느부갓네살

하나님의 교회 지식사전
Rio1 (토론 | 기여)님의 2024년 12월 23일 (월) 11:43 판 (Work of Conquest)
둘러보기로 이동 검색으로 이동
Nebuchadnezzar
(Nebuchadnezzar II)
An engraving with a royal inscription of Nebuchadnezzar II
출생-사망630 BC–562 BC
직업(특징)The second king of Neo-Babylonian Empire
통치 기간605 BC–562 BC
주요 행적Western campaign
Conquest of Judah, Egyptian campaign,
various construction projects

Nebuchadnezzar II was the second king of the Neo-Babylonian Empire and the son of Nabopolassar, its founding king. His name means “Nebo, protect the boundary.”[1] He expanded Babylon’s dominion by conquering regions west of the Euphrates River—including the Levant, Egypt, Southern Kingdom of Judah, and Tyre—establishing Babylon as a great power.

Nebuchadnezzar is particularly remembered for the complete destruction of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and the subsequent exile of the Jewish people to Babylon, a period known as the Babylonian Captivity. The book of Daniel in the Bible recounts Nebuchadnezzar’s achievements, his prophetic dream, and Daniel’s interpretation of it.

Historical Background

Ancient Near East 600 BC

During the late 7th century BC, in the Euphrates region, the decline of the Assyrian Empire paved the way for the emergence of new powers, including Babylon and Egypt under the 26th Dynasty (Sais Dynasty). Nabopolassar, initially a governor in southern Babylon, declared independence after the death of the Assyrian king Ashurbanipal, ultimately consolidating his rule over Babylonian territory. After destroying Assyria, Babylon rose as a major power in West Asia.[2]

By the early 6th century BC, Babylon had solidified a marriage alliance with the Median Empire to the east while frequently clashing with Egypt in the west over control of the Levant. These conflicts were part of a broader struggle for dominance in the western Euphrates region.[3] During this period, the Southern Kingdom of Judah paid tribute to Babylon’s hegemony.

Major Achievements of Nebuchadnezzar

Work of Conquest

The Levant
Time Nebuchadnezzar’s Conquest Bible Verses
Before Enthronement Northern Babylon Campaign  2 Ch 35:20
Conquest of Syria (Aram) Jer 49:23–27
Invasion of Judah and the 1st Exile (606 BC) Da 1:1–4
Victory at the Battle of Carchemish (605 BC) Jer 46:2, 13
After Enthronement Conquest of the Philistia Jer 47:2–7
2nd Invasion of Judah (598 BC) 2 Ki 24:1–16
2nd Exile of Judah (597 BC) Jer 37:1; Eze 17:12–20
Appointment of Zedekiah as King of Judah 2 Ch 36:10–11
3rd Invasion of Judah and Exile (606 BC) 2 Ki 25:6–11
Fall of Judah (586 BC) Jer 52:13–19
Egypt Campaign Eze 29:19–20
  • Northern Babylon Campaign
Crown Prince Nebuchadnezzar is first mentioned in the Babylonian Chronicles[4] (BM 22047, housed in the British Museum) in connection with his military campaign in the northern mountainous regions of Babylon. After Nabopolassar, the first king of Babylon, successfully defeated Assyria, he launched a campaign north of Haran with his son, Nebuchadnezzar. While Babylon focused on these northern regions, Egypt seized the opportunity created by the Assyrian fall, deploying its forces in the Levant during the power vacuum.[5]
  • Conquest of Syria and the 1st Invasion of Judah
Egyptian and Babylonian influence after the battle of Quramati: Babylon confronted Egypt over the Levant.
After completing the northern campaign, Babylon shifted its focus to reclaim control over the Levant. In response, Egypt seized Kimuhu, a strategic region in the heartland of the Babylonian army. Following the loss of Kimuhu, Babylon successfully conquered several Syrian cities, including Sunadiri, Elammu, and Dahammu,[6] expanding its influence by invading Judah and taking captives in the first Babylonian exile. Once Babylon had driven out Egypt and secured control over Syria and Judah, King Jehoiakim of Judah became a vassal of Nebuchadnezzar and paid tribute for three years.[7]
  • Battle of Carchemish
The Battle of Carchemish, as depicted in Hutchinson’s Story of the Nations (1900)

This is the message against the army of Pharaoh Neco king of Egypt, which was defeated at Carchemish on the Euphrates River by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in the fourth year of Jehoiakim son of Josiah king of Judah: . . . “The Daughter of Egypt will be put to shame, handed over to the people of the north. . . . I will hand them over to those who seek their lives, to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and his officers.”

- Jeremiah 46:2, 24–26

In the Levant, Nebuchadnezzar’s army was positioned at Quramati, while Egyptian troops fortified themselves at Carchemish on the Syrian border, where they engaged in conflict.[8] Around 605 BC, Crown Prince Nebuchadnezzar advanced toward Carchemish and achieved a decisive victory in the Battle of Carchemish. The defeated Egyptian forces retreated southward to Hamath, but they were again defeated.[9] As a result of the Battle of Carchemish, Babylon gained control of Palestine and Syria, territories previously occupied by Egypt.[10]
  • Nebuchadnezzar’s Ascension and the Conquest of Philistia
After the death of King Nabopolassar around 605 BC, Crown Prince Nebuchadnezzar returned to Babylon from Riblah and ascended to the throne. Immediately following his accession, Nebuchadnezzar captured Ashkelon, effectively destroying Philistia, which had been under Egyptian influence.[11] He then launched a campaign into the Hatti region (modern-day Syria, extending from Carchemish to Riblah), ultimately gaining control over the entire Levant. During this time, all the kings of the Hatti region submitted to Nebuchadnezzar and paid tribute.[12]
  • War With Egypt and the 2nd Invasion of Judah
Around 601 BC, Nebuchadnezzar marched southward toward the Egyptian frontier, reaching the land of Canaan. The ensuing war lasted nearly a year, causing significant damage on both sides but ultimately ending without a decisive victor. Babylon’s failure to secure a clear victory at Egypt’s borders emboldened King Jehoiakim of Judah, who, in the eighth year of his reign (600 BC), stopped paying tribute to Babylon.[13] In response, Egypt advanced northward and captured Gaza, further strengthening its control over Philistia.[14]

At that time the officers of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advanced on Jerusalem and laid siege to it . . . Jehoiachin king of Judah, his mother, his attendants, his nobles and his officials all surrendered to him. . . . Nebuchadnezzar took Jehoiachin captive to Babylon. He also took from Jerusalem to Babylon the king’s mother, his wives, his officials and the leading men of the land. The king of Babylon also deported to Babylon the entire force of seven thousand fighting men, strong and fit for war, and a thousand craftsmen and artisans. . . . He made Mattaniah, Jehoiachin’s uncle, king in his place and changed his name to Zedekiah.

- 2 Kings 24:10–17

In 598 BC, Nebuchadnezzar assembled his army and marched back into the land of Canaan. He viewed the cessation of tribute from Judah as an act of rebellion and laid siege to Jerusalem. At the start of the siege, King Jehoiakim died, and his son Jehoiachin ascended to the throne.[15] Nebuchadnezzar then replaced Jehoiachin with Mattaniah, whom he renamed Zedekiah. Around 597 BC, Nebuchadnezzar took Jehoiachin, along with the people of Jerusalem, including leaders, soldiers, and skilled craftsmen, into the second exile. As a result, Judah lost all its military strength.[16]
  • Suppression of the Elamite Rebellion[17]
In 597 BC, Nebuchadnezzar completed his western military campaign, taking the second group of captives from Judah. During this time, the nations of Judah, Edom, Moab, Ammon, Tyre, and Sidon secretly met in Jerusalem and formed an alliance.[18] Given the growing anti-Babylonian sentiment among the Levantine nations, Elam rebelled around 596 BC. In response, Nebuchadnezzar crossed the Tigris River and launched an attack on Elam to suppress the revolt.[19]
  • Fall of Judah (3rd Invasion)[17]
Nebuchadnezzar: Siege of Jerusalem from the Illustration of Bible Historiale, 1372
While Babylon was engaged in dealing with Elam, Psamtik II, the Pharaoh of Egypt, attended religious events in Judah. This move was politically and militarily significant for Judah, which was under Babylonian control. Around the same time, Nebuchadnezzar took a break from his western campaign. Zedekiah, the king of Judah, believing in potential Egyptian support and the distance from Babylon, stopped paying the annual tribute and rebelled.[20] In 588 BC, Nebuchadnezzar marched toward Jerusalem with his army to suppress the rebellion. Meanwhile, Psamtik II, who had promised support to Judah, died, and Hophra[21] (Wahibre, also known as Apries) succeeded him as Pharaoh. As the siege of Jerusalem began, Egypt sent an army to Palestine, but Babylon temporarily lifted the siege, causing Egypt to withdraw its forces. Taking advantage of this, Babylon resumed the siege,[22] and by 586 BC, Jerusalem fell, leading to the destruction of Judah. Zedekiah was captured and taken to Nebuchadnezzar in Riblah, while the majority of the population was exiled in what became known as the third Babylonian exile.

This is how Jerusalem was taken: In the ninth year of Zedekiah king of Judah, in the tenth month,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marched against Jerusalem with his whole army and laid siege to it. And on the ninth day of the fourth month of Zedekiah’s eleventh year, the city wall was broken through. . . . But the Babylonian army pursued them and overtook Zedekiah in the plains of Jericho. They captured him and took him to Nebuchadnezzar king of Babylon at Riblah in the land of Hamath, where he pronounced sentence on him. . . . The Babylonians set fire to the royal palace and the houses of the people and broke down the walls of Jerusalem.

- Jeremiah 39:1–8

이때 선지자 예레미야는 남 유다 백성들에게 바벨론에 항복해야 한다고 권고하다가 어려움을 겪었는데, 느부갓네살이 이를 듣고 예레미야를 포로에서 풀어주며 유다 총독으로 임명된 그다랴와 함께 지내게 했다.[23][24]
  • 팔레스타인 지역 평정, 애굽 원정[25]
남 유다가 멸망하던 때, 바벨론은 두로(티레)를 13년간 포위하고 있었으며,[26] 기원전 582년에는 시리아, 모압,[27] 암몬[28]을 정복했다. 애굽은 남 유다를 비롯해 여러 유브라데 서역 국가들이 바벨론에 반역하도록 부추기며 견제했는데, 느부갓네살은 이것을 문제 삼아 두 차례 애굽 원정에 나섰다.[29] 이 일로 암몬이나 모압, 애굽에 피난해 있던 유대인 수백 명이 바벨론에 포로로 잡혀갔다.[30][31]

건축 사업

느부갓네살의 비문이 적힌 벽돌. 미국 시카고대학 오리엔탈 인스티튜트 박물관 전시
바벨론 행진로 양쪽 성벽을 장식한 사자 부조. 독일 베를린 페르가몬 박물관 전시

바벨론의 왕들은 주로 점토로 된 원통이나 건축물에 쓰이는 벽돌에다 대규모 건축 사업에 관한 공식 비문(碑文)을 남겼다. 바벨론 행진로에서도 느부갓네살의 대규모 건축 사업에 관해 기록된 점토 원통이 발굴됐다. 느부갓네살이 왕궁과 신전을 건축하는 데 사용한 벽돌에는 “느부갓네살, 바벨론의 왕, 에사길라와 에기다의 수호자, 바벨론의 왕 나보폴라사르의 아들”이라는 문구가 적혀 있다.[32]
느부갓네살 시대 건축의 특징은 건축물을 지을 때 구운 벽돌을 대량으로 사용했다는 점이다. 벽돌을 구우려면 가마와 연료가 필요하므로 비용이 많이 들어, 이전까지는 대개 햇볕에 말린 벽돌을 썼다.[33] 구운 벽돌을 대형 건축물에 사용한 사실에서 느부갓네살왕 시대 바벨론의 부유함을 짐작할 수 있다.
느부갓네살은 서방 원정으로 얻은 전리품과 노예들을 동원해 크고 웅장한 건물을 지어올려서 위용을 자랑했다. 남쪽 성채의 계단식 궁전[34], 에테메난키(Etemenanki) 지구라트[35], 바벨론 행진로(Procession Street) 등이 대표적인 예다. 이 밖에 에사길라(Esagila, 마르둑 신전)를 완성하고 니누르타(Ninurta) 신전, 이슈타르 신전 등을 재건했다. 이슈타르 성문(Ishtar Gate)과 바벨론 행진로에는 에나멜을 칠한 동물 양각들을 장식해서 예술성을 더했다.
느부갓네살은 바벨론의 뛰어난 건축술을 활용해 바벨론성 보호에도 힘썼다. 유프라테스강 동쪽의 외성과 내성의 성벽을 재건하고 유프라테스 강둑에서 티그리스 강둑까지 방어벽을 쌓아 도시를 보호했다. 리빌헤갈라(Libil-hegalla) 운하 등 여러 개의 대운하를 건설해 성 안팎으로 유프라테스강의 물줄기를 끌어왔다. 성 바깥쪽으로 흐르는 물이 해자(垓字) 역할을 해 성을 더욱 안전하게 보호했다.[36] 이 외에도 유프라테스강에 최초의 돌다리를 놓았으며 리빌헤갈라 운하를 가로지르는 다리를 건설하는 등 많은 업적을 남겼다.[37]

성경 속 느부갓네살

느부갓네살은 이방의 왕들 중 성경에 가장 빈번하게 등장하는 왕이다.[38] 열왕기하 24-25장, 역대하 36장, 예레미야서, 다니엘서 등 구약성경 곳곳에 느부갓네살왕의 이름이 언급되어 있다.

하나님의 종(도구)

성경 에스겔과 예레미야에는 '내 종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라는 표현이 등장한다. 이는 하나님이 범죄하는 남 유다 백성들을 심판하시기 위한 도구로 느부갓네살을 부르셨다는 사실을 나타낸다.

  • 애굽 심판

에스겔 29장부터 32장에는 애굽이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 의해 심판받을 것이 예언되어 있다. 에스겔 29장 19절에는 '내가(여호와 하나님) 애굽 땅을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게 붙이리니'라는 기록이 있는데, 이는 재위 기간 동안 애굽을 쳐서 쇠퇴하게 만든 느부갓네살의 행적이 하나님의 뜻에 의한 역사임을 암시한다.
느부갓네살은 남 유다 멸망 이후 그다랴를 총독으로 세우고 떠났으나, 유다인들은 그다랴를 죽이고 느부갓네살을 피해 애굽으로 도망하려고 했다. 이때, 예레미야는 '나의 종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애굽을 칠 것이라는 하나님의 말씀을 전하며 백성들에게 애굽으로 도망하면 안 된다고 경고했다.[39][40]

  • 두로 심판
두로(티레)의 공성전. 스탠리 L. 우드, 1915

기원전 586년경, 하나님이 선지자 에스겔에게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손으로 두로를 심판하실 것을 보이셨다. 에스겔 29장 18절에서 "바벨론의 느부갓네살왕이 그의 군대로 두로를 치게 할 때에 크게 수고하여 모든 어깨가 벗어졌으나 그와 군대가 그 수고한 대가를 두로에서 얻지 못하였느니라"고 하신 하나님의 말씀대로, 두로는 바벨론의 약 15년간의 포위를 견뎠다.[41]

  • 남 유다 심판

그러므로 나 만군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너희가 내 말을 듣지 아니하였은즉 보라 내가 보내어 북방 모든 족속과 내 종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을 불러다가 이 땅과 그 거민과 사방 모든 나라를 쳐서 ... 영영한 황무지가 되게 할 것이라 ... 이 나라들은 칠십 년 동안 바벨론 왕을 섬기리라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칠십 년이 마치면 내가 바벨론 왕과 그 나라와 갈대아인의 땅을 그 죄악으로 인하여 벌하여 영영히 황무케 하되

- 예레미야 25:8-12

하나님은 선지자를 부지런히 보내서 수차례 당신의 뜻을 알리셨지만, 유다 민족은 악행에서 떠나지 않고 우상숭배를 지속했다. 이에 하나님은 '내 종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을 불러다가 이 땅을 쳐서 진멸할 것이라고 예언하시며[42] 유다 민족이 70년간 바벨론 왕을 섬겨야 할 것을 말씀하셨다.

다니엘서의 느부갓네살

  • 1장 - 바벨론 1차 포로와 다니엘

왕의 명한 바 그들을 불러 들일 기한이 찼으므로 환관장이 그들을 데리고 느부갓네살 앞으로 들어갔더니 왕이 그들과 말하여 보매 무리 중에 다니엘과 하나냐와 미사엘과 아사랴와 같은 자 없으므로 그들로 왕 앞에 모시게 하고 왕이 그들에게 모든 일을 묻는 중에 그 지혜와 총명이 온 나라 박수와 술객보다 십 배나 나은 줄을 아니라

- 다니엘 1:18-20

느부갓네살은 서방 원정을 이끌며 남 유다에 침입해 재능이 뛰어난 소년들을 포로로 붙잡아갔다. 이들을 교육시켜서 속국을 통치하는 데에 이용하기 위함이었다. 이때 다니엘(벨드사살), 하나냐(사드락), 미사엘(메삭), 아사랴(아벳느고)가 포로로 끌려갔다. 느부갓네살왕은 다니엘과 세 친구의 지혜와 총명이 뛰어남을 보고 자신의 곁에 두었다.
  • 2장 - 느부갓네살의 신상 꿈과 다니엘의 해석
느부갓네살의 꿈을 해석하는 다니엘

느부갓네살이 위에 있은 지 이년에 꿈을 꾸고 그로 인하여 마음이 번민하여 잠을 이루지 못한지라 ... 오직 은밀한 것을 나타내실 자는 하늘에 계신 하나님이시라 그가 느부갓네살왕에게 후일에 될 일을 알게 하셨나이다 왕의 꿈 곧 왕이 침상에서 뇌 속으로 받은 이상은 이러하니이다 ... 왕이여 왕이 한 큰 신상을 보셨나이다 그 신상이 왕의 앞에 섰는데 크고 광채가 특심하며 그 모양이 심히 두려우니

- 다니엘 2:1-31

느부갓네살의 즉위 2년째, 왕이 꿈을 꾸고 그 꿈을 잊게 되었다. 왕은 갈대아 술사들을 불러 꿈을 알리고 해석하라고 했지만 그들은 해석하지 못했다. 분노한 느부갓네살은 다니엘과 세 친구를 포함하여 바벨론 내의 모든 신접한 자들을 죽이려 했다. 이때 하나님이 다니엘에게 왕의 꿈과 그 해석을 알리셨다. 느부갓네살의 꿈은 금, 은, 놋, 철로 이뤄진 신상에 대한 꿈이었고, 장래 일에 대한 예언이었다. 다니엘의 해석을 들은 느부갓네살은 다니엘에게 절하고 큰 예물을 주었으며 하나님을 찬양했다.
  • 3장 - 느부갓네살의 금 신상 숭배 명령
느부갓네살의 금 신상 숭배. 요제프 F. 베르크, 1838

느부갓네살왕이 금으로 신상을 만들었으니 고는 육십 규빗이요 광은 여섯 규빗이라 그것을 바벨론 도의 두라 평지에 세웠더라 ... 누구든지 엎드리어 절하지 아니하는 자는 즉시 극렬히 타는 풀무에 던져 넣으리라 하매 ... 이제 몇 유다 사람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는 왕이 세워 바벨론 도를 다스리게 하신 자이어늘 왕이여 이 사람들이 왕을 높이지 아니하며 왕의 신들을 섬기지 아니하며 왕이 세우신 금 신상에게 절하지 아니하나이다 ... 이 세 사람 사드락과 메삭과 아벳느고는 결박된채 극렬히 타는 풀무 가운데 떨어졌더라

- 다니엘 3:1-23

느부갓네살은 두라 평지에 금으로 만든 거대한 신상을 세우고 지방 관리들을 제막식에 소집했다. 참석한 신하들에게 신상에 절하도록 명령하며 이에 불복하는 사람은 풀무불에 던져넣을 것이라고 공포했다. 다니엘의 세 친구가 끝까지 절하지 않자, 느부갓네살왕은 분노하여 평소보다 7배나 뜨거운 풀무불에 이들을 던졌다. 그러나 이들이 하나님의 보호를 받아 전혀 다치지 않고 걸어나오자, 느부갓네살은 하나님을 찬송했다.
  • 4장 - 느부갓네살왕, 7년간의 짐승 같은 생활
느부갓네살의 그루터기 꿈. 작자 미상, 1400년대
다니엘 4장의 느부갓네살. 윌리엄 블레이크, 1795

왕이 사람에게서 쫓겨나서 들짐승과 함께 거하며 소처럼 풀을 먹으며 하늘 이슬에 젖을 것이요 이와 같이 일곱 때를 지낼 것이라 그 때에 지극히 높으신 자가 인간 나라를 다스리시며 자기의 뜻대로 그것을 누구에게든지 주시는줄을 아시리이다

- 다니엘 4:25

느부갓네살은 아름답고 견고한 나무가 거룩한 자에 의해 그루터기만 남기고 잘리며 그것이 7년간 이슬에 젖고 짐승과 더불어 지내게 될 것이라는 내용의 꿈을 꾸었다. 다니엘은 견고한 나무가 느부갓네살왕을 뜻하며, 왕이 사람들 사이에서 쫓겨나서 7년간 짐승처럼 지낼 것이라고 해석했다. 또 왕이 하나님께서 역사를 움직이시고 뜻에 맞는 사람을 왕으로 세우신다는 것을 깨달을 때까지 그렇게 될 것이라고 말했다. 다니엘의 경고에도 느부갓네살은 자신의 능력과 권세로 거대한 바벨론 도성을 건설했다는 교만한 말을 하여 꿈의 해석과 같이 7년간 짐승처럼 지내게 되었다. 7년이 지난 후 정신이 돌아온 느부갓네살이 하나님을 찬양하며 왕위를 회복했다.
느부갓네살의 병에 대한 기록은 대영 박물관이 소장하고 있는 점토판에 남아 있다.[43]

See also

References

  1. 이성호, "느부갓네살",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274쪽
  2. 이성호, "나보폴라사르", 《성경대사전》, 성서연구원, 2000, 214쪽
  3. Joshua J. Mark, "Nebuchadnezzar II," World History Encyclopedia, Nov. 7. 2018.
  4. 고대 바빌로니아 나보나사르 시대에서 파르티아 시대까지의 역사를 쐐기문자로 기록한 일련의 점토판들이다. 현재 바벨론 제국의 형성을 연구하기 위한 가장 중요한 자료이다.
  5. 역대하 35:20. 이 모든 일 후 곧 요시야가 전을 정돈하기를 마친 후에 애굽 왕 느고가 유브라데강 가의 갈그미스를 치러 올라온고로 요시야가 나가서 방비하였더니 
  6. 예레미야 49:23-27. 다메섹에 대한 말씀이라 하맛과 아르밧이 수치를 당하리니 이는 흉한 소문을 듣고 낙담함이라 바닷가에 슬픔이 있고 평안이 없도다 다메섹이 피곤하여 몸을 돌이켜 달아나려 하니 떨림이 그를 움켰고 해산하는 여인 같이 고통과 슬픔이 그를 잡았도다 ... 내가 다메섹의 성벽에 불을 놓으리니 벤하닷의 궁전이 살라지리라 
  7. 열왕기하 24:1. 여호야김 시대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올라오매 여호야김이 삼년을 섬기다가 돌이켜 저를 배반하였더니 
  8. "Nebuchadnezzar II," Encyclopædia Britannica
  9. 예레미야 46:13.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와서 애굽 땅을 칠 일에 대하여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이르신 여호와의 말씀이라 
  10. 열왕기하 24:7. 애굽 왕이 다시는 그 나라에서 나오지 못하였으니 이는 바벨론 왕이 애굽 하수에서부터 유브라데 하수까지 애굽 왕에게 속한 땅을 다 취하였음이더라 
  11. 예레미야 47:4-7. 이는 블레셋 사람을 진멸하시며 두로와 시돈에 남아 있는바 도와줄 자를 다 끊어버리시는 날이 이름이라 ... 가사가 삭발되었고 아스글론과 그들에게 남아 있는 평지가 멸망되었나니 ... 아스글론과 해변을 치려 하여 그가 명정하셨느니라 
  12. "Neco," Jewish Virtual Library
  13. 열왕기하 24:1. 여호야김 시대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올라오매 여호야김이 삼년을 섬기다가 돌이켜 저를 배반하였더니 
  14. 예레미야 47:1. 바로가 가사를 치기 전에 블레셋 사람에 대하여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임한 여호와의 말씀이라 
  15. 열왕기하 24:1-6. 여호야김 시대에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올라오매 여호야김이 삼년을 섬기다가 돌이켜 저를 배반하였더니 여호와께서 그 종 선지자들로 하신 말씀과 같이 갈대아의 부대와 아람의 부대와 모압의 부대와 암몬 자손의 부대를 여호야김에게로 보내어 유다를 쳐 멸하려 하시니 ... 여호야김이 그 열조와 함께 자매 그 아들 여호야긴이 대신하여 왕이 되니라 
  16. 이창엽, 〈느부갓네살의 강 건너편 지역에 대한 원정과 여호야김의 죽음〉, 《구약논집》 제21권, 한국복음주의구약신학회, 2021, 201쪽, "바벨론 제국은 유다가 온전한 자주국방을 갖춘 나라로서 기능 자체를 하지 못하게 만들었다."
  17. 17.0 17.1 유윤종, 〈느부갓네살 2세: 역사와 전승〉, 《서양고대사연구》 제23권,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08, 46-47쪽
  18. 예레미야 27:3. 유다 왕 시드기야를 보러 예루살렘에 온 사신들의 손에도 그것을 붙여 에돔 왕과 모압 왕과 암몬 자손의 왕과 두로 왕과 시돈 왕에게 보내며 
  19. 예레미야 49:34-38. 엘람에 대한 여호와의 말씀이 선지자 예레미야에게 임하니라 가라사대 ... 내가 엘람의 힘의 으뜸되는 활을 꺾을 것이요 하늘의 사방에서부터 사방 바람을 엘람에 이르게 하여 그들을 사방으로 흩으리니 엘람에서 쫓겨난 자의 이르지 아니하는 나라가 없으리라 ... 내가 재앙 곧 나의 진노를 그 위에 내릴 것이며 내가 또 그 뒤로 칼을 보내어 그를 진멸하기까지 할것이라 내가 나의 위를 엘람에 베풀고 왕과 족장들을 그곳에서 멸하리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20. 열왕기하 24:20. 여호와께서 예루살렘과 유다를 진노하심이 저희를 그 앞에서 쫓아내실 때까지 이르렀더라 시드기야가 바벨론 왕을 배반하니라 
  21. 예레미야 44:30. 보라 내가 유다 왕 시드기야를 그 원수 곧 그 생명을 찾는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손에 붙인 것 같이 애굽 왕 바로 호브라를 그 원수들 곧 그 생명을 찾는 자들의 손에 붙이리라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였느니라 하시니라 
  22. 예레미야 37:7-11. 이스라엘의 하나님 나 여호와가 이같이 말하노라 너희를 보내어 내게 구하게 한 유다 왕에게 이르라 너희를 도우려고 나왔던 바로의 군대는 자기 땅 애굽으로 돌아가겠고 갈대아인이 다시 와서 이 성을 쳐서 취하여 불사르리라 
  23. 예레미야 39:11-14.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예레미야에 대하여 시위대장 느부사라단에게 명하여 가로되 그를 데려다가 선대하고 해하지 말며 그가 네게 말하는대로 행하라 이에 시위대장 느부사라단과 환관장 느부사스반과 박사장 네르갈사레셀과 바벨론 왕의 모든 장관이 보내어 예레미야를 시위대 뜰에서 취하여 내어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 붙여서 그를 집으로 데려가게 하매 그가 백성 중에 거하니라 
  24. 예레미야 40:1-6. 시위대장이 예레미야를 불러다가 이르되 ... 보라 내가 오늘 네 손의 사슬을 풀어 너를 해방하노니 만일 네가 나와 함께 바벨론으로 가는 것을 선히 여기거든 오라 내가 너를 선대하리라 만일 나와 함께 바벨론으로 가는 것을 좋지 않게 여기거든 그만 두라 보라 온 땅이 네 앞에 있나니 네가 선히 여기는대로 가하게 여기는 곳으로 갈지니라 예레미야가 아직 돌이키기 전에 그가 다시 이르되 너는 바벨론 왕이 유다 성읍들의 총독으로 세우신 사반의 손자 아히감의 아들 그다랴에게로 돌아가서 그와 함께 백성 중에 거하거나 너의 가하게 여기는 곳으로 가거나 할지니라 하고 그 시위대장이 그에게 양식과 선물을 주어 보내매 
  25. "NEBUCHADNEZZAR," Jewish Encyclopedia
  26. 에스겔 29:18. 인자야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이 그 군대로 두로를 치게 할 때에 크게 수고하여 각 머리털이 무지러졌고 각 어깨가 벗어졌으나 그와 군대가 그 수고한 보수를 두로에서 얻지 못하였느니라 
  27. 예레미야 48:1-10. 모압에 대한 말씀이라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이같이 말씀하시되 슬프다 느보여 그것이 황폐되었도다 기랴다임이 수치를 당하여 점령되었고 미스갑이 수치를 당하여 파괴되었으니 
  28. 예레미야 49:1-6. 암몬 자손에 대한 말씀이라 그러므로 나 여호와가 말하노라 보라 날이 이르리니 내가 전쟁 소리로 암몬 자손의 랍바에 들리게 할 것이라 
  29. 에스겔 29:19-20. 그러므로 나 주 여호와가 말하노라 내가 애굽 땅을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에게 붙이리니 그가 그 무리를 옮겨가며 물건을 노략하며 빼앗아 갈 것이라 이것이 그 군대의 보수가 되리라 그들의 수고는 나를 위하여 함인즉 그 보수로 내가 애굽 땅을 그에게 주었느니라 나 주 여호와의 말이니라 
  30. 예레미야 52:30. 느부갓네살의 이십 삼년에 시위대장관 느부사라단이 사로잡아 옮긴 유다인이 칠백 사십 오인이니 그 총수가 사천 육백인이었더라 
  31. 예레미야 44:12-14. 내가 또 애굽 땅에 우거하기로 고집하고 그리로 들어간 유다의 남은 자들을 취하리니 그들이 다 멸망하여 애굽 땅에서 엎드러질 것이라 ... 애굽 땅에 들어가서 거기 우거하는 유다의 남은 자 중에 피하거나 남아서 그 사모하여 돌아와서 거하려는 유다 땅에 돌아올 자가 없을 것이라 도피하는 자들 외에는 돌아올 자가 없으리라 하셨느니라 
  32. C. W. Ceram, 《역사와 신화의 재발굴》, 안경숙 역, 대원사, 1990, 313쪽
  33. 카렌 라드너, 《바빌론의 역사》, 서경의 역, 더숲, 2021, 190쪽
  34. 남쪽 성채의 궁전터에서 우물의 역할을 했을 것으로 추정되는 아치형 지붕의 지하실이 발견되었다. 바벨론 유적 발굴자인 콜데바이는 지하실 구조물을 통해 남쪽 성채에 공중정원이 있었을 것이라고 추측했다.
  35. 에테메난키란 하늘과 땅의 연결고리라는 뜻으로, 콜데바이는 이것이 함무라비 시대에 파괴되었다가 다시 재건된 바벨탑이라고 추측했다.
  36. 카렌 라드너, 《바빌론의 역사》, 서경의 역, 더숲, 2021, 61쪽
  37. Jack R. Lundbom, "Builders of Ancient Babylon: Nabopolassar and Nebuchadnezzar II," Interpretation, Vol. 72 no. 2, International Universities Press, 2017, pp. 160-162
  38. 유윤종, 〈느부갓네살 2세: 역사와 전승〉, 《서양고대사연구》 제23권, 한국서양고대역사문화학회, 2008, 34쪽
  39. 예레미야 43:10. 그들에게 이르기를 만군의 여호와 이스라엘의 하나님이 이같이 말씀하시되 보라 내가 내 종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을 불러오리니 그가 그 보좌를 내가 감추게 한 이 돌위에 두고 또 그 화려한 큰 장막을 그 위에 치리라 
  40. 예레미야 46:26. 내가 그들의 생명을 찾는 자의 손 곧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손과 그 신하들의 손에 붙이리라 그럴지라도 그 후에는 그 땅이 여전히 사람 살 곳이 되리라 여호와의 말이니라 
  41. "PHENICIA," Jewish Encyclopedia
  42. 예레미야 27:6-8. 이제 내가 이 모든 땅을 내 종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의 손에 주고 또 들짐승들을 그에게 주어서 부리게 하였나니 열방이 그와 그 아들과 손자를 섬기리라 그의 땅의 기한이 이르면 여러 나라와 큰 왕이 그로 자기를 섬기게 하리라 마는 나 여호와가 이르노라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을 섬기지 아니하는 국민이나 그 목으로 바벨론 왕의 멍에를 메지 아니하는 백성은 내가 그의 손으로 진멸시키기까지 칼과 기근과 염병으로 벌하리라 
  43. 원용국, 〈바벨론 왕 느부갓네살과 이스라엘 유적지들의 비교연구〉, 《성경과 고고학》 제19호, 한국성서고고학회, 1998, 19쪽