의 판결을 항상 그 가슴 위에 둘지니라"</ref> 우림과 둠밈의 모양이나 재질은 어떤 것인지 밝혀지지 않았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9장 출애굽기 39:1-31].</ref>


===주요 역할===  
===주요 역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