장로: 두 판 사이의 차이
Fountainpen (토론 | 기여) |
편집 요약 없음 |
||
| 3번째 줄: | 3번째 줄: | ||
==장로의 명칭== | ==장로의 명칭== | ||
[[구약성경]]에 '장로'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자켄([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966bcaac164e4f3d88f8d3374f4803bd זָקֵן] | [[구약성경]]에 '장로'로 번역된 히브리어는 '자켄(זָקֵן)'<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966bcaac164e4f3d88f8d3374f4803bd "זָקֵן"]. 《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이다. '자켄'은 본래 '턱수염'을 뜻하는 히브리어 '자칸(זָקָן)'<ref>[https://dict.naver.com/hbokodict/#/entry/hboko/8128ac37171d4151abfc0618a36b112d "זָקָן"]. 《네이버 고대 히브리어사전》.</ref>에서 파생된 말로,<ref>[https://biblehub.com/hebrew/2205.htm "Zaqen,"] <i>Bible Hub</i>, <q>"Zaqen" Word Origin from the same as "zaqan"</q></ref> 일차적으로는 '연장자', '늙은이' 등 나이가 많은 사람을 의미하지만 나아가서는 '지파의 어른', '가문의 유력자(족장)', '성읍의 대표' 등 이스라엘 사회를 이끄는 지도층 인사를 가리키는 용어로 흔히 사용되었다.<br> | ||
[[신약성경]]의 '장로'는 헬라어 '프레스뷔테로스([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e36a917eaa0743999cd9ceca18c9df4c πρεσβύτερος] | [[신약성경]]의 '장로'는 헬라어 '프레스뷔테로스(πρεσβύτερος)'<ref>[https://dict.naver.com/grckodict/#/entry/grcko/e36a917eaa0743999cd9ceca18c9df4c "πρεσβύτερος"]. 《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ref>로 기록되었다. '프레스뷔테로스'는 '연장자', '옛사람'이라는 뜻과 함께 지방의회의 의원, 산헤드린 공회원, 교회의 장로직을 의미한다. | ||
==장로의 역할== | ==장로의 역할== | ||
| 10번째 줄: | 10번째 줄: | ||
[[파일:Jacob de Wit - Moses elects the Council of Seventy Elders - Google Art Project.jpg |섬네일 | 350px |70인의 장로들은 모세를 도와 백성들을 가나안으로 이끌었다.<br>야코프 더빗(Jacob de Wit), <Moses elects the Council of Seventy Elders>]] | [[파일:Jacob de Wit - Moses elects the Council of Seventy Elders - Google Art Project.jpg |섬네일 | 350px |70인의 장로들은 모세를 도와 백성들을 가나안으로 이끌었다.<br>야코프 더빗(Jacob de Wit), <Moses elects the Council of Seventy Elders>]] | ||
*'''초기 국가 이전의 장로''' | *'''초기 국가 이전의 장로''' | ||
[[성경]]에서 이스라엘 장로 제도의 명확한 기원은 찾아볼 수 없지만, 이스라엘 장로가 처음 언급된 것은 [[모세]] 시대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제목=출애굽기 3:16 |인용문=너는 가서 이스라엘 장로들을 모으고 그들에게 이르기를 여호와 너희 조상의 하나님 곧 아브라함과 이삭과 야곱의 하나님이 내게 나타나 이르시되 내가 실로 너희를 권고하여 너희가 애굽에서 당한 일을 보았노라}}</ref> 이때 장로들은 부족의 지도자이자 지파의 대표들로서 활동했다. 이스라엘 외에도 '[[바로 (파라오)|바로]] 궁의 장로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50장 |제목=창세기 50:7–8 |인용문=요셉이 자기 아비를 장사하러 올라가니 바로의 모든 신하와 바로 궁의 장로들과 애굽 땅의 모든 장로와 ... 함께 올라가고}}</ref>이라는 표현과 모압과 미디안의 장로들이 모압 왕 발락의 대변인으로 나선 것을 볼 때,<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22장 |제목=민수기 22:4–7 |인용문=때에 십볼의 아들 발락이 모압 왕이었더라 그가 사자를 브올의 아들 발람의 본향 강변 브돌에 보내어 발람을 부르게 하여 ... 모압 장로들과 미디안 장로들이 손에 복술의 예물을 가지고 떠나 발람에게 이르러 발락의 말로 그에게 고하매}}</ref> 당시 장로는 보편적으로 지도자 계층이었음을 알 수 있다.<br> | |||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이집트)에서 나와 | 이스라엘 민족이 애굽(이집트)에서 나와 가나안으로 향할 때 장로들은 모세와 함께 백성들을 인도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3장 |제목=출애굽기 3:18 |인용문=너는 그들의 장로들과 함께 애굽 왕에게 이르기를 히브리 사람의 하나님 여호와께서 우리에게 임하셨은즉 우리가 우리 하나님 여호와께 희생을 드리려 하오니 사흘길쯤 광야로 가기를 허락하소서 하라}}</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12장 |제목=출애굽기 12:21 |인용문=모세가 이스라엘 모든 장로를 불러서 그들에게 이르되 너희는 나가서 너희 가족대로 어린 양을 택하여 유월절 양으로 잡고}}</ref> [[출애굽]] 이후 세워진 70인의 장로들은 [[광야 생활]] 동안 모세와 동역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출애굽기#24장 |제목=출애굽기 24:1 |인용문=또 모세에게 이르시되 너는 아론과 나답과 아비후와 이스라엘 장로 칠십인과 함께 여호와에게로 올라와 멀리서 경배하고}}</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민수기#11장 |제목=민수기 11:16–17 |인용문=백성의 장로와 유사 되는 줄을 네가 아는 자 칠십인을 모아 데리고 회막 내 앞에 이르러 거기서 너와 함께 서게 하라 ... 그들이 너와 함께 백성의 짐을 담당하고 너 혼자 지지 아니하리라}}</ref> 또한 온 회중이 [[하나님]]의 금령을 범하고 그 죄를 깨달았을 때에는 장로들이 회막 앞에서 수송아지를 안수하고 잡아 [[구약의 제사#구약의 제사 종류#목적에 따른 분류#속죄제|속죄 제물]]의 피를 기름 부은 [[제사장]]에게 넘겨주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4장 |제목=레위기 4:15 |인용문=회중의 장로들이 여호와 앞에서 그 수송아지 머리에 안수하고 그것을 여호와 앞에서 잡을 것이요}}</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레위기#9장 |제목=레위기 9:1–2 |인용문=제 팔일에 모세가 아론과 그 아들들과 이스라엘 장로들을 불러다가 아론에게 이르되 흠 없는 송아지를 속죄제를 위하여 취하고 흠 없는 수양을 번제를 위하여 취하여 여호와 앞에 드리고}}</ref> 가나안에 입성한 이후에는 각 성읍의 대표로서 행정, 재판 등 모든 공적인 문제들을 담당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21장 |제목=신명기 21:1–2 |인용문=피살한 시체가 들에 엎드러진 것을 발견하고 그 쳐 죽인 자가 누구인지 알지 못하거든 너의 장로들과 재판장들이 나가서 그 피살한 곳에서 사면에 있는 각 성읍의 원근을 잴 것이요}}</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신명기#21장 |제목=신명기 21:18–21 |인용문=사람에게 완악하고 패역한 아들이 있어 그 아비의 말이나 그 어미의 말을 순종치 아니하고 부모가 징책하여도 듣지 아니하거든 그 부모가 그를 잡아가지고 성문에 이르러 그 성읍 장로들에게 나아가서}}</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룻기#4장 |제목=룻기 4:9 |인용문=보아스가 장로들과 모든 백성에게 이르되 내가 엘리멜렉과 기룐과 말론에게 있던 모든 것을 나오미의 손에서 산 일에 너희가 오늘날 증인이 되었고}}</ref> | ||
*'''왕국 시대의 장로''' | *'''왕국 시대의 장로''' | ||
왕국 시대가 시작된 이후에는 장로의 권위가 다소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백성들의 대표로서 특권을 가졌다. 이들은 왕을 세우는 데 관여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3장 |제목=사무엘하 3:17–18 |인용문=아브넬이 이스라엘 장로들에게 말하여 가로되 너희가 여러번 다윗으로 너희 임금 삼기를 구하였으니 이제 그대로 하라}}</ref> 왕을 보좌하며 고문 역할을 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2장 |제목=열왕기상 12:6–7 |인용문=르호보암왕이 그 부친 솔로몬의 생전에 그 앞에 모셨던 노인들과 의논하여 가로되}}</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20장 |제목=열왕기상 20:7-8 |인용문=이에 이스라엘 왕이 나라의 장로를 다 불러 이르되 너희는 이 사람이 잔해하려고 구하는 줄을 자세히 알라 저가 나의 처들과 자녀들과 은금을 취하려고 사람을 내게 보내었으나 내가 거절치 못하였노라 모든 장로와 백성들이 다 왕께 고하되 왕은 듣지도 말고 허락지도 마옵소서 한지라}}</ref> [[솔로몬]] 때에는 [[언약궤]]를 [[예루살렘]] [[성전]]으로 옮기는 일에 참여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8장 |제목=열왕기상 8:1–11 |인용문=이에 솔로몬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다윗성 곧 시온에서 메어 올리고자 하여 이스라엘 장로와 모든 지파의 두목 곧 이스라엘 자손의 족장들을 예루살렘 자기에게로 소집하니 ... 이스라엘 장로들이 다 이르매 제사장들이 궤를 메니라 }}</ref> 장로 제도는 [[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바벨론 포로기|바벨론 포로기]]에도 이어졌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9장 |제목=예레미야 29:1 |인용문=선지자 예레미야가 예루살렘에서 이같은 편지를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바벨론으로 옮겨간 포로 중 남아 있는 장로들과 제사장들과 선지자들과 모든 백성에게 보내었는데}}</ref> 포로 귀환 후에는 예루살렘 성전 재건에 앞장서 일하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5장 |제목=에스라 5:2–5 |인용문= 총독 닷드내와 스달보스내와 그 동료가 다 나아와 저희에게 이르되 누가 너희를 명하여 이 전을 건축하고 이 성곽을 마치게 하였느냐 하기로 ... 하나님이 유다 장로들을 돌아 보셨으므로 저희가 능히 역사를 폐하게 못하고}}</ref> 선지자 [[에스라]]<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058&cid=50762&categoryId=51387 에스라1(Ezra)]",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아론의 16대손이자 대제사장 힐기야의 후손으로(스 7:1, 5) 모세 율법에 능한 서기관(학사)이요 제사장(스 7:6, 11-12, 21; 8:1). ... 바벨론 제2차 포로 귀환 때, 곧 바사 왕 아닥사스다 1세 재위 7년경에 신앙 개혁을 위해 예루살렘으로의 귀환을 왕에게 허락받아 1,800명의 유다인들과 함께 유다 땅으로 돌아왔다(스 7:8-8:17)."</ref>를 도와 백성들이 죄에서 돌이키도록 지도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10장 |제목=에스라 10:8, 14 |인용문=누구든지 방백들과 장로들의 훈시를 좇아 삼일 내에 오지 아니하면 그 재산을 적몰하고 사로잡혔던 자의 회에서 쫓아 내리라 하매 ... 다 기한에 본성 장로들과 재판장과 함께 오게 하여 우리 하나님의 이 일로 인하신 진노가 우리에게서 떠나게 하소서 하나}}</ref> 반면 소임에 맞지 않게 백성들을 압제하거나, 백성들을 미혹해 그릇된 길로 인도함으로 하나님께 책망받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장 |제목=이사야 3:14–15 |인용문=여호와께서 그 백성의 장로들과 방백들을 국문하시되 포도원을 삼킨 자는 너희며 가난한 자에게서 탈취한 물건은 너희 집에 있도다 어찌하여 너희가 내 백성을 짓밟으며 가난한 자의 얼굴에 맷돌질하느뇨}}</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제목=이사야 9:13 |인용문=여호와께서 하루 사이에 이스라엘 중에서 머리와 꼬리며 종려가지와 갈대를 끊으시리니 머리는 곧 장로와 존귀한 자요 꼬리는 곧 거짓말을 가르치는 선지자라 백성을 인도하는 자가 그들로 미혹케 하니 인도를 받는 자가 멸망을 당하는도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8장 |제목=에스겔 8:11–12 |인용문=이스라엘 족속의 장로 중 칠십인이 그 앞에 섰으며 ... 내게 이르시되 인자야 이스라엘 족속의 장로들이 각각 그 우상의 방안 어두운 가운데서 행하는 것을 네가 보았느냐}}</ref> | 왕국 시대가 시작된 이후에는 장로의 권위가 다소 축소되었으나, 여전히 백성들의 대표로서 특권을 가졌다. 이들은 왕을 세우는 데 관여했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무엘하#3장 |제목=사무엘하 3:17–18 |인용문=아브넬이 이스라엘 장로들에게 말하여 가로되 너희가 여러번 다윗으로 너희 임금 삼기를 구하였으니 이제 그대로 하라}}</ref> 왕을 보좌하며 고문 역할을 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12장 |제목=열왕기상 12:6–7 |인용문=르호보암왕이 그 부친 솔로몬의 생전에 그 앞에 모셨던 노인들과 의논하여 가로되}}</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20장 |제목=열왕기상 20:7-8 |인용문=이에 이스라엘 왕이 나라의 장로를 다 불러 이르되 너희는 이 사람이 잔해하려고 구하는 줄을 자세히 알라 저가 나의 처들과 자녀들과 은금을 취하려고 사람을 내게 보내었으나 내가 거절치 못하였노라 모든 장로와 백성들이 다 왕께 고하되 왕은 듣지도 말고 허락지도 마옵소서 한지라}}</ref> [[솔로몬]] 때에는 [[언약궤]]를 [[예루살렘]] [[성전]]으로 옮기는 일에 참여하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열왕기상#8장 |제목=열왕기상 8:1–11 |인용문=이에 솔로몬이 여호와의 언약궤를 다윗성 곧 시온에서 메어 올리고자 하여 이스라엘 장로와 모든 지파의 두목 곧 이스라엘 자손의 족장들을 예루살렘 자기에게로 소집하니 ... 이스라엘 장로들이 다 이르매 제사장들이 궤를 메니라 }}</ref> 장로 제도는 [[바벨론 포로 (바빌론 유수)#바벨론 포로기|바벨론 포로기]]에도 이어졌으며,<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예레미야#29장 |제목=예레미야 29:1 |인용문=선지자 예레미야가 예루살렘에서 이같은 편지를 느부갓네살이 예루살렘에서 바벨론으로 옮겨간 포로 중 남아 있는 장로들과 제사장들과 선지자들과 모든 백성에게 보내었는데}}</ref> 포로 귀환 후에는 예루살렘 성전 재건에 앞장서 일하고,<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5장 |제목=에스라 5:2–5 |인용문= 총독 닷드내와 스달보스내와 그 동료가 다 나아와 저희에게 이르되 누가 너희를 명하여 이 전을 건축하고 이 성곽을 마치게 하였느냐 하기로 ... 하나님이 유다 장로들을 돌아 보셨으므로 저희가 능히 역사를 폐하게 못하고}}</ref> 선지자 [[에스라]]<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058&cid=50762&categoryId=51387 에스라1(Ezra)]",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아론의 16대손이자 대제사장 힐기야의 후손으로(스 7:1, 5) 모세 율법에 능한 서기관(학사)이요 제사장(스 7:6, 11-12, 21; 8:1). ... 바벨론 제2차 포로 귀환 때, 곧 바사 왕 아닥사스다 1세 재위 7년경에 신앙 개혁을 위해 예루살렘으로의 귀환을 왕에게 허락받아 1,800명의 유다인들과 함께 유다 땅으로 돌아왔다(스 7:8-8:17)."</ref>를 도와 백성들이 죄에서 돌이키도록 지도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라#10장 |제목=에스라 10:8, 14 |인용문=누구든지 방백들과 장로들의 훈시를 좇아 삼일 내에 오지 아니하면 그 재산을 적몰하고 사로잡혔던 자의 회에서 쫓아 내리라 하매 ... 다 기한에 본성 장로들과 재판장과 함께 오게 하여 우리 하나님의 이 일로 인하신 진노가 우리에게서 떠나게 하소서 하나}}</ref> 반면 소임에 맞지 않게 백성들을 압제하거나, 백성들을 미혹해 그릇된 길로 인도함으로 하나님께 책망받기도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3장 |제목=이사야 3:14–15 |인용문=여호와께서 그 백성의 장로들과 방백들을 국문하시되 포도원을 삼킨 자는 너희며 가난한 자에게서 탈취한 물건은 너희 집에 있도다 어찌하여 너희가 내 백성을 짓밟으며 가난한 자의 얼굴에 맷돌질하느뇨}}</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9장 |제목=이사야 9:13 |인용문=여호와께서 하루 사이에 이스라엘 중에서 머리와 꼬리며 종려가지와 갈대를 끊으시리니 머리는 곧 장로와 존귀한 자요 꼬리는 곧 거짓말을 가르치는 선지자라 백성을 인도하는 자가 그들로 미혹케 하니 인도를 받는 자가 멸망을 당하는도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스겔#8장 |제목=에스겔 8:11–12 |인용문=이스라엘 족속의 장로 중 칠십인이 그 앞에 섰으며 ... 내게 이르시되 인자야 이스라엘 족속의 장로들이 각각 그 우상의 방안 어두운 가운데서 행하는 것을 네가 보았느냐}}</ref> | ||
[[파일:Sanhedrin1.jpg |섬네일 | 200px |유대교 장로들은 공회의 한 축을 담당했다.]] | [[파일:Sanhedrin1.jpg |섬네일 | 200px |유대교 장로들은 공회의 한 축을 담당했다. 'Encyclopaedia of the ancient Jewish Sanhedrin council' 삽화(1883년)]] | ||
=== 신약시대 === | === 신약시대 ===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