가룟 유다: 두 판 사이의 차이

새 문서: {{틀:성경인물 |그림=섬네일|가운데|px|니콜라이 게(Nikolai Ge), 〈유다의 머리〉, 1860년대 초 |제목=가룟 유다 |...
 
편집 요약 없음
 
10번째 줄: 10번째 줄:
|주요 행적=열두 사도 무리의 회계 담당<br>예수님을 은전 30개에 팔아넘김
|주요 행적=열두 사도 무리의 회계 담당<br>예수님을 은전 30개에 팔아넘김
}}
}}
'''가룟 유다'''(Judas Iscariot, 헬라어: Ἰσκαριώτης)<ref>[https://dict.naver.com/grckodict/ancientgreek/#/entry/grcko/a62dcfdf5d2d499aa6bd05f2d0902482 Ἰσκαριώτης]. 《고대 그리스어 사전》</ref>는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중 하나로, 변절한 인물이다. '가룟([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0700&cid=50762&categoryId=51387 그리욧])'이라는 호칭은 당시 유대 남부지역이었던 그의 출신지를 가리킨다.<ref>"유다", 《아가페성경사전》, 아가페서원, 2002, 1370쪽, "'가룟'이라는 호칭(참조. 눅 22:3; 요 14:22)의 의미는 ...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의미는 '그리욧 출신의 남자'(man from Kerioth)."</ref> 열두 사도 중에 동명이인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2197&cid=40942&categoryId=33431 다대오 유다]와 구별하기 위해 이 호칭을 썼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89855&cid=50762&categoryId=51387 "가룟 유다"],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가룟 사람 유다'란 뜻. 예수님를 배신한 제자 유다를 말한다. ... 예수의 제자 중 '다대오'라 불리는 유다(야고보의 아들, 마 10:3)와 구별하기 위해(요 14:22) '가룟 유다'라 칭하고 있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4장 |제목=요한복음 14:22 |저널= |인용문=가룟인 아닌 유다가 가로되 주여 어찌하여 자기를 우리에게는 나타내시고 세상에게는 아니하려 하시나이까}}</ref> 예수님을 배반하기 전 가룟 유다는 사도로서 예수님을 따르며 사람들에게 이적을 행하고 [[복음]]을 전했으며,<ref name=":1">{{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0장 |제목=마태복음 10:1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그 열두 제자를 부르사 더러운 귀신을 쫓아내며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는 권능을 주시니라}}</ref> 제자 무리 가운데서 회계(會計)를 담당했다.<ref name="유다 돈궤">{{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29 |저널= |인용문=어떤 이들은 유다가 '''돈궤를 맡았으므로'''}}</ref> 그러나 은전 30개에 예수님을 배반하고 유대교 지도자들에게 팔아넘겼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616&cid=50762&categoryId=51387 "유다"],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그는 예수님의 제자들 중 다른 유다와 구별하기 위해 가룟 유다로 불렸으며(요 14:22)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 공동체의 회계 역할을 했다(요 12:6; 13:29). 그는 처음 다른 제자들과 마찬가지로 사도로서 권능을 덧입고 복음 사역에 참여했다(마 10:1). 그러나 예수님의 지상 왕국에 대한 기대가 무너지고(요 6:66) 물질의 노예가 됨으로써 예수님을 배반하기에 이르렀다."</ref><ref name="가룟 유다 배반">{{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6 |저널= |인용문=유월절이라 하는 무교절이 가까우매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를 무슨 방책으로 죽일꼬 연구하니 이는 저희가 백성을 두려워함이더라 열둘 중에 하나인 가룟인이라 부르는 유다에게 사단이 들어가니 이에 유다가 대제사장들과 군관들에게 가서 예수를 넘겨줄 방책을 의논하매 저희가 기뻐하여 돈을 주기로 언약하는지라 유다가 허락하고 예수를 무리가 없을 때에 넘겨줄 기회를 찾더라}}</ref> 원래 '유다'라는 이름은 '여호와를 찬송하는 자'라는 의미였으나, 가룟 유다는 '배반의 대명사'가 되었다.<ref>앨런 스트링펠로우, "가룟 유다", 《인물별 성경연구》, 두란노, 2016, 277-278쪽, "유다는 흔한 이름이었으며, 유다가 그 이름을 파멸시킬 때까지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하나님의 찬양'이라는 의미를 지닌 그 이름이 배신이나 변절과 영합하는 이름이 되어 버렸다. 유다(Judas)는 히브리식 유다(Judah)라는 이름의 헬라어식 이름이다."</ref>
'''가룟 유다'''(Judas Iscariot, 헬라어: Ἰσκαριώτης)<ref>[https://dict.naver.com/grckodict/ancientgreek/#/entry/grcko/a62dcfdf5d2d499aa6bd05f2d0902482 Ἰσκαριώτης]. 《네이버 고대 그리스어사전》</ref>는 [[예수 그리스도]]의 열두 사도 중 하나로, 변절한 인물이다. '가룟([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0700&cid=50762&categoryId=51387 그리욧])'이라는 호칭은 당시 유대 남부지역이었던 그의 출신지를 가리킨다.<ref>"유다", 《아가페성경사전》, 아가페서원, 2002, 1370쪽, "'가룟'이라는 호칭(참조. 눅 22:3; 요 14:22)의 의미는 ... 일반적으로 인정되고 있는 의미는 '그리욧 출신의 남자'(man from Kerioth)."</ref> 열두 사도 중에 동명이인인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1132197&cid=40942&categoryId=33431 다대오 유다]와 구별하기 위해 이 호칭을 썼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89855&cid=50762&categoryId=51387 "가룟 유다"],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가룟 사람 유다'란 뜻. 예수님를 배신한 제자 유다를 말한다. ... 예수의 제자 중 '다대오'라 불리는 유다(야고보의 아들, 마 10:3)와 구별하기 위해(요 14:22) '가룟 유다'라 칭하고 있다."</ref><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4장 |제목=요한복음 14:22 |저널= |인용문=가룟인 아닌 유다가 가로되 주여 어찌하여 자기를 우리에게는 나타내시고 세상에게는 아니하려 하시나이까}}</ref> 예수님을 배반하기 전 가룟 유다는 사도로서 예수님을 따르며 사람들에게 이적을 행하고 [[복음]]을 전했으며,<ref name=":1">{{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10장 |제목=마태복음 10:1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그 열두 제자를 부르사 더러운 귀신을 쫓아내며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는 권능을 주시니라}}</ref> 제자 무리 가운데서 회계(會計)를 담당했다.<ref name="유다 돈궤">{{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29 |저널= |인용문=어떤 이들은 유다가 '''돈궤를 맡았으므로'''}}</ref> 그러나 은전 30개에 예수님을 배반하고 유대교 지도자들에게 팔아넘겼다.<ref>가스펠서브, [https://terms.naver.com/entry.naver?docId=2395616&cid=50762&categoryId=51387 "유다"], 《라이프성경사전》, 생명의말씀사, 2006, "그는 예수님의 제자들 중 다른 유다와 구별하기 위해 가룟 유다로 불렸으며(요 14:22) 예수님을 따르는 제자 공동체의 회계 역할을 했다(요 12:6; 13:29). 그는 처음 다른 제자들과 마찬가지로 사도로서 권능을 덧입고 복음 사역에 참여했다(마 10:1). 그러나 예수님의 지상 왕국에 대한 기대가 무너지고(요 6:66) 물질의 노예가 됨으로써 예수님을 배반하기에 이르렀다."</ref><ref name="가룟 유다 배반">{{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제목=누가복음 22:1-6 |저널= |인용문=유월절이라 하는 무교절이 가까우매 대제사장들과 서기관들이 예수를 무슨 방책으로 죽일꼬 연구하니 이는 저희가 백성을 두려워함이더라 열둘 중에 하나인 가룟인이라 부르는 유다에게 사단이 들어가니 이에 유다가 대제사장들과 군관들에게 가서 예수를 넘겨줄 방책을 의논하매 저희가 기뻐하여 돈을 주기로 언약하는지라 유다가 허락하고 예수를 무리가 없을 때에 넘겨줄 기회를 찾더라}}</ref> 원래 '유다'라는 이름은 '[[여호와]]를 찬송하는 자'라는 의미였으나, 가룟 유다는 '배반의 대명사'가 되었다.<ref>앨런 스트링펠로우, "가룟 유다", 《인물별 성경연구》, 두란노, 2016, 277-278쪽, "유다는 흔한 이름이었으며, 유다가 그 이름을 파멸시킬 때까지는 중요한 의미를 지니고 있었다. '하나님의 찬양'이라는 의미를 지닌 그 이름이 배신이나 변절과 영합하는 이름이 되어 버렸다. 유다(Judas)는 히브리식 유다(Judah)라는 이름의 헬라어식 이름이다."</ref>
== 시대적 배경 ==
== 시대적 배경 ==
기원후 27년경, 이스라엘은 로마의 압제에서 자신들을 해방시켜 줄 [[메시아]]의 출현을 고대했다. 이때 예수님이 [[갈릴리]] 지역에 나타나셨다. 예수님은 어부였던 [[베드로]], [[안드레]], [[사도 요한|요한]], [[야고보 (세베대의 아들)|야고보]]를 첫 제자로 삼으시고 차례대로 제자들을 불러 모으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4장 마태복음 4:18-22]. "갈릴리 해변에 다니시다가 두 형제 곧 베드로라 하는 시몬과 그 형제 안드레가 바다에 그물 던지는 것을 보시니 저희는 어부라 말씀하시되 나를 따라 오너라 내가 너희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 하시니 저희가 곧 그물을 버려 두고 예수를 좇으니라 거기서 더 가시다가 다른 두 형제 곧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그 형제 요한이 그 부친 세베대와 한가지로 배에서 그물 깁는 것을 보시고 부르시니 저희가 곧 배와 부친을 버려두고 예수를 좇으니라"</ref> 예수님이 유대 지역에 [[천국 복음]]을 전하시며, 병든 자를 고치시고 귀신을 쫓아내는 능력 등을 행하자 메시아가 출현했다는 소문이 퍼져 나갔다. 이에 유대 전역에서 소문을 듣고 찾아 온 큰 무리가 예수님을 쫓았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4장 마태복음 4:23-25]. "예수께서 온 갈릴리에 두루 다니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백성 중에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 그의 소문이 온 수리아에 퍼진지라 사람들이 모든 앓는 자 곧 각색 병과 고통에 걸린 자, 귀신 들린 자, 간질하는 자, 중풍병자들을 데려오니 저희를 고치시더라 갈릴리와 데가볼리와 예루살렘과 유대와 요단강 건너편에서 허다한 무리가 좇으니라"</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3장 마가복음 3:7-8]. "예수께서 제자들과 함께 바다로 물러가시니 갈릴리에서 큰 무리가 좇으며 유대와 예루살렘과 이두매와 요단강 건너편과 또 두로와 시돈 근처에서 허다한 무리가 그의 하신 큰 일을 듣고 나아오는지라"</ref>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을 처치할 방안을 논의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6장 누가복음 6:6-11]. "또 다른 안식일에 예수께서 회당에 들어가사 가르치실쌔 거기 오른손 마른 사람이 있는지라 ... 무리를 둘러 보시고 그 사람에게 이르시되 네 손을 내밀라 하시니 저가 그리하매 그 손이 회복된지라 저희[서기관과 바리새인들]는 분기가 가득하여 예수를 어떻게 처치할 것을 서로 의논하더라"</ref>  
기원후 27년경, 이스라엘은 로마의 압제에서 자신들을 해방시켜 줄 [[메시아]]의 출현을 고대했다. 이때 예수님이 [[갈릴리]] 지역에 나타나셨다. 예수님은 어부였던 베드로, 안드레, [[요한 (사도)|요한]], [[야고보 (세베대의 아들)|야고보]]를 첫 제자로 삼으시고 차례대로 제자들을 불러 모으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4장 마태복음 4:18-22]. "갈릴리 해변에 다니시다가 두 형제 곧 베드로라 하는 시몬과 그 형제 안드레가 바다에 그물 던지는 것을 보시니 저희는 어부라 말씀하시되 나를 따라 오너라 내가 너희로 사람을 낚는 어부가 되게 하리라 하시니 저희가 곧 그물을 버려 두고 예수를 좇으니라 거기서 더 가시다가 다른 두 형제 곧 세베대의 아들 야고보와 그 형제 요한이 그 부친 세베대와 한가지로 배에서 그물 깁는 것을 보시고 부르시니 저희가 곧 배와 부친을 버려두고 예수를 좇으니라"</ref> 예수님이 유대 지역에 [[천국 복음]]을 전하시며, 병든 자를 고치시고 귀신을 쫓아내는 능력 등을 행하자 메시아가 출현했다는 소문이 퍼져 나갔다. 이에 유대 전역에서 소문을 듣고 찾아 온 큰 무리가 예수님을 쫓았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4장 마태복음 4:23-25]. "예수께서 온 갈릴리에 두루 다니사 저희 회당에서 가르치시며 천국 복음을 전파하시며 백성 중에 모든 병과 모든 약한 것을 고치시니 그의 소문이 온 수리아에 퍼진지라 사람들이 모든 앓는 자 곧 각색 병과 고통에 걸린 자, 귀신 들린 자, 간질하는 자, 중풍병자들을 데려오니 저희를 고치시더라 갈릴리와 데가볼리와 예루살렘과 유대와 요단강 건너편에서 허다한 무리가 좇으니라"</ref><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가복음#3장 마가복음 3:7-8]. "예수께서 제자들과 함께 바다로 물러가시니 갈릴리에서 큰 무리가 좇으며 유대와 예루살렘과 이두매와 요단강 건너편과 또 두로와 시돈 근처에서 허다한 무리가 그의 하신 큰 일을 듣고 나아오는지라"</ref> [[서기관]]들과 [[바리새인]]들은 예수님을 처치할 방안을 논의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6장 누가복음 6:6-11]. "또 다른 안식일에 예수께서 회당에 들어가사 가르치실새 거기 오른손 마른 사람이 있는지라 ... 무리를 둘러 보시고 그 사람에게 이르시되 네 손을 내밀라 하시니 저가 그리하매 그 손이 회복된지라 저희[서기관과 바리새인들]는 분기가 가득하여 예수를 어떻게 처치할 것을 서로 의논하더라"</ref>  
== 가룟 유다의 생애 ==
== 가룟 유다의 생애 ==
=== 열두 사도 중 하나로 택함 받음 ===
=== 열두 사도 중 하나로 택함 받음 ===
하루는 예수님이 산에 올라가셔서 밤새도록 기도하셨다. 날이 밝자 예수님은 제자들을 불러 모으시고 그들 중에 열두 명을 택하여 사도로 세우셨다. 그 중에는 가룟 유다도 포함되어 있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6장 누가복음 6:12-16]. "이 때에 예수께서 기도하시러 산으로 가사 밤이 맟도록 하나님께 기도하시고 밝으매 그 제자들을 부르사 그 중에서 열 둘을 택하여 사도라 칭하셨으니 곧 베드로라고도 이름 주신 시몬과 및 그 형제 안드레와 및 야고보와 요한과 빌립과 바돌로매와 마태와 도마와 및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및 셀롯이라 하는 시몬과 및 야고보의 아들 유다와 및 '''예수를 파는 자 될 가룟 유다'''라"</ref> 열두 사도는 예수님과 같이 [[복음]]을 전하는 축복과 귀신을 쫓아내는 권세를 받았다.<ref name=":1" />  
하루는 예수님이 산에 올라가셔서 밤새도록 기도하셨다. 날이 밝자 예수님은 제자들을 불러 모으시고 그들 중에 열두 명을 택하여 [[사도]]로 세우셨다. 그 중에는 가룟 유다도 포함되어 있었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6장 누가복음 6:12-16]. "이 때에 예수께서 기도하시러 산으로 가사 밤이 맟도록 하나님께 기도하시고 밝으매 그 제자들을 부르사 그 중에서 열 둘을 택하여 사도라 칭하셨으니 곧 베드로라고도 이름 주신 시몬과 및 그 형제 안드레와 및 야고보와 요한과 빌립과 바돌로매와 마태와 도마와 및 알패오의 아들 야고보와 및 셀롯이라 하는 시몬과 및 야고보의 아들 유다와 및 '''예수를 파는 자 될 가룟 유다'''라"</ref> 열두 사도는 예수님과 같이 [[복음]]을 전하는 축복과 귀신을 쫓아내는 권세를 받았다.<ref name=":1" />  
=== 공금 횡령 ===
=== 공금 횡령 ===
가룟 유다는 예수님과 제자들이 사용하는 공금을 관리했다.<ref name="유다 돈궤" /> 그러나 가룟 유다는 재물에 욕심내어 예수님 일행의 공금에 손을 대며 사욕(私慾)을 취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2장 |제목=요한복음 12:4-6 |저널= |인용문=제자 중 하나로서 예수를 잡아 줄 가룟 유다가 말하되 이 향유를 어찌하여 삼백 데나리온에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주지 아니하였느냐 하니 이렇게 말함은 가난한 자들을 생각함이 아니요 저는 '''도적'''이라 돈궤를 맡고 거기 넣는 것을 훔쳐 감이러라}}</ref>
가룟 유다는 예수님과 제자들이 사용하는 공금을 관리했다.<ref name="유다 돈궤" /> 그러나 가룟 유다는 재물에 욕심내어 예수님 일행의 공금에 손을 대며 사욕(私慾)을 취했다.<ref name="향유" />
===[[마리아 (향유를 부은 여인)|향유 부은 마리아]]를 책망===
===향유 부은 마리아를 책망===
예수님과 제자들이 베다니 시몬의 집에 있을 때, [[마리아 (향유를 부은 여인)|마리아]]라는 여인이 귀한 향유를 가져와 식사하시던 예수님의 몸에 부었다. 가룟 유다는 이때 마리아에게 '이것[향유]을 300[[성경의 화폐 단위#데나리온|데나리온]](노동자 1년치 임금)에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줄 수 있었는데 왜 허비하느냐'라고 책망했다. 이는 그가 가난한 자들을 생각해서가 아니라 '''돈궤에서 종종 돈을 훔쳐가던 도적이기 때문'''이었다.<ref name="향유">{{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2장 |제목=요한복음 12:1-6 |저널= }}</ref> 유다는 물질에 대한 탐욕으로 마리아를 책망한 것이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을 감찰하시는 예수님은 마리아의 행위를 높이 사셨고, 복음이 전파되는 어느 곳에서나 마리아가 행한 일을 알리라고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3 |저널= |인용문=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온 천하에 어디서든지 이 복음이 전파되는 곳에는 이 여자의 행한 일도 말하여 저를 기념하리라 하시니라}}</ref>  
예수님과 제자들이 베다니 시몬의 집에 있을 때, [[마리아 (향유를 부은 여인)|마리아]]라는 여인이 귀한 향유를 가져와 식사하시던 예수님의 몸에 부었다. 가룟 유다는 이때 마리아에게 '이것[향유]을 300[[성경의 화폐 단위#데나리온|데나리온]](노동자 1년치 임금)에 팔아 가난한 자들에게 줄 수 있었는데 왜 허비하느냐'라고 책망했다. 이는 그가 가난한 자들을 생각해서가 아니라 '''돈궤에서 종종 돈을 훔쳐가던 도적이기 때문'''이었다.<ref name="향유">{{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2장 |제목=요한복음 12:1-6 |저널= }}</ref> 유다는 물질에 대한 탐욕으로 마리아를 책망한 것이다. 그러나 사람의 마음을 감찰하시는 예수님은 마리아의 행위를 높이 사셨고, 복음이 전파되는 어느 곳에서나 마리아가 행한 일을 알리라고 하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3 |저널= |인용문=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온 천하에 어디서든지 이 복음이 전파되는 곳에는 이 여자의 행한 일도 말하여 저를 기념하리라 하시니라}}</ref>  
=== 은전 30개에 배반을 결심 ===
=== 은전 30개에 배반을 결심 ===
[[파일:Gómez, Judes.JPG |섬네일 | 200px |예수님을 판 것을 후회하여 은전 30개를 대제사장 등에게 돌려준 가룟 유다. 시모 고메스(Simó Gómez)]]
[[파일:Gómez, Judes.JPG |섬네일 | 200px |예수님을 판 것을 후회하여 은전 30개를 대제사장 등에게 돌려준 가룟 유다. 시모 고메스(Simó Gómez), 1874]]
[[사단 (마귀)|사단]]의 충동을 받은<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누가복음 22:3]. "열 둘 중에 하나인 가룟인이라 부르는 유다에게 사단이 들어가니"</ref> 가룟 유다는 마리아의 향유 사건 이후  대제사장들을 찾아가 예수님을 넘겨주는 대가로 그들과 흥정하여 은전 30개를 받았다. 그때부터 유다는 예수님을 팔아넘길 기회를 엿보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4-16 |저널= |인용문=그때에 열둘 중에 하나인 가룟 유다라 하는 자가 대제사장들에게 가서 말하되 내가 예수를 너희에게 넘겨주리니 얼마나 주려느냐 하니 그들이 은 삼십을 달아 주거늘 저가 그때부터 예수를 넘겨줄 기회를 찾더라}}</ref> 이는 예수님이 제자들과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시기 직전에 일어난 일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1-2 |저널= |인용문=유월절 전에 예수께서 자기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 줄 아시고 ... 마귀가 벌써 시몬의 아들 가룟 유다의 마음에 예수를 팔려는 생각을 넣었더니}}</ref>   
[[사단 (마귀)|사단]]의 충동을 받은<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누가복음#22장 누가복음 22:3]. "열 둘 중에 하나인 가룟인이라 부르는 유다에게 사단이 들어가니"</ref> 가룟 유다는 마리아의 향유 사건 이후  대제사장들을 찾아가 예수님을 넘겨주는 대가로 그들과 흥정하여 은전 30개를 받았다. 그때부터 유다는 예수님을 팔아넘길 기회를 엿보았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14-16 |저널= |인용문=그때에 열둘 중에 하나인 가룟 유다라 하는 자가 대제사장들에게 가서 말하되 내가 예수를 너희에게 넘겨주리니 얼마나 주려느냐 하니 그들이 은 삼십을 달아 주거늘 저가 그때부터 예수를 넘겨줄 기회를 찾더라}}</ref> 이는 예수님이 제자들과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시기 직전에 일어난 일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제목=요한복음 13:1-2 |저널= |인용문=유월절 전에 예수께서 자기가 세상을 떠나 아버지께로 돌아가실 때가 이른 줄 아시고 ... 마귀가 벌써 시몬의 아들 가룟 유다의 마음에 예수를 팔려는 생각을 넣었더니}}</ref>   
=== 겟세마네에서 배반 ===
=== 겟세마네에서 배반 ===
27번째 줄: 27번째 줄:
예수님은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시면서 제자 중 한 사람이 당신을 팔 것이라고 하셨다. 가룟 유다가 "랍비[선생님]여 저입니까"라고 물었다.<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1-25 |저널= |인용문=저희가 먹을 때에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에 한 사람이 나를 팔리라 하시니 ... 예수를 파는 유다가 대답하여 가로되 랍비여 내니이까 대답하시되 네가 말하였도다 하시니라}}</ref> 이에 예수님은 "내가 한 조각을 찍어다가 주는 자가 그니라"고 하시며 떡 한 조각을 떼어 유다에게 주셨다. 예수님은 "네 하는 일을 속히 하라" 하셨고 떡을 받은 유다는 밖으로 나갔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요한복음 13:21-30]. </ref> 이때 예수님은 유다를 가리켜 "차라리 나지 않았더라면 제게 좋을 뻔하였으니라"고 말씀하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마태복음 26:24]. "인자는 자기에게 대하여 기록된대로 가거니와 인자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그 사람은 차라리 나지 아니 하였더면 제게 좋을뻔 하였느니라"</ref>
예수님은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시면서 제자 중 한 사람이 당신을 팔 것이라고 하셨다. 가룟 유다가 "랍비[선생님]여 저입니까"라고 물었다.<ref name=":0">{{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제목=마태복음 26:21-25 |저널= |인용문=저희가 먹을 때에 이르시되 내가 진실로 너희에게 이르노니 너희 중에 한 사람이 나를 팔리라 하시니 ... 예수를 파는 유다가 대답하여 가로되 랍비여 내니이까 대답하시되 네가 말하였도다 하시니라}}</ref> 이에 예수님은 "내가 한 조각을 찍어다가 주는 자가 그니라"고 하시며 떡 한 조각을 떼어 유다에게 주셨다. 예수님은 "네 하는 일을 속히 하라" 하셨고 떡을 받은 유다는 밖으로 나갔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3장 요한복음 13:21-30]. </ref> 이때 예수님은 유다를 가리켜 "차라리 나지 않았더라면 제게 좋을 뻔하였으니라"고 말씀하셨다.<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마태복음 26:24]. "인자는 자기에게 대하여 기록된대로 가거니와 인자를 파는 그 사람에게는 화가 있으리로다 그 사람은 차라리 나지 아니 하였더면 제게 좋을뻔 하였느니라"</ref>


예수님은 [[십자가 고난|십자가 수난]]을 앞두고 제자들과 기도하기 위해 [[겟세마네|겟세마네 동산]]에 오르셨다. 겟세마네의 위치를 잘 알고 있었던 가룟 유다는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의 군병들을 데리고 그곳에 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8장 |제목=요한복음 18:2-3 |저널= |인용문=거기[겟세마네 동산]는 예수께서 제자들과 가끔 모이시는 곳이므로 예수를 파는 유다도 그곳을 알더라 유다가 군대와 및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에게서 얻은 하속들을 데리고 등과 홰와 병기를 가지고 그리로 오는지라}}</ref> 유다는 미리 짜둔 신호에 따라 예수님에게 다가가 입을 맞추었다. 그러자 무리가 달려들어 예수님을 붙잡았다. "인자가 십자가에 못 박히기 위하여 팔리우리라"는 성경 예언대로<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마태복음 26:2]. "너희의 아는 바와 같이 이틀을 지나면 유월절이라 인자가 십자가에 못 박히기 위하여 팔리우리라 하시더라"</ref> 예수님은 군병들에게 끌려 가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제목=마태복음 26:47-57 |저널= |인용문=}}</ref>
예수님은 [[십자가 고난|십자가 수난]]을 앞두고 제자들과 기도하기 위해 [[겟세마네|겟세마네 동산]]에 오르셨다. 겟세마네의 위치를 잘 알고 있었던 가룟 유다는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의 군병들을 데리고 그곳에 갔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18장 |제목=요한복음 18:2-3 |저널= |인용문=거기[겟세마네 동산]는 예수께서 제자들과 가끔 모이시는 곳이므로 예수를 파는 유다도 그곳을 알더라 유다가 군대와 및 대제사장들과 바리새인들에게서 얻은 하속들을 데리고 등과 홰와 병기를 가지고 그리로 오는지라}}</ref> 유다는 미리 짜둔 신호에 따라 예수님에게 다가가 입을 맞추었다. 그러자 무리가 달려들어 예수님을 붙잡았다. "인자가 [[십자가]]에 못 박히기 위하여 팔리우리라"는 [[성경]] 예언대로<ref>[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 마태복음 26:2]. "너희의 아는 바와 같이 이틀을 지나면 유월절이라 인자가 십자가에 못 박히기 위하여 팔리우리라 하시더라"</ref> 예수님은 군병들에게 끌려 가셨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마태복음#26장|제목=마태복음 26:47-57 |저널= |인용문=}}</ref>


=== 후회와 죽음 ===
=== 후회와 죽음 ===
36번째 줄: 36번째 줄:
*'''예수님의 예언'''
*'''예수님의 예언'''
예수님이 갈릴리에서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5000명을 먹이는 기적을 베푸시자 군중들은 예수님을 왕으로 삼으려고 따라다녔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 땅의 양식이 아닌 영생을 얻을 수 있는 진리를 알려주셨다. 그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한 군중들이 다 떠나고 열두 제자만 남게 되었다. 그때 예수님은 오직 영생의 말씀을 보고 당신을 따른 제자들을 칭찬하신 한편, "너희 중에 한 사람은 마귀니라"라고 하셨다. 이는 가룟 유다를 가리켜 하신 말씀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70-71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너희 열둘을 택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러나 너희 중에 한 사람은 마귀니라 하시니 이 말씀은 가룟 시몬의 아들 유다를 가리킴이라 저는 열둘 중의 하나로 예수를 팔 자러라}}</ref> 예수님은 제자들과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실 때도 유다의 배반을 예언하셨다.<ref name=":0" />
예수님이 갈릴리에서 보리떡 다섯 개와 물고기 두 마리로 5000명을 먹이는 기적을 베푸시자 군중들은 예수님을 왕으로 삼으려고 따라다녔다. 그러나 예수님은 이 땅의 양식이 아닌 영생을 얻을 수 있는 진리를 알려주셨다. 그 가르침을 이해하지 못한 군중들이 다 떠나고 열두 제자만 남게 되었다. 그때 예수님은 오직 영생의 말씀을 보고 당신을 따른 제자들을 칭찬하신 한편, "너희 중에 한 사람은 마귀니라"라고 하셨다. 이는 가룟 유다를 가리켜 하신 말씀이었다.<ref>{{웹 인용 |url=https://ko.wikisource.org/wiki/개역한글판/요한복음#6장 |제목=요한복음 6:70-71 |저널= |인용문=예수께서 대답하시되 내가 너희 열둘을 택하지 아니하였느냐 그러나 너희 중에 한 사람은 마귀니라 하시니 이 말씀은 가룟 시몬의 아들 유다를 가리킴이라 저는 열둘 중의 하나로 예수를 팔 자러라}}</ref> 예수님은 제자들과 마지막 유월절을 지키실 때도 유다의 배반을 예언하셨다.<ref name=":0" />
*'''[[구약성경]]의 예언과 성취'''
*'''구약성경의 예언과 성취'''
{| class="wikitable"
{| class="wikitable"
|-
|-
48번째 줄: 48번째 줄:
|-
|-
|}
|}
== 관련 영상 ==
* 총회장 김주철 목사 설교: '''순간의 삶과 영원의 삶'''
<youtube>nLzxdqkJGIk</youtube>
* 총회장 김주철 목사 설교: '''신령한 것은 신령한 것으로 분별하라'''
<youtube>eP36WHsUqCg</youtube>


== 같이 보기 ==
== 같이 보기 ==
* [[겟세마네]]
* [[겟세마네]]


{{둘러보기 상자
==관련 영상 ==
|이름 =  
*총회장 김주철 목사 설교: '''순간의 삶과 영원의 삶'''
|title = [[사도]]
<youtube>nLzxdqkJGIk</youtube>
|state = {{{state|{{{1<includeonly>|autocollapse</includeonly>}}}}}}
|image =
|전체속성 = hlist


|group1 = 열두 사도
*총회장 김주철 목사 설교: '''신령한 것은 신령한 것으로 분별하라'''
|list1  =
<youtube>eP36WHsUqCg</youtube>
* [[베드로]]
* [[안드레]]
* [[야고보]] (세베대의 아들)
* [[사도 요한]]
* [[빌립]]
* 바돌로매
* [[도마]]
* [[마태]]
* 야고보 (알패오의 아들)
* 다대오
* 시몬
* 맛디아


|group2 = 열두 사도에서 제외
== 각주 ==
|list2  =  
<references />
* '''가룟 유다'''
 
|group3 = 열두 사도 외
|list3  =  
* [[바울]]
* [[바나바]]
* [[야고보 (예수님의 동생)]]
|}
}}


{{사도}}
{{둘러보기 상자
{{둘러보기 상자
|이름 =  
|이름 =  
109번째 줄: 79번째 줄:
|}
|}
}}
}}
== 각주 ==
<references />


[[분류: 성경 상식]]
[[분류: 성경 상식]]
[[분류:성경 인물]]
[[분류:성경 인물]]