신약성경: 두 판 사이의 차이
편집 요약 없음 |
편집 요약 없음 |
||
| (같은 사용자의 중간 판 3개는 보이지 않습니다) | |||
| 1번째 줄: | 1번째 줄: | ||
[[File:Papyrus 66 (GA).jpg | [[File:Papyrus 66 (GA).jpg|섬네일|1952년 이집트에서 발견된 신약성경. 파피루스에 헬라어로 기록되었으며, 구매자인 마르틴 보드머의 이름을 따서 '보드머 파피루스(Bodmer Papyrus)'로 부른다.]] | ||
'''신약성경'''(新約聖經, New Testament)은 [[예수 그리스도]] 탄생 이후 1세기경에 쓰여진 27권의 경전으로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하나님이 세우신 언약, 즉 구원의 뜻이 담겨 있다. 예수님의 행적과 가르침을 담은 사복음서를 비롯해 | '''신약성경'''(新約聖經, New Testament)은 [[예수 그리스도]] 탄생 이후 1세기경에 쓰여진 27권의 경전으로 인류를 구원하기 위해 하나님이 세우신 언약, 즉 구원의 뜻이 담겨 있다. 예수님의 행적과 가르침을 담은 사복음서를 비롯해 [[사도]]들의 전도 활동에 대한 기록, [[교회]]나 개인에게 보낸 서신, 예언서 순으로 배열되어 있다. 유대교는 [[구약성경]]만을 경전으로 받아들이지만 기독교는 신·구약의 관계를 약속과 약속에 대한 성취 관계로 이해하며, 구약성경과 신약성경 모두를 경전으로 인정한다. | ||
==신약성경의 명칭== | ==신약성경의 명칭== | ||
[[파일: | [[파일:최후의 만찬 유월절.jpg |섬네일 | px |예수님은 유월절을 지키며 새 언약을 세워주셨다.]] | ||
신약(新約)은 '[[새 언약]]'이란 뜻이며 [[구약성경]]에 대조해 붙여진 명칭이다. [[모세]] 시대에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에게 세운 첫 언약이 '[[옛 언약]]'이며, 예수님께서 복음을 전파하시며 세워주신 언약이 '새 언약'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13 |저널= |인용문= 새 언약이라 말씀하셨으매 첫 것은 낡아지게 하신 것이니 낡아지고 쇠하는 것은 없어져가는 것이니라}}</ref> 신약성경 내에서 '성경(Scripture)'이라 표현한 것은 '구약성경'을 일컫는다. | 신약(新約)은 '[[새 언약]]'이란 뜻이며 [[구약성경]]에 대조해 붙여진 명칭이다. [[모세]] 시대에 [[하나님]]께서 이스라엘 민족에게 세운 첫 언약이 '[[옛 언약]]'이며, 예수님께서 복음을 전파하시며 세워주신 언약이 '새 언약'이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히브리서#8장 |제목=히브리서 8:13 |저널= |인용문= 새 언약이라 말씀하셨으매 첫 것은 낡아지게 하신 것이니 낡아지고 쇠하는 것은 없어져가는 것이니라}}</ref> 신약성경 내에서 '성경(Scripture)'이라 표현한 것은 '구약성경'을 일컫는다. | ||
==기록 언어== | ==기록 언어== | ||
신약성경은 당시 국제 통용어이자 로마 제국에서 사용하던 언어인 헬라어로 기록되었다. 사도들은 유대 국가 외에도 로마 제국 전역에 | 신약성경은 당시 국제 통용어이자 로마 제국에서 사용하던 언어인 헬라어로 기록되었다. 사도들은 유대 국가 외에도 로마 제국 전역에 [[복음]]을 전파하기 위해서 헬라어로 성경을 기록했다. 다만 마태복음과 히브리서는 유대인을 위해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868052 히브리어]로 기록했으나 이후 헬라어로 번역되었다고 전해진다.<ref>유세비우스 팜필루스, 《교회사》, 엄성옥 역, 은성, 2003, 169쪽, <q>마태는 히브리 방언으로 복음서를 기록했다. 그리고 번역할 능력이 있는 사람들은 모두 그것을 번역하였다.</q></ref> | ||
==기록자 및 기록 연대== | ==기록자 및 기록 연대== | ||
| 20번째 줄: | 20번째 줄: | ||
|[[누가복음]] || 누가 || 60-68년경 | |[[누가복음]] || 누가 || 60-68년경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요한복음]] || [[요한]] || 80-90년경 | |[[요한복음]] || [[요한 (사도)|요한]]|| 80-90년경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사도행전]] || 누가 || 61-63년경 | |[[사도행전]] || 누가 || 61-63년경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로마서]],[[고린도전서 | 고린도전]] | |[[로마서]],[[고린도전서 | 고린도전]]·[[고린도후서 | 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br> [[데살로니가전서 | 데살로니가전]]·[[데살로니가후서 | 후서]], [[디모데전서 | 디모데전]]·[[디모데후서 | 후서]], [[디도서]], [[빌레몬서]] || [[바울]] || 51-67년경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히브리서]] || 바울(추정) || 65-68년경 | |[[히브리서]] || 바울(추정) || 65-68년경 | ||
| 30번째 줄: | 30번째 줄: | ||
|[[야고보서]] || 야고보 || 60-62년경 | |[[야고보서]] || 야고보 || 60-62년경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베드로전서 | 베드로전]] | |[[베드로전서 |베드로전]]·[[베드로후서 | 후서]] || [[베드로]] || 64-67년경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요한1서 | 요한 1]] | |[[요한1서 |요한 1]]·[[요한2서 | 2]]·[[요한3서 | 3서]] || 요한 || 85-95년경 | ||
|-style="background: white" | |-style="background: white" | ||
|[[유다서]] || 유다 || 65-80년경 | |[[유다서]] || 유다 || 65-80년경 | ||
| 58번째 줄: | 58번째 줄: | ||
===역사서=== | ===역사서=== | ||
'''사도행전'''은 신약성경의 유일한 역사서다. 예수님 승천 이후 유대뿐 아니라 이방 나라에까지 복음을 전하는 사도들의 행적을 다루었다. | '''사도행전'''은 신약성경의 유일한 역사서다. [[예수님의 승천|예수님 승천]] 이후 유대뿐 아니라 이방 나라에까지 복음을 전하는 사도들의 행적을 다루었다. | ||
===바울서신=== | ===바울서신=== | ||
바울서신을 13편으로 여기는 사람들도 있지만, '''히브리서'''의 기록자를 사도 바울로 추정해 14편으로 보기도 한다. 사도 바울이 세 차례의 전도 여행을 하며 세운 교회들에게 보낸 편지('''로마서, 고린도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후서''')와 복음에 힘쓰는 동역자에게 보낸 편지('''디모데전·후서, 디도서, 빌레몬서'''), 특정 계층 대상으로 한 서신('''히브리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옥중에서 쓴 옥중서신('''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과 목회의 지침을 기록한 목회서신('''디모데전·후서, 디도서''') 등으로도 분류한다. | 바울서신을 13편으로 여기는 사람들도 있지만, '''히브리서'''의 기록자를 사도 바울로 추정해 14편으로 보기도 한다. 사도 바울이 세 차례의 전도 여행을 하며 세운 교회들에게 보낸 편지('''로마서, 고린도전·후서, 갈라디아서, 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데살로니가전·후서''')와 복음에 힘쓰는 동역자에게 보낸 편지('''디모데전·후서, 디도서, 빌레몬서'''), 특정 계층 대상으로 한 서신('''히브리서''')으로 구분할 수 있다. 옥중에서 쓴 옥중서신('''에베소서, 빌립보서, 골로새서, 빌레몬서''')과 목회의 지침을 기록한 목회서신('''디모데전·후서, 디도서''') 등으로도 분류한다. | ||
{{참고|바울서신|설명=더 자세한 내용은}} | {{참고|바울서신|설명=더 자세한 내용은}} | ||
===일반 서신=== | ===일반 서신=== | ||
신약성경 중에 바울서신을 제외한 다른 서신('''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요한1서, 요한2서, 요한3서, 유다서''')을 가리킨다. 학자에 따라서는 히브리서를 일반 서신에 포함하기도 | 신약성경 중에 바울서신을 제외한 다른 서신('''야고보서, 베드로전서, 베드로후서, 요한1서, 요한2서, 요한3서, 유다서''')을 가리킨다. 학자에 따라서는 히브리서를 일반 서신에 포함하기도 한다. | ||
===예언서=== | ===예언서=== | ||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은 예언서다. 예수님의 열두 제자였던 사도 요한이 밧모섬에 유배갔을 때 예수님의 계시를 받아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요한계시록 1:1, 9-10 |저널= |인용문=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이는 하나님이 그에게 주사 반드시 속히 될 일을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그 천사를 그 종 요한에게 보내어 지시하신 것이라 ... 나 요한은 너희 형제요 예수의 환난과 나라와 참음에 동참하는 자라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의 증거를 인하여 밧모라 하는 섬에 있었더니 주의 날에 내가 성령에 감동하여}}</ref> 성경은 | 신약성경의 마지막 책인 '''요한계시록'''은 예언서다. 예수님의 열두 제자였던 사도 요한이 밧모섬에 유배갔을 때 예수님의 계시를 받아 기록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요한계시록 1:1, 9-10 |저널= |인용문= 예수 그리스도의 계시라 이는 하나님이 그에게 주사 반드시 속히 될 일을 그 종들에게 보이시려고 그 천사를 그 종 요한에게 보내어 지시하신 것이라 ... 나 요한은 너희 형제요 예수의 환난과 나라와 참음에 동참하는 자라 하나님의 말씀과 예수의 증거를 인하여 밧모라 하는 섬에 있었더니 주의 날에 내가 성령에 감동하여}}</ref> 성경은 [[창세기]]의 천지창조로 시작되어 요한계시록의 새 하늘과 새 땅의 창조 즉 [[천국]]의 도래로 완결된다. | ||
==신약성경의 형성과 보존== | ==신약성경의 형성과 보존== | ||
[[파일:Papyrus | [[파일:Papyrus 75a.gif |섬네일 | 200px |3세기경 제작된 신약성경 파피루스 사본. 누가복음 24장과 요한복음 1장이 기록돼 있다.]] | ||
신약성경은 1세기, 즉 사도 시대에 기록되었다. 예수님의 | 신약성경은 1세기, 즉 사도 시대에 기록되었다. [[예수님의 생애]]와 [[예수님의 부활|부활]]을 목격한 제자들이 하나둘 세상을 떠나면서 [[예수 그리스도의 주요 행적|예수님의 행적]]을 기록으로 남길 필요가 생겼던 것이다. <br> | ||
또한 사도들을 비롯한 교회 지도자들은 각 지역에 세워진 교회들에 편지를 보내 성도들의 신앙을 올바로 세워주기 위해 교훈했다. 이 편지들은 사본으로 만들어져 여러 교회에서 공유되었고, 오랫동안 많은 교회에서 널리 읽혔다. 교회는 예수님과 사도들의 가르침을 그대로 따르기 위해 이러한 특징을 지닌 책들을 성경으로 인정했다. <br> | 또한 사도들을 비롯한 교회 지도자들은 각 지역에 세워진 교회들에 편지를 보내 성도들의 신앙을 올바로 세워주기 위해 교훈했다. 이 편지들은 사본으로 만들어져 여러 교회에서 공유되었고, 오랫동안 많은 교회에서 널리 읽혔다. 교회는 예수님과 사도들의 가르침을 그대로 따르기 위해 이러한 특징을 지닌 책들을 성경으로 인정했다. <br> | ||
신약성서의 원본은 현존하지 않으며, 초기부터 여러 교회에 보내기 위해 사본이 작성되기 시작했고, 오래되어 낡아지면 사본의 사본이 만들어졌다. <br> | 신약성서의 원본은 현존하지 않으며, 초기부터 여러 교회에 보내기 위해 사본이 작성되기 시작했고, 오래되어 낡아지면 사본의 사본이 만들어졌다. <br> | ||
당시 사본은 대체로 애굽에서 쉽게 얻을 수 있었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7637 파피루스]라는 갈대를 가로와 세로로 교차해 만든 두루마리에 기록했다. 하지만 파피루스는 부러지거나 습기로 썩어버리는 등 수명이 길지 못했다. [https:// | 당시 사본은 대체로 애굽에서 쉽게 얻을 수 있었던 [https://www.doopedia.co.kr/doopedia/master/master.do?_method=view&MAS_IDX=101013000727637 파피루스]라는 갈대를 가로와 세로로 교차해 만든 두루마리에 기록했다. 하지만 파피루스는 부러지거나 습기로 썩어버리는 등 수명이 길지 못했다. [https://stdict.korean.go.kr/search/searchView.do?word_no=225793&searchKeywordTo=3 양피지]를 사용해 사본을 만들기도 했는데 양의 가죽으로 만든 양피지는 파피루스보다 수명이 길고 책 모양으로 제본할 수 있었다. 15세기에 인쇄술이 발명되기까지 성경은 사본을 통해 이어져 내려왔다. | ||
==주요 등장 인물 및 지역== | ==주요 등장 인물 및 지역== | ||
* '''인물''': [[예수 그리스도 | 예수님]], [[침례 요한]], [[요한]], 마태, 마가, 누가, [[베드로]], [[바울]], 빌립, 야고보, 디모데, 도마, [[가룟 유다]], 헤롯, 빌라도, 고넬료, [[마리아]], 니고데모 | * '''인물''': [[예수 그리스도 |예수님]], [[침례 요한 (세례 요한)|침례 요한]], [[요한 (사도)|요한]], [[마태]], 마가, [[누가]], [[베드로]], [[바울]], [[빌립 (사도)|빌립]], [[야고보 (세베대의 아들)|야고보]], 디모데, 도마, [[가룟 유다]], [[헤롯]], 빌라도, 고넬료, [[마리아 (예수님의 모친)|마리아]], 니고데모 | ||
* '''지역''': [[예루살렘]], [[감람산]], [[갈릴리]], [[가버나움]], [[나사렛]] | * '''지역''': [[예루살렘]], [[감람산]], [[갈릴리]], [[가버나움]], [[나사렛]], [[사마리아]], 안디옥, 갈라디아, 데살로니가, 고린도, [[골로새]], 로마, [[에베소 (에페수스)|에베소]], 빌립보 | ||
==같이 보기== | ==같이 보기== | ||
| 85번째 줄: | 85번째 줄: | ||
==각주== | ==각주== | ||
<references /> | <references /> | ||
{{성경 둘러보기}} | {{성경 둘러보기}} |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