우편 강도: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File:Peter Paul Rubens The Three Crosses.jpg|섬네일|200px|우편 강도는 예수님을 변호하며 예수님께 구원을 간청했다. <br>페테르 파울 루벤스(Peter Pau... |
편집 요약 없음 |
||
| 4번째 줄: | 4번째 줄: | ||
예수님의 좌우편 십자가에 달린 강도들에 대해 자세히 기록한 [[성경]]은 [[누가복음]]이다. 누가복음에서 두 강도는 '행악자'로 표현됐다. 그중 하나는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을 다른 유대인들과 같이 비방했고, 또 다른 하나는 예수님은 죄가 없는 분이라고 변호하며 예수님께 자신을 기억해 달라고 청했다. 이 행악자를 가리켜 보편적으로 '우편 강도'라고 한다. | 예수님의 좌우편 십자가에 달린 강도들에 대해 자세히 기록한 [[성경]]은 [[누가복음]]이다. 누가복음에서 두 강도는 '행악자'로 표현됐다. 그중 하나는 십자가에 달린 예수님을 다른 유대인들과 같이 비방했고, 또 다른 하나는 예수님은 죄가 없는 분이라고 변호하며 예수님께 자신을 기억해 달라고 청했다. 이 행악자를 가리켜 보편적으로 '우편 강도'라고 한다. | ||
{{인용문5 |내용=또 다른 두 행악자도 사형을 받게 되어 예수와 함께 끌려 가니라 해골이라 하는 곳에 이르러 거기서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고 두 행악자도 그렇게 하니 하나는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있더라 ... 달린 행악자 중 하나는 비방하여 가로되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하나는 그 사람을 꾸짖어 가로되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 아니하느냐 우리는 우리의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의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 가로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생각하소서 하니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3장 누가복음 23:32–43]}} | {{인용문5 |내용=또 다른 두 행악자도 사형을 받게 되어 예수와 함께 끌려 가니라 해골이라 하는 곳에 이르러 거기서 예수를 십자가에 못 박고 두 행악자도 그렇게 하니 하나는 우편에, 하나는 좌편에 있더라 ... 달린 행악자 중 하나는 비방하여 가로되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너와 우리를 구원하라 하되 하나는 그 사람을 꾸짖어 가로되 네가 동일한 정죄를 받고서도 하나님을 두려워 아니하느냐 우리는 우리의 행한 일에 상당한 보응을 받는 것이니 이에 당연하거니와 이 사람의 행한 것은 옳지 않은 것이 없느니라 하고 가로되 예수여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에 나를 생각하소서 하니 예수께서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네게 이르노니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시니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3장 누가복음 23:32–43]}} | ||
강도들의 죄목은 | 강도들의 죄목은 [[성경]]에 나오지 않는다. 당시 십자가형은 극악한 범죄자, 반역자, 노예 등에게 가하는 사형제도였기에 극악한 범죄나 로마에 대한 반역 등을 저지른 죄인일 것이라 추측된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4472&cid=50762&categoryId=51387 "십자가"],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q>십자가형은 로마에 도입되어 극악한 범죄자나 로마 황제의 권위에 도전한 반역자에게만 가해졌다.</q></ref> <br> | ||
예수님은 '그 무덤이 악인과 함께 되고 범죄자 중 하나로 여겨질 것'<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제목=이사야 53:9–12|인용문=그는 강포를 행치 아니하였고 그 입에 궤사가 없었으나 그 무덤이 악인과 함께 되었으며 그 묘실이 부자와 함께 되었도다 ... 그가 자기 영혼을 버려 사망에 이르게 하며 범죄자 중 하나로 헤아림을 입었음이라 그러나 실상은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지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하였느니라 하시니라}}</ref>이라고 한 [[이사야]] 53장의 예언대로 행악자인 두 강도와 함께 십자가에 달렸고, 범죄자처럼 취급받으며 인류의 죄를 대신해 희생하셨다. | 예수님은 '그 무덤이 악인과 함께 되고 범죄자 중 하나로 여겨질 것'<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이사야#53장|제목=이사야 53:9–12|인용문=그는 강포를 행치 아니하였고 그 입에 궤사가 없었으나 그 무덤이 악인과 함께 되었으며 그 묘실이 부자와 함께 되었도다 ... 그가 자기 영혼을 버려 사망에 이르게 하며 범죄자 중 하나로 헤아림을 입었음이라 그러나 실상은 그가 많은 사람의 죄를 지며 범죄자를 위하여 기도하였느니라 하시니라}}</ref>이라고 한 [[이사야]] 53장의 예언대로 행악자인 두 강도와 함께 십자가에 달렸고, 범죄자처럼 취급받으며 인류의 죄를 대신해 희생하셨다. | ||
==우편 강도의 구원== | ==우편 강도의 구원== | ||
[[File:Brooklyn Museum - The Pardon of the Good Thief (Le pardon du bon Larron) - James Tissot.jpg | [[File:Brooklyn Museum - The Pardon of the Good Thief (Le pardon du bon Larron) - James Tissot.jpg|섬네일|200px| 예수님이 십자가에 달리셨을 때, 예수님을 위로한 사람은 우편 강도뿐이었다. <br>제임스 티소(James Tissot), 1886–1894]] | ||
===우편 강도의 말=== | ===우편 강도의 말=== | ||
우편 강도는 죽기 직전 극적으로 구원을 얻은 인물이다. 예수님이 [[십자가 고난|십자가에 달려 고난]]받으실 때, 수많은 유대인과 로마 군병들은 "만일 | 우편 강도는 죽기 직전 극적으로 구원을 얻은 인물이다. 예수님이 [[십자가 고난|십자가에 달려 고난]]받으실 때, 수많은 유대인과 로마 군병들은 "만일 [[그리스도]]라면 자기도 구원할 것이다"라고 하며 예수님을 희롱했다. 예수님의 좌편 십자가에 달린 강도도 "네가 그리스도가 아니냐. 우리를 구원해 보라" 하고 예수님을 조롱했다. "이분은 우리 죄 때문에 고통당하시는 것이다"라고 변호하는 사람은 아무도 없었다. 예수님을 따랐던 제자들과 여자들조차 멀리서 지켜보며 눈물만 흘릴 뿐이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15장|제목=마가복음 15:29–41|인용문=}}</ref><br> | ||
그때 유일하게 예수님을 위해 말한 사람이 예수님의 우편 십자가에 달린 강도였다. 우편 강도는 "이 사람이 행한 일은 옳지 않은 것이 없다"며 예수님을 변호하고, 예수님께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 나를 생각하소서"라고 구했다. 십자가에 달려 피조물들에게 온갖 조롱과 멸시와 고통을 당하시던 예수님은 우편 강도의 말에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고 [[천국]]을 약속하셨다. 우편 강도는 십자가에서 말 한마디로 구원이라는 가장 큰 축복을 받았다. | 그때 유일하게 예수님을 위해 말한 사람이 예수님의 우편 십자가에 달린 강도였다. 우편 강도는 "이 사람이 행한 일은 옳지 않은 것이 없다"며 예수님을 변호하고, 예수님께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 나를 생각하소서"라고 구했다. 십자가에 달려 피조물들에게 온갖 조롱과 멸시와 고통을 당하시던 예수님은 우편 강도의 말에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고 [[천국]]을 약속하셨다. 우편 강도는 십자가에서 말 한마디로 구원이라는 가장 큰 축복을 받았다. | ||
===하나님 말씀으로 구원=== | ===하나님 말씀으로 구원=== | ||
우편 강도가 믿음의 말 한마디만으로 구원받았으므로, 모두가 그와 같이 구원받을 수 있다고 오해하면 곤란하다. 우편 강도가 구원받은 이유는 예수님이 직접 하신 '말씀' 때문이다. 예수님은 인류 구원을 위해 이 세상에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육체로 오신 하나님]]이다. 말씀으로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이<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제목=창세기 1:3–24|인용문= | 우편 강도가 믿음의 말 한마디만으로 구원받았으므로, 모두가 그와 같이 구원받을 수 있다고 오해하면 곤란하다. 우편 강도가 구원받은 이유는 예수님이 직접 하신 '말씀' 때문이다. 예수님은 인류 구원을 위해 이 세상에 [[육체로 오신 하나님 (성육신)|육체로 오신 하나님]]이다. 말씀으로 만물을 창조하신 [[하나님]]이<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1장|제목=창세기 1:3–24|인용문=}}</ref> 우편 강도에게 직접 "오늘 네가 나와 함께 낙원에 있으리라" 하고 말씀하셨으므로 그 말씀을 통해 우편 강도는 구원받을 수 있었다. <br> | ||
우편 강도를 말씀으로 구원하신 예수님은, 당신의 제자들을 포함한 온 인류도 말씀을 통해 구원하신다. 그 말씀이 바로 성경에 기록된 [[복음]] 곧 [[새 언약]] 진리다. 새 언약 진리 중 대표 진리가 [[유월절]]이다. 예수님은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다" 하시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제목=요한복음 6:54|인용문=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ref> 같은 뜻으로 당신의 살과 피를 의미하는 유월절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라고 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제목=마태복음 26:17–28|인용문=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ref> 이 말씀대로 신약시대 성도들은 [[새 언약 유월절]]을 비롯해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행할 때 구원받는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7장|제목=마태복음 7:21|인용문=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ref> | 우편 강도를 말씀으로 구원하신 예수님은, 당신의 제자들을 포함한 온 인류도 말씀을 통해 구원하신다. 그 말씀이 바로 성경에 기록된 [[복음]] 곧 [[새 언약]] 진리다. 새 언약 진리 중 대표 진리가 [[유월절]]이다. 예수님은 "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다" 하시고,<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제목=요한복음 6:54|인용문=내 살을 먹고 내 피를 마시는 자는 영생을 가졌고 마지막 날에 내가 그를 다시 살리리니}}</ref> 같은 뜻으로 당신의 살과 피를 의미하는 유월절 떡과 포도주를 먹고 마시라고 하셨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제목=마태복음 26:17–28|인용문=제자들이 예수의 시키신 대로 하여 유월절을 예비하였더라 ... 예수께서 떡을 가지사 축복하시고 떼어 제자들을 주시며 가라사대 받아 먹으라 이것이 내 몸이니라 하시고 또 잔을 가지사 사례하시고 저희에게 주시며 가라사대 너희가 다 이것을 마시라 이것은 죄 사함을 얻게 하려고 많은 사람을 위하여 흘리는바 나의 피 곧 언약의 피니라}}</ref> 이 말씀대로 신약시대 성도들은 [[새 언약 유월절]]을 비롯해 성경에 기록된 하나님의 말씀을 그대로 행할 때 구원받는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7장|제목=마태복음 7:21|인용문=나더러 주여 주여 하는 자마다 천국에 다 들어갈 것이 아니요 다만 하늘에 계신 내 아버지의 뜻대로 행하는 자라야 들어가리라}}</ref> | ||
===우편 강도의 처지=== | <small>{{참고|믿음과 구원|설명=더 자세한 내용은}}</small> | ||
===우편 강도의 처지 === | |||
[[하나님]]은 때로 사람이 처한 상황에 따라 그들의 믿음을 판단하기도 하신다. 예수님이 아주 적은 액수인 두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7744 렙돈]을 봉헌한 과부를 가리켜 가장 많이 봉헌했다고 하신 일이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1장|제목=누가복음 21:1–4|인용문=예수께서 눈을 들어 부자들이 연보궤에 헌금 넣는 것을 보시고 또 어떤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 넣는 것을 보시고 가라사대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가난한 과부가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구차한 중에서 자기의 있는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ref> 이는 과부가 아주 가난한 중에 봉헌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난한 과부의 사례가 모든 성도에게 두 렙돈만 봉헌하라는 교훈은 아니다.<br> | [[하나님]]은 때로 사람이 처한 상황에 따라 그들의 믿음을 판단하기도 하신다. 예수님이 아주 적은 액수인 두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67744 렙돈]을 봉헌한 과부를 가리켜 가장 많이 봉헌했다고 하신 일이 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1장|제목=누가복음 21:1–4|인용문=예수께서 눈을 들어 부자들이 연보궤에 헌금 넣는 것을 보시고 또 어떤 가난한 과부의 두 렙돈 넣는 것을 보시고 가라사대 내가 참으로 너희에게 말하노니 이 가난한 과부가 모든 사람보다 많이 넣었도다 저들은 그 풍족한 중에서 헌금을 넣었거니와 이 과부는 그 구차한 중에서 자기의 있는바 생활비 전부를 넣었느니라 하시니라}}</ref> 이는 과부가 아주 가난한 중에 봉헌했기 때문이다. 그러나 가난한 과부의 사례가 모든 성도에게 두 렙돈만 봉헌하라는 교훈은 아니다.<br> | ||
우편 강도의 구원도 마찬가지다. 우편 강도의 구원은 일반적인 상황과는 전혀 다른 상황에서 이뤄졌다. 우편 강도는 두 손과 두 발이 모두 십자가에 못 박힌 채 피 흘리며 죽어가고 있었다. 당시 우편 강도가 할 수 있는 일은 오직 입으로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것뿐이었다. 그러한 우편 강도의 사례가 모든 믿는 자에게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 나를 생각하소서'라는 말만으로 구원받는다는 교훈은 아니다. 자유로운 여건에서는 하나님의 뜻대로 유월절, [[안식일]] 등 하나님이 말씀하신 진리를 행함으로 구원에 나아갈 수 있다. | 우편 강도의 구원도 마찬가지다. 우편 강도의 구원은 일반적인 상황과는 전혀 다른 상황에서 이뤄졌다. 우편 강도는 두 손과 두 발이 모두 십자가에 못 박힌 채 피 흘리며 죽어가고 있었다. 당시 우편 강도가 할 수 있는 일은 오직 입으로 하나님께 영광 돌리는 것뿐이었다. 그러한 우편 강도의 사례가 모든 믿는 자에게 '당신의 나라에 임하실 때 나를 생각하소서'라는 말만으로 구원받는다는 교훈은 아니다. 자유로운 여건에서는 하나님의 뜻대로 유월절, [[안식일]] 등 하나님이 말씀하신 진리를 행함으로 구원에 나아갈 수 있다. | ||
==우편의 의미== | ==우편의 의미== | ||
성경에서 우편, 즉 오른쪽은 긍정적인 의미를 갖고 왼쪽은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다.<ref> | 성경에서 우편, 즉 오른쪽은 긍정적인 의미를 갖고 왼쪽은 부정적인 의미를 갖는다.<ref>"오른손", 《CLP 성경사전》, 기독교문사, 2003, 1029쪽, <q>성경에서 오른손은 많은 의미와 신령한 교훈에 사용되고 있다. 오른손은 능력, 힘을 상징하고 있다(욥 40:14; 시 16:8; 44:3; 마 24:33; 눅 6:6). 또 축복을 하는 손이었다(창 48:14; 출 29:20; 겔 21:22). 구약에서 '하나님의 오른손'은 하나님의 창조의 권능을 나타내고(사 48:13), 싸워서 자기의 백성을 구원하는 능력을 나타내고 있다(신 33:2; 시 89:13).</q></ref> 구약시대에 [[야곱]]은 [[요셉 (야곱의 아들)|요셉]]의 두 아들에게 축복을 빌어줄 때 오른손을 더 큰 축복을 받을 사람의 머리에 얹었다.<ref>{{웹 인용|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창세기#48장|제목=창세기 48:14–19|인용문=이스라엘이 우수를 펴서 차자 에브라임의 머리에 얹고 좌수를 펴서 므낫세의 머리에 얹으니 므낫세는 장자라도 팔을 어긋맞겨 얹었더라 ... 아버지여 그리 마옵소서 이는 장자니 우수를 그 머리에 얹으소서 아비가 허락지 아니하여 가로되 나도 안다 내 아들아 나도 안다 그도 한 족속이 되며 그도 크게 되려니와 그 아우가 그보다 큰 자가 되고 그 자손이 여러 민족을 이루리라}}</ref> [[다윗]]은 하나님이 늘 자신의 우편에 계시므로 흔들리지 않을 것이라고 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시편#16장 |제목=시편 16:8 |저널= |인용문=내가 여호와를 항상 내 앞에 모심이여 그가 나의 오른쪽에 계시므로 내가 흔들리지 아니하리로다 }}</ref> [[신약성경]]에는 [[승천]]하신 예수님이 하나님 우편에 앉으셨다고 나온다. | ||
* "지혜자의 마음은 오른편에 있고 우매자의 마음은 왼편에 있느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전도서#10장 전도서 10:2]) | *"지혜자의 마음은 오른편에 있고 우매자의 마음은 왼편에 있느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전도서#10장 전도서 10:2]) | ||
* "양은 그 오른편에, 염소는 왼편에 두리라 그때에 임금이 그 오른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내 아버지께 복 받을 자들이여 나아와 창세로부터 너희를 위하여 예비된 나라를 상속하라 ... 또 왼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저주를 받은 자들아 나를 떠나 마귀와 그 사자들을 위하여 예비된 영영한 불에 들어가라 ... 저희는 영벌에, 의인들은 영생에 들어가리라 하시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5장 마태복음 25:31–46]) | *"양은 그 오른편에, 염소는 왼편에 두리라 그때에 임금이 그 오른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내 아버지께 복 받을 자들이여 나아와 창세로부터 너희를 위하여 예비된 나라를 상속하라 ... 또 왼편에 있는 자들에게 이르시되 저주를 받은 자들아 나를 떠나 마귀와 그 사자들을 위하여 예비된 영영한 불에 들어가라 ... 저희는 영벌에, 의인들은 영생에 들어가리라 하시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5장 마태복음 25:31–46]) | ||
* "하나님이 오른손으로 예수를 높이시매 그가 약속하신 성령을 아버지께 받아서 너희 보고 듣는 이것을 부어 주셨느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사도행전 2:33]) | *"하나님이 오른손으로 예수를 높이시매 그가 약속하신 성령을 아버지께 받아서 너희 보고 듣는 이것을 부어 주셨느니라"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사도행전#2장 사도행전 2:33]) | ||
* "그 능력이 그리스도 안에서 역사하사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시고 하늘에서 자기의 오른편에 앉히사"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1장 에베소서 1:20]) | *"그 능력이 그리스도 안에서 역사하사 죽은 자들 가운데서 다시 살리시고 하늘에서 자기의 오른편에 앉히사" ([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에베소서#1장 에베소서 1:20]) | ||
==관련 영상== | ==관련 영상== | ||
| 36번째 줄: | 38번째 줄: | ||
*[[십자가 고난]] | *[[십자가 고난]] | ||
*[[유월절]] | *[[유월절]] | ||
==각주== | ==각주== | ||
<references/> | <references /> | ||
[[분류: 성경 상식]] | [[분류: 성경 상식]]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