시편
| 시편 Psalms | |
|---|---|
| 약자 | 시, Ps |
| 구분 | 구약 |
| 분류 | 시가서 |
| 장수 | 150편 |
| 기록 관련 | |
| 기록자 | 다윗 외 다수 |
| 기록 연대(추정) | B.C. 1500-B.C. 400년경 |
시편(詩篇, Psalms)은 ‘시를 모아 묶은 책’이라는 뜻으로, 구약성경의 19번째 책이다. 히브리어로는 ‘찬양의 노래들’이라는 뜻의 ‘테힐림(תהלים)’이라고 이름한다. 욥기, 잠언, 전도서, 아가와 함께 시가서(詩歌書)로 분류된다.
작성 배경 및 특징
예루살렘 성전 건축 이후, 모세, 다윗, 솔로몬 등 여러 기자들이 쓴 시를 예배와 찬양 등에 사용하기 위한 목적으로 묶었다. 이 시들은 오늘날의 찬송가처럼 악기 반주에 맞춰 불려졌다. 각 편의 서두에 기록된 제목을 보면 시를 쓴 기자와 기록 당시 상황, 시의 용도나 반주법 등을 알 수 있다. 시(詩)라는 장르답게 성경의 다른 책들과 달리 비유나 은유의 표현이 많다.
시편에서 가장 짧은 시는 117편으로 2절에 불과하다.[1] 가장 긴 시는 119편으로 총 176절로 이루어져 있다.[2] 히브리어 성경에는 176절이 8마디씩 22개의 단락으로 나뉘어 있다. 히브리어 알파벳 22자가 순서대로 22개 단락의 첫 글자를 이룬다. 그래서 ‘알파벳 시’라고도 하며, 시편 중 9, 10, 25, 34, 37, 111, 112, 145편도 이러한 형식을 취하고 있다.
시편의 내용 구성
총 150편의 시가 5권으로 구성되어 있다.
| 분류 | 장 |
| 제1권 | 1-41 |
| 제2권 | 42-72 |
| 제3권 | 73-89 |
| 제4권 | 90-106 |
| 제5권 | 107-150 |
기자별 분류
| 기자 | 장 |
| 다윗 | 총 73편(3-9, 11-32, 34-41, 51-65, 68-70, 86, 101, 103, 108-110, 122, 124, 131, 133, 138-145) |
| 아삽(성가대 및 악대 지휘자) | 총 12편(50, 73-83) |
| 고라 자손(레위 지파의 전문 음악가 집안) | 총 10편(42, 44-49, 84, 85, 87) |
| 솔로몬 | 총 2편(72, 127) |
| 헤만(성가대 및 악대 지휘자) | 1편(88) |
| 에단(성가대 및 악대 지휘자) | 1편(89) |
| 모세 | 1편(90) |
| 작자 미상 | 총 50편(1, 2, 10, 33, 43, 66, 67, 71, 91-100, 102, 104-107, 111-121, 123, 125, 126, 128-130, 132, 134-137, 146-150) |
주제별 분류
| 주제 | 장 | 내용 |
| 찬양 | 8, 11, 16, 18-21, 23, 24, 29, 30, 33, 34, 46-48, 62, 63, 65, 66, 67, 68, 75, 76, 81, 84, 87, 91-93, 95-100, 103, 104-108, 111, 113-118, 121, 122, 124, 125, 131, 132, 134-136, 138, 145-150 |
하나님의 권능과 창조의 역사 등을 찬양하는 내용. 하나님의 구원에 감사하는 마음이 담겨 있다. |
| 탄원 | 3-7, 9, 10, 12-14, 17, 25-28, 31, 32, 35, 38-44, 51-61, 64, 69-71, 74, 77, 79, 80, 83, 85, 86, 88-90, 94, 102, 109, 120, 123, 126, 129, 130, 137, 139-144 |
자신이 처한 상황을 하나님께 탄원하여 하나님의 구원을 바라는 내용. 숱한 고난을 겪었던 다윗이 많이 기록했다. |
| 지혜 | 1, 15, 36, 37, 49, 50, 73, 78, 82, 101, 112, 119, 127, 128, 133 | 하나님을 향한 믿음, 율법의 중요성 등의 교훈적인 내용이다. |
| 메시아 | 2, 22, 45, 72, 110 | 구원을 위해 이 땅에 오시는 메시아, 곧 그리스도를 예언한 시. 메시아를 왕에 빗대어 예언한 내용이 많다. |
시편의 음악 용어[3][4][5]
- 셀라(Selah): ‘목소리를 높이다, 찬양하다’라는 뜻. ‘음을 올리거나 쉬라’는 의미로 추정.
- 영장(伶長, The director of music): 예배 시 찬양을 담당하는 성가대의 지휘자를 가리킴.
- 스미닛(Sheminith): ‘여덟 번째 음’, 혹은 ‘여덟 줄의 현악기’, ‘예배 의식의 여덟 번째 순서를 위해’라는 의미로 추정.
- 식가욘(Shiggaion): 애가나 만가의 형식으로 부르라는 의미로 추정.
- 깃딧(Gittith): 블레셋의 가드 사람들이 사용했던 악기로 연주하라는 의미로 추정.
- 뭇랍벤(Muthlabben, The death of the son): ‘아들의 죽음’이라는 뜻. 당시 사용되던 멜로디의 이름으로 추정.
- 믹담(Miktam): ‘금언(金言)의 시’ 혹은 ‘속죄의 시’라는 뜻으로 추정. 70인역은 ‘비석에 새겨진 문서’로 번역함. ‘믹담시’라고도 함.
- 아얠렛샤할(Aijeleth Shahar, The doe of the morning): ‘아침의 암사슴’이라는 뜻으로 ‘사슴’이라는 곡조, 혹은 악기의 이름이나 시의 주제에 대한 비유적 상징으로 추정하기도 함.
- 마스길(Maskil): ‘주의 깊은, 지적인’이라는 뜻. 교훈적인 시를 가리킴.
- 여두둔(Jeduthun): 다윗 시대 성가대 지휘자 중 한 사람으로,[6] 여두둔 또는 성가대와 관련된 음악 형식을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
- 소산님(Shoshannim, Lilies): ‘백합’이라는 뜻. 백합화 곡조를 의미하거나 백합 모양의 악기, 혹은 6개의 현으로 구성된 악기로 추정.
- 알라못(Alamoth): ‘처녀’라는 뜻. 젊은 여성이 연주하도록 만들어진 악기의 이름이나 선율, 소프라노 또는 젊은 여성의 목소리로 노래하라는 의미로 해석하기도 함.
- 마할랏(Mahalath): ‘고통’, ‘괴로움’이라는 뜻. 악기나 곡조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
- 요낫 엘렘 르호김(Jonath elem rehokim, A dove on distant oaks): ‘먼 곳의 고요한 비둘기’라는 뜻. 당시 사용되던 멜로디의 이름으로 추정.
- 알다스헷(Altaschith, Do not destroy): ‘멸하지 마소서’라는 뜻. 곡조를 가리키는 것으로 추정.
- 수산에둣(Shushan Eduth, The lily of the covenant): ‘언약의 백합화’, ‘증거의 백합화’라는 뜻. 곡조를 나타내는 것으로 추정.
- 소산님에둣(Shoshannim Eduth, The Lilies of the covenant): ‘소산님’과 ‘수산에둣’과 비슷한 의미이 용어로, 포도주 틀을 밟을 때 사용되는 멜로디로 추정하기도 함.
- 마할랏르안놋(Mahalath leannoth): ‘병의 노래’라는 뜻. 영적 질병을 의미하는 고통에 관한 교훈이 담긴 시.
- 할렐루야(hallelujah, Praise the Lord): '여호와를 찬양하라'는 뜻. 성경 66권 중 시편과 요한계시록에만 나타난 용어.
각주
- ↑ 시편 117:1-2
- ↑ 시편 119:1-176
- ↑ 《아가페 성경사전》, 아가페 서원, 1997. 10. 6.
- ↑ Bible Hub.
- ↑ 가스펠서브 (2006. 8. 15.). 라이프 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 ↑ 역대상 25:1-7.
다윗이 군대 장관들로 더불어 아삽과 헤만과 여두둔의 자손 중에서 구별하여 섬기게 하되 수금과 비파와 제금을 잡아 신령한 노래를 하게 하였으니 … 여두둔에게 이르러는 … 수금을 잡아 신령한 노래를 하며 여호와께 감사하며 찬양하며…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