생명의 근원 어머니: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Mother Kissing Baby.jpg | [[File:Mother Kissing Baby.jpg|섬네일 | 250px |어머니는 생명을 탄생시키고 사랑으로 양육한다.]] | ||
어머니는 생명의 근원(根源)이라 할 수 있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생명체가 어머니를 통해 탄생하기 때문이다. 만물을 뜻대로 창조하시고 그 안에 당신의 신성(神性)을 담아 놓으신 [[하나님]]은, 생명 탄생의 섭리(攝理)를 통해 장차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영원한 생명이 어떻게 주어지는지를 보이셨다. | 어머니는 생명의 근원(根源)이라 할 수 있다. 세상에 존재하는 수많은 생명체가 어머니를 통해 탄생하기 때문이다. 만물을 뜻대로 창조하시고 그 안에 당신의 신성(神性)을 담아 놓으신 [[하나님]]은, 생명 탄생의 섭리(攝理)를 통해 장차 하나님의 자녀들에게 영원한 생명이 어떻게 주어지는지를 보이셨다. | ||
| 17번째 줄: | 17번째 줄: | ||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된 배아가 자궁 내벽에 붙어 태아가 모체로부터 산소 및 영양분을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착상이라고 한다. 이때부터 모체는 몸의 모든 시스템을 극도로 긴장시키며 모든 신체 내 작용이 태아를 중심으로 돌아가게 한다. <br> | 정자와 난자가 만나 수정된 배아가 자궁 내벽에 붙어 태아가 모체로부터 산소 및 영양분을 받을 수 있는 상태를 착상이라고 한다. 이때부터 모체는 몸의 모든 시스템을 극도로 긴장시키며 모든 신체 내 작용이 태아를 중심으로 돌아가게 한다. <br> | ||
일반적으로 외부물질이 체내로 들어와 세포에 붙으면 세포는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을 분비한다. 일종의 경보음과 같은 작용이다. 이러한 면역시스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군대와도 같다. 그러나 모체와 다른 유전자를 가진 태아는 공격 대상에서 예외다. 태아가 착상되면 모체는 자궁내막 세포의 유전자를 변화시켜 면역 경보시스템을 중단한다. 이 때문에 임신 중인 여성은 면역력이 약해져 질병에 쉽게 노출된다. <br> | 일반적으로 외부물질이 체내로 들어와 세포에 붙으면 세포는 염증을 일으키는 물질을 분비한다. 일종의 경보음과 같은 작용이다. 이러한 면역시스템은 외부 환경으로부터 몸을 지키는 군대와도 같다. 그러나 모체와 다른 유전자를 가진 태아는 공격 대상에서 예외다. 태아가 착상되면 모체는 자궁내막 세포의 유전자를 변화시켜 면역 경보시스템을 중단한다. 이 때문에 임신 중인 여성은 면역력이 약해져 질병에 쉽게 노출된다. <br> | ||
어머니의 | 어머니의 배 속에 가득한 양수는 단순한 물이 아니다. 양수는 푹신한 쿠션처럼 외부의 충격으로부터 태아를 보호하고, 탯줄이 태아의 몸에 감기지 않도록 방지하는 역할을 한다. 유해한 세균의 침입을 막아주기도 하고, 태아의 체온을 일정하게 지켜주기도 한다. 출산 시에는 자궁 입구를 열어 아기가 지나갈 산도를 씻어내고 촉촉하게 유지한다.<ref>《임신출산육아대백과》, 삼성출판사, 2015, 33쪽, <q><태아를 보호하는 쿠션 역할>, <태아의 성장을 돕는다>, <탯줄이 감기는 걸 막아준다>, <태아의 건강 정보를 알려준다>, <항균 작용, 체온을 유지해준다>, <분만 시 윤활유 역할을 한다></q></ref> <br> | ||
이처럼 생명의 시작부터 출생까지,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태아는 모체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모체는 태아에게 가장 안전하고 완벽한 세상이다. | 이처럼 생명의 시작부터 출생까지,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태아는 모체에 전적으로 의존한다. 모체는 태아에게 가장 안전하고 완벽한 세상이다. | ||
{{인용문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태아가 엄마 배 속에서 자라 당당한 하나의 생명으로 태어난다. 이는 엄마와 아기를 이어주는 탯줄과 태반이 있어 가능하다. 모체는 태아에게 든든한 보금자리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조건 없이 내어 주고 쓸모없어진 것들을 떠안는다. |《만물에서 만나는 창조주 하나님》, 멜기세덱출판사, 2016, 261쪽}} | {{인용문 |스스로 아무것도 할 수 없는 태아가 엄마 배 속에서 자라 당당한 하나의 생명으로 태어난다. 이는 엄마와 아기를 이어주는 탯줄과 태반이 있어 가능하다. 모체는 태아에게 든든한 보금자리와 생명을 유지하는 데 필요한 모든 것을 조건 없이 내어 주고 쓸모없어진 것들을 떠안는다. |《만물에서 만나는 창조주 하나님》, 멜기세덱출판사, 2016, 261쪽}} | ||
| 25번째 줄: | 25번째 줄: | ||
모유는 통상적으로 생명을 잉태한 여성의 유선에서 임신 후반기, 분만 후에 분비되는 유즙을 말한다. 모유는 신생아가 섭취할 수 있는 유일한 양식으로, 그 영양분은 유아가 가장 잘 흡수할 수 있는 형태와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ref>[https://www.breastfeeding.asn.au/resources/whats-so-great-about-breastmilk "What’s so great about breastmilk?,"] <i>Australian Breastfeeding Association</i></ref> 그리고 신생아의 성장 시기와 단계에 따라 모유의 성분과 양이 조정된다. 초유에는 면역력을 높이는 성분이 많고, 성숙유에는 신진대사와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성분이 많다.<ref>[https://bfmed.co.kr/re/sub/mbi_read.html?cate=1&idx=747 "모유에는 최상품의 영양이 충분히 들어 있습니다"], 《대한모유수유의사회》, 2007. 5. 16., <q>아가의 성장에 따라 모유의 성분은 변화합니다. 분만 후 첫 수일간 나오는 모유를 초유라고 부릅니다. 이 시기의 모유는 면역 성분이 중요합니다. 초유는 첫 번째 예방주사라고 불릴 만큼 면역 기능이 뛰어난 음식입니다. 양이 적은 초유는 수일간에 걸쳐서 양이 늘어나 이행유가 되고, 또 수일간의 시간이 지나면 성숙유가 됩니다.</q></ref> <br> | 모유는 통상적으로 생명을 잉태한 여성의 유선에서 임신 후반기, 분만 후에 분비되는 유즙을 말한다. 모유는 신생아가 섭취할 수 있는 유일한 양식으로, 그 영양분은 유아가 가장 잘 흡수할 수 있는 형태와 비율로 구성되어 있다.<ref>[https://www.breastfeeding.asn.au/resources/whats-so-great-about-breastmilk "What’s so great about breastmilk?,"] <i>Australian Breastfeeding Association</i></ref> 그리고 신생아의 성장 시기와 단계에 따라 모유의 성분과 양이 조정된다. 초유에는 면역력을 높이는 성분이 많고, 성숙유에는 신진대사와 성장에 필요한 에너지를 제공하는 성분이 많다.<ref>[https://bfmed.co.kr/re/sub/mbi_read.html?cate=1&idx=747 "모유에는 최상품의 영양이 충분히 들어 있습니다"], 《대한모유수유의사회》, 2007. 5. 16., <q>아가의 성장에 따라 모유의 성분은 변화합니다. 분만 후 첫 수일간 나오는 모유를 초유라고 부릅니다. 이 시기의 모유는 면역 성분이 중요합니다. 초유는 첫 번째 예방주사라고 불릴 만큼 면역 기능이 뛰어난 음식입니다. 양이 적은 초유는 수일간에 걸쳐서 양이 늘어나 이행유가 되고, 또 수일간의 시간이 지나면 성숙유가 됩니다.</q></ref> <br> | ||
태내에서 밖으로 나와 모든 환경이 낯설고 불안한 상황에서, 아기가 정서적으로 가장 안정을 찾는 시간이 모유를 먹을 때이다. 모유수유를 받은 아동은 인공수유를 받은 아동에 비해 신체적으로 건강할 뿐 아니라 성격도 원만하며,<ref>[https://www.unicef.org/stories/guinea-bissau-exclusive-breastfeeding-protects-lives-infants-and-mothers "In Guinea-Bissau, exclusive breastfeeding protects the lives of infants and mothers,"] <i>unicef</i>, Aug. 2. 2016., <q>Not only does breastfeeding protect against illness and promote the recovery of children when ill, children that are breastfed have better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an children that are not breastfed, which means that they will be better prepared to attend school and to participate in community life.</q></ref> 수유 중인 엄마의 몸에는 사랑의 호르몬이라 불리는 옥시토신(Oxytocin)의 분비가 더욱 왕성해져 모성애를 깊게 한다.<ref>[https://www.brainmedia.co.kr/BrainTraining/161 "모성애를 관장하는 호르몬 옥시토신"], 《브레인미디어》, 2012. 10. 4., <q>어머니의 사랑, 즉 모성애를 관장하는 호르몬은 옥시토신이다. 옥시토신은 자궁 수축과 모유 수유를 촉진하는 호르몬으로 모성 본능과 직결되는 모성 행동에 관여한다.</q></ref> 모유가 엄마와 아이 사이의 애착을 형성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모유는 미숙아나 병약한 아기를 살리기도 하므로 '생명의 양식'이라 불린다. | 태내에서 밖으로 나와 모든 환경이 낯설고 불안한 상황에서, 아기가 정서적으로 가장 안정을 찾는 시간이 모유를 먹을 때이다. 모유수유를 받은 아동은 인공수유를 받은 아동에 비해 신체적으로 건강할 뿐 아니라 성격도 원만하며,<ref>[https://www.unicef.org/stories/guinea-bissau-exclusive-breastfeeding-protects-lives-infants-and-mothers "In Guinea-Bissau, exclusive breastfeeding protects the lives of infants and mothers,"] <i>unicef</i>, Aug. 2. 2016., <q>Not only does breastfeeding protect against illness and promote the recovery of children when ill, children that are breastfed have better physical and cognitive development than children that are not breastfed, which means that they will be better prepared to attend school and to participate in community life.</q></ref> 수유 중인 엄마의 몸에는 사랑의 호르몬이라 불리는 옥시토신(Oxytocin)의 분비가 더욱 왕성해져 모성애를 깊게 한다.<ref>[https://www.brainmedia.co.kr/BrainTraining/161 "모성애를 관장하는 호르몬 옥시토신"], 《브레인미디어》, 2012. 10. 4., <q>어머니의 사랑, 즉 모성애를 관장하는 호르몬은 옥시토신이다. 옥시토신은 자궁 수축과 모유 수유를 촉진하는 호르몬으로 모성 본능과 직결되는 모성 행동에 관여한다.</q></ref> 모유가 엄마와 아이 사이의 애착을 형성하는 데에도 큰 역할을 하는 것이다. 모유는 미숙아나 병약한 아기를 살리기도 하므로 '생명의 양식'이라 불린다. | ||
{{인용문 |모유는 6~23개월 영유아의 중요한 에너지원이자 영양소이다.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필요한 에너지의 절반 이상을 제공하고 12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필요한 에너지의 1/3을 제공할 수 있다. 모유는 또한 질병 중 에너지와 영양소의 중요한 원천이며 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의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infant-and-young-child-feeding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i>World Health Organization</i>}} <br><br> | {{인용문 |모유는 6~23개월 영유아의 중요한 에너지원이자 영양소이다. 6개월에서 12개월 사이에 필요한 에너지의 절반 이상을 제공하고 12개월에서 24개월 사이에 필요한 에너지의 1/3을 제공할 수 있다. 모유는 또한 질병 중 에너지와 영양소의 중요한 원천이며 영양실조에 걸린 어린이의 사망률을 감소시킨다. |[https://www.who.int/news-room/fact-sheets/detail/infant-and-young-child-feeding "Infant and young child feeding,"] <i>World Health Organization</i>, Dec. 20. 2023.}} <br><br> | ||
[[File:Schaf und Lämmer. IMG 9163WI.jpg|섬네일 | 260px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어미 양]] | [[File:Schaf und Lämmer. IMG 9163WI.jpg|섬네일 | 260px |새끼에게 젖을 먹이는 어미 양]] | ||
고통으로 낳은 새끼를 헌신적으로 기르며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어미의 모습은 동물에게서 두루 발견된다. 특히 사람은 성장하고 발달하는 속도가 느려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사랑과 헌신을 더더욱 필요로 한다. 모체는 생명이 시작되는 곳이요, 어머니의 품속은 아기가 느낄 수 있는 가장 편안한 안식처다.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창조하시고 이러한 습성을 지니게 하신 뜻을 올바로 헤아린다면, 영원한 생명을 주시는 하나님의 신성을 분명히 깨닫게 된다. | 고통으로 낳은 새끼를 헌신적으로 기르며 위험으로부터 보호하는 어미의 모습은 동물에게서 두루 발견된다. 특히 사람은 성장하고 발달하는 속도가 느려 주 양육자인 어머니의 사랑과 헌신을 더더욱 필요로 한다. 모체는 생명이 시작되는 곳이요, 어머니의 품속은 아기가 느낄 수 있는 가장 편안한 안식처다. [[하나님의 형상]]을 따라 사람을 창조하시고 이러한 습성을 지니게 하신 뜻을 올바로 헤아린다면, 영원한 생명을 주시는 하나님의 신성을 분명히 깨닫게 된다. | ||
| 31번째 줄: | 31번째 줄: | ||
==생명 주러 오신 하나님== | ==생명 주러 오신 하나님== | ||
모든 생명은 시작과 끝이 있다. 꽃은 피었다가 지고, 동물도 태어나면 언젠가는 죽는다. 만물의 영장인 사람도 죽음을 피하지 못한다. 인류의 오랜 염원인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위해 과학자들은 각종 질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연구에 매진해 왔다. 그러나 생명 과학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지금도 죽음은 여전히 뛰어넘을 수 없는 영역으로 | 모든 생명은 시작과 끝이 있다. 꽃은 피었다가 지고, 동물도 태어나면 언젠가는 죽는다. 만물의 영장인 사람도 죽음을 피하지 못한다. 인류의 오랜 염원인 불로장생(不老長生)을 위해 과학자들은 각종 질병을 치료하고 수명을 연장하는 연구에 매진해 왔다. 그러나 생명 과학의 비약적인 발전을 이룬 지금도 죽음은 여전히 뛰어넘을 수 없는 영역으로 남아 있다. <br> | ||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말씀하실 때 "죽은 자들로 저희 죽은 자를 장사하게 하라" 하시며 산 사람을 '죽은 자'로 표현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8장 |제목=마태복음 8:22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가라사대 죽은 자들로 저희 죽은 자를 장사하게 하고 너는 나를 좇으라 하시니라 }}</ref> 살아 움직이는 사람이라도 필경 죽을 운명이기 때문이다. 예수님은 그런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이 땅에 오셨다. | 예수님은 제자들에게 말씀하실 때 "죽은 자들로 저희 죽은 자를 장사하게 하라" 하시며 산 사람을 '죽은 자'로 표현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8장 |제목=마태복음 8:22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가라사대 죽은 자들로 저희 죽은 자를 장사하게 하고 너는 나를 좇으라 하시니라 }}</ref> 살아 움직이는 사람이라도 필경 죽을 운명이기 때문이다. 예수님은 그런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이 땅에 오셨다. | ||
{{인용문5|내용=도적이 오는 것은 도적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요한복음 10:10]}}{{인용문5|내용=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1장 요한복음 11:25]}} | {{인용문5|내용=도적이 오는 것은 도적질하고 죽이고 멸망시키려는 것뿐이요 내가 온 것은 양으로 '''생명'''을 얻게 하고 더 풍성히 얻게 하려는 것이라|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0장 요한복음 10:10]}}{{인용문5|내용=예수께서 가라사대 나는 부활이요 '''생명'''이니 나를 믿는 자는 죽어도 살겠고|출처=[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1장 요한복음 11:25]}} | ||
| 67번째 줄: | 67번째 줄: | ||
==관련 영상== | ==관련 영상== | ||
* 누가 생명을 주실까요? | *누가 생명을 주실까요? | ||
<youtube>rtrtpodbgSM</youtube> | <youtube>rtrtpodbgSM</youtube>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